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식에 부르지 마요

진짜 조회수 : 12,609
작성일 : 2025-02-10 08:47:54

시간이 남아 도는 것도 아니고 

내 쉴 시간도 부족하구만

그냥 마음으로만 축하해주면 안돼요?

매번 돈봉투준비하는 것도 솔직히 싫구요

부조금사양하는 결혼식이라면 굳이 반대안할게요

가족끼리 하시고 주변인은 제발 부르지 마세요

IP : 121.165.xxx.203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결혼식
    '25.2.10 8:50 AM (211.234.xxx.95) - 삭제된댓글

    할 일이 없어요.

  • 2. 그정도면
    '25.2.10 8:51 AM (1.227.xxx.55)

    그냥 말로만 축하해 주면 되는 겁니다.
    지인들 중 진짜 축하하면서 식장에 올 사람도 있을테니까요.
    뭐가 문제인지요.

  • 3. ...
    '25.2.10 8:51 AM (175.192.xxx.144)

    이제 진짜 결혼식 장례식 돌잔치 다 가족끼리만 하는걸로 아예 법으로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 4. ...
    '25.2.10 8:53 AM (114.204.xxx.203)

    돌 백일은 정말 싫고요
    결혼 장례는 가족 아주 가까운 사이만 불러야죠
    님 경운 먼 사이니 안가고 안부르면 되고요

  • 5.
    '25.2.10 8:54 AM (121.188.xxx.245)

    참석하지말고 말로 축하해주면 될듯

  • 6. 장례식도
    '25.2.10 8:56 AM (221.143.xxx.171)

    마찬가지
    일년에한번얼굴볼까말까인데
    부고좀보내지말자구요 ㅠ

  • 7. ㅡㅡㅡㅡ
    '25.2.10 8:56 AM (61.98.xxx.233)

    이런 마음 들 정도면 그리 가까운 사이도 아닐텐데.
    그냥 말로만 축하해 주세요.

  • 8.
    '25.2.10 8:57 AM (121.168.xxx.239)

    그니까요.
    가족끼리하면 허례허식없을거고
    비교도 없을건데
    안가기도 그렇고 이래저래 힘들어요.
    자녀들 스몰 결혼하려해도
    아이들. 상대편.사돈댁 다 입장이 다르니
    내 생각 고집하기도 그래요.

  • 9. 그냥
    '25.2.10 9:00 AM (112.157.xxx.212)

    서서히 사라져갈거라고 생각 하는데요
    원글님 같은 분이 안가시고 안부르면
    그게 더 빨라지겠죠
    결혼식이고 장례식이고
    꼭 가서 보고싶은 사람도 있을겁니다
    원글님 같은 분들이 많아지면
    더 빨리 가족끼리 치르는 문화가 자리잡게 될겁니다

  • 10. 아이스아메
    '25.2.10 9:00 AM (58.29.xxx.101) - 삭제된댓글

    아이고.. 자기들 결혼할때는 이사람 저사람 다 불렀을꺼면서 이제 결혼할일 없다 이건가 ㅋㅋ 이래서 여자들은 늦게 결혼하면 친구들 별로 않오나봄

  • 11. ..
    '25.2.10 9:02 AM (1.235.xxx.154)

    이렇게싫어하시다니...
    친하지않은 분이 많이 부르셨군요
    저는 청첩장받고 안 갔던 결혼식은 딱 한번

  • 12. ..
    '25.2.10 9:20 AM (211.112.xxx.69)

    뿌린거 거둬야 하는 사람들은 그래도 불러야죠.
    그것도 내돈인데.

    앞으로는 점점 더 없어지겠죠.
    외국처럼 친한 사람 몇명 모아놓고 축하하던지
    가족만 모아놓고 하던지 점점 바뀔거예요.
    코로나때 장례식도 가족끼리 하고 끝냈었는데 그 이후로도 점점 그렇게 하는 사람들 많아지잖아요.

  • 13. 으이구
    '25.2.10 9:31 AM (210.205.xxx.119)

    이런것도 모르고 눈치없이 큰홀 계약해서 회사사람 부르던 남편. 돈 내고 호텔식사하면 오는 사람도 좋지뭐 이런 말을. 결국 구세대가 없어지고 물갈이 되어야 문화가 바뀔 것 같네요.

  • 14. .........
    '25.2.10 9:32 AM (183.97.xxx.26)

    빙모빙부상 이런것도 좀 안보냈음 좋겠어요.

  • 15. 참나
    '25.2.10 9:34 AM (49.164.xxx.30) - 삭제된댓글

    가지마요..어디다 화풀이야?

  • 16. ..
    '25.2.10 9:47 AM (223.57.xxx.98)

    제목 참.. 님 지인들에게 단체문자 보내세요.
    왜 여기서 화내요?

  • 17. ...
    '25.2.10 10:09 AM (39.7.xxx.119)

    제가 스몰웨딩을 했어요. 딱 20명. 가족들도 다 못불렀고, 초대하지 못했기 때문에 축의를 거절하는 문구를 넣었어요.
    다들 아쉬워했지만 속으로는 좋아했을거라고 봐요.
    그럼에도 부득불 오겠다고 우겨서 지인두명은 오기도 했어요. ㅎ
    뿌린거에 대한 아쉬움이 들지 않도록 마음의 준비를 잘 하고 있었는데, 종종 생각나긴 하더라고요. 내가 가서 축하해주고 축의를 준 사람중에 대부분은 다른 방식으로라도 축하를 했는데, 받기만 하고 정말 말로만 축하한다고 한 사람도 있긴 하거든요.
    이 사람이 나한테 먼저 연락하지 않는다면, 이 관계에 대해 너는 이 정도라고 생각하는구나... 하고 저도 연락하고 싶지는 않을 것 같아요.

  • 18. ..
    '25.2.10 10:22 AM (59.9.xxx.163)

    결혼식 장례식 돌잔치로 장사해야는사람들이 주로 부릅니다.
    진짜 직계나 절친들로만 하는게맞아요

  • 19. 그쵸
    '25.2.10 10:29 AM (169.212.xxx.150)

    스몰웨딩나
    가족장례 점점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근데 자게글에서 연세 많은 분들이 많으니
    장례식에서 가족장례나 빈소 안 차리고 약식으로 하는 글에
    이런 거 처음본다고 막 뭐라하던 분들이 생각나네요.

    코로나 이후에 점점 일반화되는 추세인데 본인만
    모른다고 뭐라하다니..
    원치않는 축의,부의금 때문에 다들 부담스러워하면서 말이죠

  • 20. 휴식
    '25.2.10 11:33 AM (125.176.xxx.8)

    호텔결혼식
    축의금 더 내야하나 고민하게 만들어요.
    그래서 가깝지 않으면 핑게대고 축의금만 주고 안가요.
    미안해서.

  • 21. 심지어
    '25.2.10 2:12 PM (58.230.xxx.181)

    할머니까지... 얼마전 자기 오빠 장례식에도 부르는데 참..

  • 22. ...
    '25.2.11 12:46 AM (112.166.xxx.103)

    전 결혼식은 좋던데..

  • 23.
    '25.2.11 1:05 AM (183.99.xxx.230)

    뭘 또 부르지 말라구 ㅎㅎ
    받아서 안갈만 하면 신경 안쓰면 되죠.
    사는 게
    결혼식도 가고.장례식도 가고
    서로 다니며 사는 거죠.

  • 24. 2222
    '25.2.11 1:20 AM (218.48.xxx.188)

    이제 진짜 결혼식 장례식 돌잔치 다 가족끼리만 하는걸로 아예 법으로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22222

  • 25. 진짜
    '25.2.11 2:15 AM (72.12.xxx.162)

    가까운 사이들이나 결혼식 초대해줬으면 ...

  • 26. 지긋지긋
    '25.2.11 2:29 AM (151.177.xxx.53)

    거두지도 못하고 몸만 빠져나옴. 십 년간 한달에 30만원씩 낸것같음.
    다 결혼식. 돌잔치!!! 미친나. 지새끼 지나 이쁘지 거기에 왜 돈달라고 왜 뿌리냐.

  • 27. 맞아요.
    '25.2.11 3:08 AM (221.138.xxx.71)

    부조금사양하는 결혼식이라면 굳이 반대안할게요

    가족끼리 하시고 주변인은 제발 부르지 마세요
    2222222222222222222

    주말에 좀 쉽시다.
    장례식은 상주 마음이 힘들테니 왠만하면 가겠는데
    결혼식은 이거 뭐..
    지들 좋아서 뽀뽀를 하던 포옹을 하던 알아서 했으면 좋겠어요.
    이벤트랍시고 친구들이랑 장난치고 풍선날리고..
    그냥 니들끼리 하세요

    돌잔치 부르는 사람은 아예 대놓고 못간다고 말합니다.
    직계 가족 아니면 안가요.
    돌잔치 부르는 건 진짜 미친거 아닌가요? 요즘 시대에??

  • 28. 맞아요.
    '25.2.11 3:10 AM (221.138.xxx.71)

    얼마전 모임에서 딱 정했어요.

    부모님 장례까지만 가는 걸로요.
    시부모님이나 다른 친척 장례는 부르지 말자고 서로 얘기해 두었어요.
    그리 정하니 마음이 편하더군요.
    결혼식은 왠만하면 직계가족만 하거나, 부조금 안 받는 결혼식 하려구요.

  • 29. 모임이
    '25.2.11 4:12 AM (58.236.xxx.72)

    친구 모임이 두개인데
    두 곳 다 첫 시부상 친구가 안부르는거로
    스타트 끊어줘서 고맙더라구요 ㅜ

  • 30. ....
    '25.2.11 6:59 AM (203.142.xxx.241)

    뭘 또 부르지 말라구 ㅎㅎ
    받아서 안갈만 하면 신경 안쓰면 되죠.
    사는 게
    결혼식도 가고.장례식도 가고
    서로 다니며 사는 거죠.22222222

  • 31. ㅇㅇ
    '25.2.11 8:38 AM (118.235.xxx.107)

    빙모상/빙부상/시모상/시부상 이런건 안부르는 걸로 나라에서 법으로 정헤주면 좋겠어요
    결혼식이건 장례식이건 돌잔치건 6촌 이내만 참석하는 걸로 누가 아예 법을 제정해주면 좋겠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5399 김문수 주연의 그놈 목소리 5 ........ 2025/02/11 743
1685398 4일제든 5일제든 6일 일하는 사람들 10 .. 2025/02/11 1,040
1685397 마곡에 사시는분 계신가요? 5 .... 2025/02/11 1,227
1685396 베트남가서 g7커피를 사왔는데요. 8 베트남 2025/02/11 2,645
1685395 임신했을때 무식했던 일 10 임신 2025/02/11 2,742
1685394 하안검 수술 앞두고 있는데요 2 ㅇㅇ 2025/02/11 861
1685393 진짜 피부는 타고나는거 맞아요.. 25 옥수수차 2025/02/11 4,947
1685392 [단독]살인 교사, 과거 '극단적 시도' 여러번…초등생과 모르는.. 10 ㅁㅁ 2025/02/11 4,933
1685391 사주에 망신살이 있으면 그 해에 망신당할 일이 생기나요? 2 ........ 2025/02/11 876
1685390 고민정은 김남국에게 사과 안합니까? 3 부메랑 2025/02/11 1,221
1685389 25만원주고 주4일제하면 돈은 누가 내나요 26 이재명 2025/02/11 3,670
1685388 정신과는 다니다가 안 맞는것 같으면 얼른 옮기세요 2 흠.. 2025/02/11 1,108
1685387 사기치는 사람들이 하는 말의 공통점.. 5 ..... 2025/02/11 2,124
1685386 아파트 계단에 짐 신고 어디다 해요? 4 오늘 2025/02/11 1,535
1685385 주4일 하게 되면 금토일 말고 23 2025/02/11 3,274
1685384 고사위기에 처했는데 그동안 언론에 알리지 않았던 광주전남 여행업.. ... 2025/02/11 624
1685383 민주당만 지지해왔는데 이재명은 못뽑겠어요 118 .. 2025/02/11 3,803
1685382 직업상담사 1급 시험 어렵나요? 8 ㅇㅇ 2025/02/11 1,023
1685381 황당하게 피자 공짜로 받은 사연 12 ... 2025/02/11 3,995
1685380 지금 기사로 나오는 초등생 이름은 가명이죠? 3 ㅇㅇ 2025/02/11 2,394
1685379 82학번이에요 5 .. 2025/02/11 1,331
1685378 오곡밥에 멥쌀도 넣나요? 7 요알못 2025/02/11 1,096
1685377 주4일제 대찬성 29 주4일제 2025/02/11 3,031
1685376 집순이가 아니였는데 집순이로 변한 5 ........ 2025/02/11 1,685
1685375 울쎄라 추천하시나요? 8 ... 2025/02/11 2,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