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100억부자는..

부동산 조회수 : 4,353
작성일 : 2025-02-01 11:35:54

현금보유비중이 어떻게 될까요?

부동산이 80프로이상일까요?

12년전 부모님옆집에 사신 분이 100억이라 했었는데 

보니깐 종로쪽 건물 90억( 그 중 대출이 50억)이더라구요.

부동산에 묶여 있어서 그런가 두 분이 청소하고 집안일 하며

되게 검소하게 사시고 건물월세는 대출 갚고 딸 생활비주고..

친척도 100억대인데 다 건물값.

 

보통 100억대 되면 거의 부동산 비중이 큰가요..

그럼 자산형성에 부동산만한 게 없는 게 맞군요.ㅜ

 

IP : 39.7.xxx.212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25.2.1 11:37 AM (211.220.xxx.138)

    지금까지 주요 재산형성이 부동산이라서 그렇죠.
    앞으로는 어떨지 알 수 없고요.

  • 2.
    '25.2.1 11:40 AM (106.101.xxx.173)

    저희 친척 보니 건물 내놔도 안팔려요 그래서 빚이 늘어나서 들어오는 월세로도 감당 안되서 진짜 검소하게 살아요.

  • 3. ㅇㅇ
    '25.2.1 11:41 AM (118.217.xxx.155)

    저희도 비슷해요
    부동산에 묶여있고 대출이 크게 있고(약 50프로) 부부 둘 다 돈 쓰는 걸 좋아하지 않아서 검소하게 삽니다.
    아이들 교육에만 열심히 쓰는 편...

    강남 아파트 2개만 있어도 약 100억에 준하는데
    그런 사람들 많을걸요....??

  • 4. ...
    '25.2.1 11:44 AM (1.237.xxx.240)

    외국은 부동산 비중이 30프로인데 우리나라는 너무 기형적이에요

  • 5. ........
    '25.2.1 11:53 AM (121.141.xxx.193)

    팔려서 돈이 수중에 들어와야 100억이지...실제 내놓으면 그가격에 안팔려요
    세금도 많고

  • 6. ㅇㅇㅇ
    '25.2.1 12:14 PM (125.129.xxx.43)

    요즘엔 주식같은 현금 100억이상 젊은 부자도 많던데요. 코로나 이후, 주식이며 코인이며 너무 올랐어요.

  • 7. ...
    '25.2.1 12:16 PM (1.235.xxx.154)

    자산이 얼마냐 일때 부채도 포함시키던데 저는 생각이 달라요
    100억 건물 팔았어요
    이건물을 20억에 샀다고 하면 80억 이익이네
    이렇게 단순하지않아요
    10억쯤 대출받았다면 이거 갚아야하죠
    80억 차익 양도세 45프로 내면
    얼마가 내 수중에 들어오는거같아요

  • 8. kk 11
    '25.2.1 12:28 PM (125.142.xxx.239)

    부덩산 불패 시대였어서요

  • 9. 기다리자
    '25.2.1 12:45 PM (211.108.xxx.65)

    누구덕분에 부동산으로 부자가 됐을까요?
    문통께서 큰 덕을 쌓았다고 생각해요.

  • 10. 누구 덕분?
    '25.2.1 12:50 PM (223.38.xxx.217)

    누구덕분에 부동산으로 부자가 됐을까요?
    문통께서 큰 덕을 쌓았다고 생각해요2222222

  • 11. 20프로 50대
    '25.2.1 1:13 PM (220.65.xxx.29)

    사는 집만 부동산 20억 안쪽 - 20년째 살고 있음
    나머지는 다 동산 ㅡ 주식 채권 연금 등등 ㅡ 모토는 안전하게, 대박은 없다,- 그래서 더 큰?돈은 못 번듯도.
    사람마다 다 다르겠죠 보통 보면 100억 정돈 부동산 비율이 훨 높고.
    늘 하는 말이 세금 제하고 현금화 하면 얼마인데.라며 관리하는데 신경 쓰기 싫다고 단순하게 살자 주의임
    언제 죽을 지 모르는 인생 큰 돈 가지면 뭐하냐고

  • 12. ㅇㅇㅇ
    '25.2.1 1:41 PM (120.142.xxx.14)

    그냥 지나갈려다가 절대 부자 될 수 없는 댓글들 보여서 씁니다.
    저는 이명박, 박근혜때 부동산 여기저기 사놨어요. 서브프라임 모기지 여파로 세계 부동산 시장 침체기, 당근 한국도. 그게 문재인때 코로나로 QE 양적완화로 돈풀리면서 부동산과 증시로 몰리면서 올랐구요. 코로나 이전에도 침체를 벗어나기 시작하긴 했는데 코로나로 폭발. 이건 세계가 다 마찬가지. 문재인 탓하는건 걍 우물안 개구리가 나구나 생각하며 사세요.
    저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일때 부동산 무지 쌌어요. 그때부터 시작해서 그네때 초이노믹스때는 대출도 일으키며 부동산 좀 많이 사놨어요. 쓸만한 것 빼곤 정리했지만 여전히 대출 이자 올라서 예전보다 돈이 더들어요. 제경우엔 현재 캐시플로우가 좋아서...버티고 있어요. 재산을 지키는 건 골치아프고 힘든 일이예요. 거저 먹는게 아님요.

    좌간 부동산 증시 비트코인 금은..뭐가 됐든 돈버는 건 공부와 감이예요. 언론도 공부 해야 해요. 행간을 읽는 문해력이 있을려면 기본지식 있어야 하고 타고난 촉도 있어야 해요. 그다음은 판단했으면 실행하는 것.

    제발 윗분들처럼 아무말이나 뱉지 마세요 모르면.

  • 13. 쓸개코
    '25.2.1 2:22 PM (175.194.xxx.121)

    윗님 말씀하신거 가끔 여러분들이 얘기해줘도 소용없더라고요.

  • 14. ㅡㅡ
    '25.2.1 4:06 PM (61.255.xxx.4)

    요즘처럼 집값 비쌀땐
    100억이면 부자까진 아니고 잘사는 중산층정도라고 생각해요
    특히 다 부동산에 묶여있다면 더더욱
    주변에 건물주다 목에 힘주는 사람들 건물에 대출에 빠듯하게 사는 경우 많이 봐서요
    100억 넘어가고 그 중 현금주식이 50%이상 비중이 되어야 부자라고 생각
    저흰 50-60억까지는 전부 부동산으로 불리고 이후 생긴 수입은 생길때마다 주식으로 불려 200억대 됐어요. 이제 그때 부동산들도 살집만 빼고 다 정리중.
    100억 이상은 사업을 하거나 주식으로 가야 눈덩이처럼 불어남 부동산으로는 어림없음
    주변 수백억대 젊은 부자들은 집이나 건물에 관심이 덜해요. 부자가 되면 돈불리는 방법이 다양하게 들어옵니다 그들만의 리그…젊고 정보도 있는데 건물이나 비싼집에 혹해서 너무 많이 깔고 앉은 집들은 지금 상대적으로 재산 불리는 속도가 더뎌졌어요.

  • 15. 정말
    '25.2.1 5:14 PM (211.206.xxx.191)

    부자는 부동산에 몰빵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16. 서울에
    '25.2.1 8:17 PM (106.255.xxx.41)

    부동산 100 억 있어야.
    뭐 세금도 내야하고
    세가 다 나간것도 아님 또 빠듯해요
    지역마다 동네마다 건물마다 다 다르죠
    요즘 다 ㄹ힘들어서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3767 옷욕심많은자의 옷정리좀 도와주세요 8 ㄱㄱㄱ 2025/02/06 1,826
1683766 노원구 일반고(상계고)에서 의대가기 힘든가요? 19 ㅇㅇ 2025/02/06 2,333
1683765 포항 앞바다 유전 발표가 허당임을 예견한 조갑제 글 2 ㅅㅅ 2025/02/06 1,500
1683764 시댁어르신들 메뉴 좀 봐주세요 20 차나핑 2025/02/06 2,352
1683763 이영자 본인 머리숱 맞나요? 15 눈펑펑 2025/02/06 5,721
1683762 에어프라이어와 커피머신 7 ㅎㅎㅎㅎㅎ 2025/02/06 1,140
1683761 버스 정류장인데 3 ㅇㅇ 2025/02/06 1,122
1683760 자식이 먼저에요 손주가 먼저에요? 23 00 2025/02/06 3,442
1683759 김용현, 검찰 출석 전 '노상원 비화폰'으로 검찰총장과 통화 4 000 2025/02/06 1,913
1683758 클래식 공연을 가끔 가는데 19 2025/02/06 1,994
1683757 '엑트지오 아부레오'와 김명신은 무슨 관계입니까? 3 ........ 2025/02/06 1,340
1683756 윤수괴 뭔 개소리를 저렇게 길게 하나요 ㅡㅡ 20 아이스아메 2025/02/06 3,836
1683755 눈이 무섭게 와요 9 투모로우? 2025/02/06 3,813
1683754 중3딸 자기꿈이 방학 내내 학원안가고 공부안하는 거라고 8 사춘기힘들어.. 2025/02/06 1,490
1683753 오아시스 신선식품 택배배송 시켜 보신 분 계실까요? 3 nmn 2025/02/06 757
1683752 대학가는 여아 선물 결론입니다. 6 2025/02/06 1,813
1683751 대왕고래 경제성 없다…실패로 끝난 대왕고래 탐사시추 11 아휴 2025/02/06 1,759
1683750 곽종근, 헌재서 "尹대통령이 끌어내라고 한 건 국회의원.. 22 .. 2025/02/06 5,480
1683749 약과 몸에 많이 안좋나요? 22 ,,,, 2025/02/06 3,658
1683748 시아의 눈사람 넘 좋지 않나요? 5 오늘 2025/02/06 891
1683747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시추, 사실상 실패 4 ... 2025/02/06 984
1683746 근데 자식은 힘든거 참지말고 나한테 다 말해줬음 좋겠으면서 5 00 2025/02/06 1,613
1683745 서희원 재산 1200억원 구준엽하고 자녀하고 동등 분배라는데요 39 눈온다 2025/02/06 24,837
1683744 강남쪽에 눈 많이 오나요? 운전 괜찮을까요? 10 .. 2025/02/06 1,754
1683743 윤, 황제접견.. 하루평균 7회 외부인 만나 9 한겨레 2025/02/06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