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많이 벌면 그만큼 또 많이 써요

진짜 조회수 : 6,536
작성일 : 2025-01-29 12:07:13

맞벌이 고소득 부부들 

많이 벌면 그만큼 많이 써요.

월 생활비 1500 도 기본으로 느껴질 정도로 많이 써요.

생각보다 많이 벌어도 돈 모으기는 어려워요.

 

버는것 대비 많이 모은 사람은 따로 있더라구요...

 

 

IP : 211.186.xxx.7
3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5.1.29 12:14 PM (211.206.xxx.180)

    어릴 때부터 전문직 소득 높으신 친지가 매번 하신 말씀이네요.
    버는 것보다 쓰는 게 부자되는 데 중요하다.

  • 2. 그건
    '25.1.29 12:16 PM (223.38.xxx.70) - 삭제된댓글

    사람마다 다름
    저희는 500벌때나 1300버는 지금이나 쓰는건 별다르지 않아요
    그래서 지금은 돈이 많이 모여서 일년에 거의 일억이 모이더라고요

  • 3. 그쵸
    '25.1.29 12:18 PM (175.208.xxx.185)

    딱 맞아요
    맞벌이하면 더 쓰고 모이는건 똔똔
    안쓰는게 답입니다.

  • 4. 정말
    '25.1.29 12:19 PM (211.186.xxx.7)

    많이 벌어도 쓰는게 안느는 사람은 정말 대단한 사람이에요.

    맞벌이 전문직의 경우 둘이 잘 벌어 3ㅡ4천 벌면
    양가 200씩 400.
    대출이자 100
    시터이모 250
    아이들 학원비 250씩 500
    관리비 50
    식비 200
    옷. 기타 잡비 용돈 차유지비 300
    가끔 여행가는 달은 200 추가
    이러면 2천 금방 훌쩍 쓰더라구요....

  • 5. 맞아요
    '25.1.29 12:21 PM (118.235.xxx.140)

    그라고 많이 벌면 주변에서도 쓰는게 당연해요
    찬정에도 시가에서도 다른 형제가 밥한번 사면 너무 불편해하는데
    저희가 계산하면 너무 편안해 하세요 . 너희는 잘버니 편하게 먹어진다고

  • 6. 물론
    '25.1.29 12:21 PM (211.186.xxx.7)

    여행비는 적게 나갈때 200이고 많이나가면 여행비만 500 넘고 뭐 그러죠..

  • 7. 물론
    '25.1.29 12:21 PM (211.186.xxx.7)

    생각보다 별로 사치한것도 없는데 2.3천 훌쩍이 순식간이더라구요.

  • 8. ㅋㅋ
    '25.1.29 12:22 PM (49.1.xxx.123)

    어차피 못 모은다면
    많이 소비하면서 그만큼 경험치도 쌓일 거니까
    상대적으로 장점이 될 수도 있어요

  • 9. ..
    '25.1.29 12:25 PM (211.234.xxx.248)

    양가 400, 학원비 500, 여행비 200.
    사치는 아닌데 다른 집보다 씀씀이가 크긴 해요.
    물론 소득이 많으니 그렇겠지만요.

  • 10. 그래도
    '25.1.29 12:26 PM (59.6.xxx.211)

    많이 쓰더라도 많이 버는 게 좋죠.

  • 11. 와우
    '25.1.29 12:28 PM (122.32.xxx.106)

    시터250이면 애가 어릴텐데 학원비가250씩 2명?

  • 12.
    '25.1.29 12:32 PM (118.32.xxx.104)

    많이 벌고 많이 쓰는게 좋은거죠

  • 13.
    '25.1.29 12:37 PM (211.235.xxx.221)

    그래도 월 2천 세이브, 한 해면 2억 4천.
    많이 버는 만큼, 세이브하는 돈도 남들보다 많죠 .

    1억, 2억 연봉들이 근로소득으로만
    한 해 2억 4000만원, 2억 돈을 어떻게 세이브해요

  • 14. 애들
    '25.1.29 12:38 PM (211.186.xxx.7)

    애들 영유 1명 한명은 초저고 반나절 학습시터겸 돌보미겸 가사 시터면 저정도 쓰죠.
    학원비 500에 시터 250
    지인 얘기

    딱히 사치하는거 없어도 돈이 훌쩍.

  • 15. 그렇더라구요
    '25.1.29 12:44 PM (61.83.xxx.51)

    그래도 많이 버는 사람들이 좀 많이 써줘야 경제가 돌아가죠. 많이 버는 사람까지 아둥 바둥 허리띠 졸라매면 어쩌나요. ㅎㅎ. 저 대신 돈 많이 버시고 많이 쓰세요.
    전 돈 많이 버는 재주가 없어 많이 쓰지도 못해요. ㅠㅠ

  • 16. ..
    '25.1.29 12:47 PM (223.49.xxx.32)

    관리 안하면 쓰는거 쉽죠.
    관리하고 줄이고 노력해야 모이죠.

  • 17. "양가"님
    '25.1.29 12:49 PM (223.38.xxx.212) - 삭제된댓글

    양가에 각기 월 200씩, 양가에 월 400을 주는 집이 얼마나 된다고요
    기본 월 2000은 너무 오버한거네요
    쓰기 나름이죠

  • 18. 사람 나름이에요
    '25.1.29 12:55 PM (223.38.xxx.203)

    댓글에도 맞벌이로 연 일억씩 저축하신다는분 있었어요
    올해부터는 부부가 연 일억 넘게 저축 가능하시대요

    그런데도 커피 한잔 사드시는 것도 망설이신다고 댓글 쓰셨죠
    저축을 최대한 많이 하는게 최우선이신거죠

    제동생도 사업해서 돈 많이 벌지만
    소비는 크게 늘은게 없더라구요
    저축액이 엄청 늘었다는군요
    제동생은 아직도 돈 아끼며 저축 많이하고 살아요

    쓰는건 사람 나름이에요

  • 19.
    '25.1.29 12:58 PM (211.215.xxx.74) - 삭제된댓글

    당연 많이 벌면 많이쓰게 돼있죠
    어디에 가치를 두느냐 정리가 돼있음 좋아요
    고연봉 받고 잘 쓰는 것 까진 좋은데
    어어하다 은퇴 시기 다가와
    당황할 일만 없음 되는거죠
    생각보다 은퇴후 돈 더 씁니다
    이 정도면 괜찮겠지 할 정도로
    준비하고 은퇴했는데
    몇년 지나보니 공포스러울 정도로
    인플레에 현금 자산 가치가 하락하니
    심란스러워요
    자식에게 좀 더 주려는 거 포기하고
    지갑을 닫게되니 참ᆢ초라함까진 아니더라도
    인색해지는 나 자신이 씁쓸해지네요

  • 20. "정말"님
    '25.1.29 1:06 PM (223.38.xxx.70)

    양가에 각각 월 200씩, 양가에 월 400 주는집이 얼마나
    된다고요

    여행비 200씩도 매달 드는게 아니잖아요

    월 2000에서 매달 양가에 400씩 주는 집이 많은 것도 아니구요
    여행비 200도 매달 드는게 아니죠

  • 21. 아뇨
    '25.1.29 1:09 PM (211.186.xxx.7)

    거의 매달 200 여행비 쓰던걸요..
    한달에 1번만 비싼 호텔팩하고 한우 사먹으면 금방 150이죠.

    여행 길게 가는 달은 돈 천은 우습고요.

    정말 무섭게 써재끼는데 본인은 사치 안한다고 해요
    그런 사람들 많더라구요.

  • 22. ㅇㅇ
    '25.1.29 1:10 PM (182.172.xxx.53)

    많이 벌어도 늘 카드값은 연 1억은 안넘겨요
    나머지는 저축하고 건물사고 집사고 세받고
    자산 늘어가는 재미죠
    젊었을때 제대로 자산관리 안하면
    자식에게 손내미는거 남일 아니에요
    친척중 돈쓰는 재미들려서 남편이 남긴 100억대
    재산 다쓰고 자식이 철철이 보내준 20억가랑 돈도 다 쓰고
    기초생활수급자 된 분이 있으셔서요

  • 23. ㅇㅇ
    '25.1.29 1:11 PM (49.175.xxx.61)

    전 혼자인데도 벌이가 들쑥날쑥인데 많이 버는달은 엄청 써요. 살게 정말 하나도 없으면 디올립스틱이라도 하나 사와요. 안벌리는달은 누룽지 끓여서 김만 먹어요

  • 24. 정말
    '25.1.29 1:12 PM (211.186.xxx.7)

    돈 쓰는 건 순식간이에요..
    의식적으로 안 쓰려고 애써 노력해야 좀 모여요..

    많이 버는 집들은 그만큼 스트레스도 많으니까
    안 쓰려고 노력할 그 에너지가 부족하죠.. 항상.. 많이 풀어지게 되요

  • 25. 100억 재산가인
    '25.1.29 1:16 PM (223.38.xxx.195)

    사장님이 쓰러져서 재활병원에 입원했었거든요
    시설 좋은대신 병원비가 꽤 나가는 곳이었어요

    사장님이 병원비 아깝다고 서울 변두리쪽으로 옮기시더라구요

    부부가 밑바닥부터 시작해서 피땀 흘려 키우신 사업체인데요
    한번 크게 실패도 하셨었대요
    엄청 고생하며 사업으로 재기에 성공하신 분인데요

    100억 재산가도 돈 함부로 안 쓰더라구요
    그러니까 사업하며 100억 재산을 모으신 거겠죠
    너무 고생하며 모으신거라서 돈을 더 못 쓰시나봐요

  • 26. ..
    '25.1.29 1:17 PM (223.48.xxx.84)

    삼천 벌었는데 천팔백 쓰면
    천이백 남네요.
    많이 저축 하겠네요.

  • 27. ...
    '25.1.29 1:19 PM (223.38.xxx.215)

    양가에 월 400이나 주는집이 얼마나 된다고요
    그런집은 드문 케이스죠

  • 28. ...
    '25.1.29 1:21 PM (211.109.xxx.157) - 삭제된댓글

    시댁 200
    대학생1 월세100 생활비200 학비100
    대학생2 기숙사비40 생활비200 학비100
    남편 용돈인 카드값200
    여기에 생활비요
    전 아껴쓰고요

    문제는 남편 3500 저 400벌다가 남편이 이직하면서 1000 저 400인데 씀씀이는 똑같아요

  • 29. ...
    '25.1.29 1:23 PM (211.109.xxx.157) - 삭제된댓글

    시댁 200
    대학생1 월세100 생활비200 학비100
    대학생2 기숙사비40 생활비200 학비100
    남편 용돈인 카드값200
    여기에 생활비요
    전 아껴쓰고요

    문제는 남편 3500 저 450벌다가 남편이 이직하면서 1000 저 450인데 씀씀이는 똑같아요

  • 30. 고생하며 모은분
    '25.1.29 1:24 PM (223.38.xxx.102)

    들중에 돈 잘 못 쓰는 분들도 꽤 있어요

    그래서 버는 사람 따로 쓰는 사람 따로란
    말도 있잖아요

    전원주씨처럼 고소득자라도 저축에 더 보람 느끼시는
    분들도 꽤 있잖아요
    전원주씨도 초창기엔 서러움도 많이 겪다가 뒤늦게
    뜨신 분이죠

  • 31. 저는
    '25.1.29 1:32 PM (124.59.xxx.119)

    희한하게 많이 벌면 적게써요
    조금벌때는 별로 모아지는게 없으니 그녕저냥 별생각없이 쓰고 남으면 모아지는 개념으로 가는데요
    월급이 많아지면 모아지는 재미가 있으니 완전 긴축재정모드로 가요.
    남편이 해외근무하는 때가 있는데 그럴때 월급이 많거든요.
    그럼 저는 거의 안쓰고 다 모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4980 국민 10명 중 7명 "작년보다 가계 형편 나빠졌다&q.. 3 ... 2025/03/20 1,113
1694979 의대생들요 20 ufg 2025/03/20 2,916
1694978 침여연대와 손잡고 국회의원 속여 대국민 사기를 벌인 사기꾼 .. 2025/03/20 563
1694977 제주도 사찰 7 추천기다립니.. 2025/03/20 859
1694976 윤썩열탄핵기원)뜬금없지만 민주당이 간첩법 반대한 이유 아시는분?.. 29 탄핵인용 2025/03/20 862
1694975 고등 총회 처음가는데.. 복장이랑 가서 뭐 물어보고 무슨 얘기해.. 2 학부모 2025/03/20 1,085
1694974 전국지표조사_ 윤석열 탄핵 파면 60% 7 여조 2025/03/20 846
1694973 겨우내 감기 걸리네요 왜일까요? 8 ㅇㅇ 2025/03/20 1,239
1694972 문서촬영PDF로 바꾸는 어플 추천부탁드려요 4 어플 2025/03/20 619
1694971 임대수익 세금? 2 감사해요 2025/03/20 748
1694970 이재명 변호사비 당비지원 논란에…선관위 "유죄 받으면 .. 6 .. 2025/03/20 1,063
1694969 헌재에서 기자단에게 윤석열 탄핵 선고일, 브리핑실 이용 취재 신.. 7 oo 2025/03/20 1,696
1694968 우울하고 불안한 미래(인생 푸넘글입니다..) 25 .... 2025/03/20 3,283
1694967 만약 애매한 숫자로 기각되면 인용찬성한 재판관들이요 5 ,,,, 2025/03/20 1,081
1694966 매달 10만원 연금 3 2025/03/20 2,365
1694965 손이 논바닥 갈라지듯이 각화되고 말라서 갈라지고 아픈데요 8 잘될 2025/03/20 891
1694964 내가 나를 바꿔야 할거 같아요. 2 ㅇㅇㅇ 2025/03/20 1,111
1694963 아이 유치원 고민이예요. ㅠㅠ 조언좀 부탁드려요 38 .... 2025/03/20 1,851
1694962 가계부 추천??무료,구독 3 추천 2025/03/20 299
1694961 헌재 이것들 다음주에 하는 이유 뭐죠? 2 파면하라 2025/03/20 1,660
1694960 입술이 부풀고 입가가 찢어지는 거 어떻게 낫나요? 7 ... 2025/03/20 615
1694959 재밌게 할 수있는 운동 유투브 추천부탁드립니다 흥이나게 2025/03/20 155
1694958 왼쪽 두통이 며칠째 있는데요 .. 1 두통 2025/03/20 313
1694957 검경조서상 거짓말 잘하는 정치인 1위 윤석열 6 만다꼬 2025/03/20 642
1694956 이재명만 물고 늘어지는 국힘 무능해 보여요 25 000 2025/03/20 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