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5년생 천재 딥시크 설립자, 하루 만에 엔비디아 847조 날려버렸다

... 조회수 : 4,218
작성일 : 2025-01-28 19:01:35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918157?ntype=RANKING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 고성능 AI모델을 선보여 전 세계예 충격을 준 가운데 딥시크 설립자인 1985년생 량원펑(40)에 세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매사추세츠공대(MIT) 등에 따르면 량원펑은 2023년 5월 딥시크를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했다.

1985년생 중국 광둥성 출신인 량원펑은 공학 분야 경쟁력이 강한 명문대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으며, AI를 사용해 주식 투자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연구했다.2007년 학사 학위, 2010년 석사 학위를 받은 량원펑은 대학을 졸업한 후 몇 년 뒤인 2015년 대학 친구 2명과 함께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했다. 그곳에서 컴퓨터 트레이딩에 딥러닝 기법을 선구적으로 적용해 자금을 끌어모았고, 펀드 자산은 4년 만에 10배 이상 늘어나 80억 달러(약 11조5000억 원) 수준으로 불어났다.

량원펑은 이후 소규모 AI 연구소를 만들어 운영하다가 독립적으로 딥시크를 창업했다.

WSJ는 량원펑이 스스로 펀드 트레이더보다는 엔지니어로 인식되는 것을 선호한다고 그의 지인들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경제매체 포브스는 딥시크에 중국 최고 명문대 출신의 젊은 인재들이 모여 있다며, 전통적 업무 경험보다 기술적 능력을 우선하는 채용을 통해 "AI 개발에 대한 신선한 시각을 가진 고도로 숙련된 팀을 구성했다"고 전했다.

량원펑은 2023년 5월 중국 매체 36Kr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 개발자 대부분이 대졸 신입이거나 AI 업계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의 핵심 기술적 역할은 대부분 신입사원이나 경력이 1∼2년 정도인 사람으로 채워져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대부분 중국 AI 스타트업이 업계에서 인정받은 연구원이나 해외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유학파를 선호하는 데 비해 딥시크는 국내파 위주로, 이는 인재에 대한 딥시크의 접근방식이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IP : 39.7.xxx.11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박수
    '25.1.28 7:06 PM (1.218.xxx.74) - 삭제된댓글

    이건 진짜 중국이 잘한것

  • 2. .....
    '25.1.28 7:27 PM (211.235.xxx.223)

    와...진짜 엔지니어들.....이 나라를 살리고 세상을 이끌어가네요.

  • 3. 클릭은 마셔요
    '25.1.28 7:46 PM (106.101.xxx.173)

    데일리안

  • 4. ..
    '25.1.28 8:17 PM (211.251.xxx.199)

    이런거보면 큰 비용이 필요없이
    인류 기술발전이 가능하다는건데
    자본주의를 추구하고 거대기업들이
    판치는 서구에서 본인들의 이익을 위해
    저걸 용인헐까

  • 5.
    '25.1.28 8:20 PM (61.105.xxx.21)

    우리의 핵심 기술적 역할은 대부분 신입사원이나 경력이 1∼2년 정도인 사람으로 채워져 있다
    ---- 이 부분이 놀랍네요. 중국의 미래가 밝아요
    우리는 미래가 없잖아요. 똑똑한 아이들 다 의대로 빠지고, 얼마 안되는 인재들은 대우 좋은 미국으로 가버리고.

  • 6. ...
    '25.1.28 9:01 PM (58.234.xxx.21)

    그러게요
    매일 중국 무시해도 저런걸 해내는 젊은 세대들이 있다는게 역시 무시 못할 저력이 있어요
    우리나라 애들 공부 좀 한다하면 다들 의대
    절대 못따라갈듯

  • 7. 아마
    '25.1.28 9:11 PM (223.39.xxx.183) - 삭제된댓글

    대부분 중도는 비슷한생각일거에요
    아시다시피 82는 개딸쪽이라
    공감안해줄거구요

  • 8. ....
    '25.1.28 10:03 PM (219.255.xxx.153)

    클릭은 마셔요
    '25.1.28 7:46 PM (106.101.xxx.173)
    데일리안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정치병 환자 때문에 나라가 발전이 안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8710 의전원출신에겐 진료 안받으세요? 38 병원 2025/02/22 3,233
1688709 정청래 의원 최후변론서 작성 중 7 나옹맘 2025/02/22 1,631
1688708 구동기 교체후 관리비 더 나오는거 같은데... 4 궁금 2025/02/22 832
1688707 나이드니 운신의 폭이 좁아지네요 3 2025/02/22 3,015
1688706 시누이나 시동생이 설쳐대는 집은 29 2025/02/22 4,482
1688705 언제까지 尹·李에 매달릴 건가 39 ** 2025/02/22 2,078
1688704 2인용 소파 혼자 버려야 하는데 좋은 방법 있을까요? 16 ㅇㅇ 2025/02/22 1,569
1688703 펌)도올 인터뷰 2 ㅗㅎㄹㅇ 2025/02/22 1,359
1688702 52세. 이제 개인연금 가입하려고 합니다. 64 주린이 2025/02/22 5,112
1688701 그럼 심한 언어 폭행을 당하면서도 사는 여자의 심리는 뭘까요? 12 ... 2025/02/22 2,114
1688700 “탄핵 기각되면 직무 복귀해야”…尹측, 구속취소 의견제출 15 ... 2025/02/22 3,232
1688699 두 집 중 어디가 나을까요? 13 ㅡㅡ 2025/02/22 1,886
1688698 결혼 잘한 비결 15 나름 2025/02/22 6,495
1688697 남편한테 평생 매이며 생활많이 하시죠 29 생각보다 2025/02/22 4,267
1688696 잘못했다 미안하다 7 ㅇ ㅇ 2025/02/22 1,630
1688695 현대차 신사옥포함 GBC개발사업 1 삼성동 2025/02/22 729
1688694 내년 입을 패딩 언제사야 싼가요 8 Ppp 2025/02/22 3,145
1688693 이 곡 들으시면서 일하면 능률 짱! 피아노곡이요 9 둥글게 2025/02/22 1,328
1688692 은성 좌식 실내자전거 고민 7 ㅇㅇ 2025/02/22 715
1688691 집에만 있는 시어머니 공폰 싸게 살려면 4 ... 2025/02/22 1,119
1688690 달리기하면 근육이 붙나요? 10 oo 2025/02/22 1,756
1688689 2월 말 날씨가 원래 이렇게 춥지 않았죠? 7 ㅓ....... 2025/02/22 2,161
1688688 비호감 이재명을 지지함 35 ..... 2025/02/22 2,068
1688687 네이버 부동산에 집 볼때 부동산 3곳이면요. 5 ㅡㅡ 2025/02/22 914
1688686 신림동 월세 알아보는데 어떨까요 5 호야 2025/02/22 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