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5년생 천재 딥시크 설립자, 하루 만에 엔비디아 847조 날려버렸다

... 조회수 : 4,200
작성일 : 2025-01-28 19:01:35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918157?ntype=RANKING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 고성능 AI모델을 선보여 전 세계예 충격을 준 가운데 딥시크 설립자인 1985년생 량원펑(40)에 세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매사추세츠공대(MIT) 등에 따르면 량원펑은 2023년 5월 딥시크를 중국 항저우에서 설립했다.

1985년생 중국 광둥성 출신인 량원펑은 공학 분야 경쟁력이 강한 명문대인 저장대에서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으며, AI를 사용해 주식 투자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연구했다.2007년 학사 학위, 2010년 석사 학위를 받은 량원펑은 대학을 졸업한 후 몇 년 뒤인 2015년 대학 친구 2명과 함께 '하이-플라이어'(High-Flyer)라는 헤지펀드를 설립했다. 그곳에서 컴퓨터 트레이딩에 딥러닝 기법을 선구적으로 적용해 자금을 끌어모았고, 펀드 자산은 4년 만에 10배 이상 늘어나 80억 달러(약 11조5000억 원) 수준으로 불어났다.

량원펑은 이후 소규모 AI 연구소를 만들어 운영하다가 독립적으로 딥시크를 창업했다.

WSJ는 량원펑이 스스로 펀드 트레이더보다는 엔지니어로 인식되는 것을 선호한다고 그의 지인들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경제매체 포브스는 딥시크에 중국 최고 명문대 출신의 젊은 인재들이 모여 있다며, 전통적 업무 경험보다 기술적 능력을 우선하는 채용을 통해 "AI 개발에 대한 신선한 시각을 가진 고도로 숙련된 팀을 구성했다"고 전했다.

량원펑은 2023년 5월 중국 매체 36Kr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 개발자 대부분이 대졸 신입이거나 AI 업계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의 핵심 기술적 역할은 대부분 신입사원이나 경력이 1∼2년 정도인 사람으로 채워져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대부분 중국 AI 스타트업이 업계에서 인정받은 연구원이나 해외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유학파를 선호하는 데 비해 딥시크는 국내파 위주로, 이는 인재에 대한 딥시크의 접근방식이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진단했다.

IP : 39.7.xxx.11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박수
    '25.1.28 7:06 PM (1.218.xxx.74) - 삭제된댓글

    이건 진짜 중국이 잘한것

  • 2. .....
    '25.1.28 7:27 PM (211.235.xxx.223)

    와...진짜 엔지니어들.....이 나라를 살리고 세상을 이끌어가네요.

  • 3. 클릭은 마셔요
    '25.1.28 7:46 PM (106.101.xxx.173)

    데일리안

  • 4. ..
    '25.1.28 8:17 PM (211.251.xxx.199)

    이런거보면 큰 비용이 필요없이
    인류 기술발전이 가능하다는건데
    자본주의를 추구하고 거대기업들이
    판치는 서구에서 본인들의 이익을 위해
    저걸 용인헐까

  • 5.
    '25.1.28 8:20 PM (61.105.xxx.21)

    우리의 핵심 기술적 역할은 대부분 신입사원이나 경력이 1∼2년 정도인 사람으로 채워져 있다
    ---- 이 부분이 놀랍네요. 중국의 미래가 밝아요
    우리는 미래가 없잖아요. 똑똑한 아이들 다 의대로 빠지고, 얼마 안되는 인재들은 대우 좋은 미국으로 가버리고.

  • 6. ...
    '25.1.28 9:01 PM (58.234.xxx.21)

    그러게요
    매일 중국 무시해도 저런걸 해내는 젊은 세대들이 있다는게 역시 무시 못할 저력이 있어요
    우리나라 애들 공부 좀 한다하면 다들 의대
    절대 못따라갈듯

  • 7. 아마
    '25.1.28 9:11 PM (223.39.xxx.183) - 삭제된댓글

    대부분 중도는 비슷한생각일거에요
    아시다시피 82는 개딸쪽이라
    공감안해줄거구요

  • 8. ....
    '25.1.28 10:03 PM (219.255.xxx.153)

    클릭은 마셔요
    '25.1.28 7:46 PM (106.101.xxx.173)
    데일리안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정치병 환자 때문에 나라가 발전이 안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1235 박정희는 계엄 하루 전에 미국에 알리긴 했다네요 1 dd 2025/01/31 1,768
1681234 내일 아침에 절편을 구우려고 하는데요 16 절편 2025/01/31 3,333
1681233 진짜 술이 다이어트에 적이네요 9 술이 웬수 2025/01/31 2,616
1681232 김부겸 "김경수 독한 말, 이런 게 민주당 경쟁력…국정.. 21 .. 2025/01/31 3,587
1681231 번역할 때 제일 어려운 것 4 .. 2025/01/31 1,764
1681230 이혼숙려재방보다 9 Fhjhgh.. 2025/01/31 4,388
1681229 나혼자산다 25 그래 2025/01/31 13,570
1681228 의류건조기에 무채 건조해도 될까여ㅎㅎ 16 땅지 2025/01/31 4,921
1681227 문형배 재판관님 글 재밌게 쓰시네요 16 ㅋㅋ 2025/01/31 4,441
1681226 수면밀ㅇ 매트리스 써보신 분 계세요? 5 ㅇㅇ 2025/01/31 442
1681225 외래 잡혀 있는데 2차 병원 또 갈까요? 2 ........ 2025/01/31 951
1681224 저의 무말랭이 활용법이요 29 @@ 2025/01/31 4,155
1681223 자진퇴사하면 실업급여 못 받는줄 알았는데... 13 ... 2025/01/31 7,082
1681222 갤럭시 s25 울트라 기변했어요 14 ooo 2025/01/31 4,035
1681221 중증외상센터 보다가 문득 겁이.. 3 ........ 2025/01/31 4,041
1681220 어머. ? 프랑스에서 지디가 일케 인기인가요? 13 2025/01/31 6,732
1681219 나혼자산다 하는 금요일이 참 좋아요 6 ㅎㅎ 2025/01/31 2,855
1681218 배란기 통증 2 질문 2025/01/31 910
1681217 당근 있으니까 좋네요 2 당근 2025/01/31 1,864
1681216 기차표가 매진이예요.ㅜㅜ 28 ... 2025/01/31 19,488
1681215 올해 연대문과 합격자 점수라는데 47 SFDyui.. 2025/01/31 15,364
1681214 조기대선때 걸러야하는 후보 9 ㄱㄴ 2025/01/31 2,313
1681213 노래 좀 찾아주세요 4 .. 2025/01/31 518
1681212 조국대표와 윤석열의 행태가 닮았다라는 의견 44 .... 2025/01/31 3,060
1681211 '노무현 정신'을 강조하는 정치인에게 8 2025/01/31 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