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차례를 없애는게 의미가 있나요?

근데 조회수 : 5,643
작성일 : 2025-01-28 17:14:24

차례 안지내도 모이면 떡국 끓이고 고기라도 굽고 과일 깎고 설거지하는건 동일한거 아닌지

그렇다고 양가 여행은 정말 더 사양이고요. 

IP : 114.206.xxx.112
4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외식해야죠
    '25.1.28 5:16 PM (218.48.xxx.143)

    차례 없애면 식당잡아 외식해야죠.
    떡국은 각자 집에서 끓여 먹으면 되요

  • 2. . . . .
    '25.1.28 5:17 PM (175.193.xxx.138) - 삭제된댓글

    차례상 필수인데, 안 먹는 것들 (떡, 약과, 한과, 북어포, 밤, 대추등등)안 사잖아요. 나물, 전도 먹는것만하면 되고요. 우리는 상차리는 비용 반정도 줄어들었어요.

  • 3. ...
    '25.1.28 5:17 PM (211.234.xxx.178)

    차례를 없애면 안모이개 되죠
    집집마다 다르겠지만
    저흰 이번에 없애셨는데
    형제들 지금 각집마다 여행가 있어요 ㅎㅎ
    하와이, 일본, 발리
    시부모님은 집에서 그냥 쉬신다하고요

  • 4.
    '25.1.28 5:18 PM (58.140.xxx.20)

    차례없애면 전.나물 차례상에 올라가는거 안하고 가족들 먹을것만 하면 일이 크게 줄을거 같아요.

  • 5. 개소리
    '25.1.28 5:18 PM (115.138.xxx.30)

    차례 제사 핑계로 맏이 집에 들쑤시고들어가서 먹는 밥과 과일은 하늘에서 떨어져요? 뒷정리는?
    올케집가서 대접받는 시누 입장이나
    아들집을 모임장소로 삼는 시모 입장인가보다. ㅉㅉ

  • 6. 근데
    '25.1.28 5:20 PM (114.206.xxx.112)

    흠 근데 차례를 없애 다 안모이게 되면 명절 연휴가 있을 필요가 없어지는거죠.
    밖에서 만나는건 괜찮네요

  • 7. 음식종류
    '25.1.28 5:22 PM (112.167.xxx.92)

    와 양이 다르잖아요 걍 모이면 반찬가게 산 밑반찬에 떡국이나 끓여 먹고 차한잔에 다과정도하고 바로 일어서면 되자나요

    솔직히 사람들 모이는것도 귀찮아 식당에 모여 밥한끼 먹고 차한잔하고 각자 돌아가면되고 편하게 연휴를 지내면 될일임

  • 8. ㅇㅂㅇ
    '25.1.28 5:23 PM (182.215.xxx.32)

    차례지내면 준비해야할게 훨씬 많죠..
    차례상 차렸다 치우는건 또 그냥 되나요

  • 9. kk 11
    '25.1.28 5:24 PM (114.204.xxx.203)

    꼭 그날 안봐도 되고
    밖에서 외식한끼로 끝나죠

  • 10. ,,,,,,,,,,,
    '25.1.28 5:24 PM (218.147.xxx.4)

    의미 없다 생각하시면 그냥 쭉~~하시길

  • 11. 근데
    '25.1.28 5:25 PM (114.206.xxx.112)

    차례상이라고 딱히 더 준비하는건 없는듯요
    밥 나물 탕국 전 떡 과일 아닌가요?
    사람들 모이면 여기에 갈비찜 하나 더 하고

  • 12. 님은 참
    '25.1.28 5:26 PM (112.167.xxx.92)

    인간들 모이든 안모이든 뭔상관이에요 명절이 이젠 연휴개념이에요

    연휴에 여행들 계획하거나 집에서 푹 쉬거나 하면 될일을 안모인다고 연휴가 있을 필요가 없다니

  • 13. Sakakk
    '25.1.28 5:27 PM (121.155.xxx.24)

    먹을 반찬만 간단히 하던지
    떡국만 끓이던지 하겠지요
    전을 안구워도 되면 시간이 많이 줄어들겠지요

  • 14. 음식
    '25.1.28 5:27 PM (211.234.xxx.222)

    안먹는 음식 하기 싫어요저는
    탕국도 나물도 전도 손 많이 가고 안좋아하는 음식.
    모여 외식하고 차나한잔 하든지...
    며칠전부터 장보고 음식하고 먹고 치우고ㅠㅠ

  • 15. ...
    '25.1.28 5:29 PM (39.7.xxx.142) - 삭제된댓글

    차례를 없앤다는 건 명절에 모이지 않는다
    이 의미에요.
    각자 여행을 가든 휴식을 취하든..알아서 할 일이고요.

  • 16. 지금
    '25.1.28 5:31 PM (115.164.xxx.53)

    음력이라는 달력자체를 사용 안한지가 언젠데
    음력설이라는거 자체를 없애는 것도 생각해 봐야할 듯
    그냥 단오나 삼복처럼요.
    없어지려면 저같은사람 죽고 우리 아이들 할머니될 때나 가능하려나요?

  • 17. ㅡㅡ
    '25.1.28 5:32 PM (1.222.xxx.56)

    비교불가..
    몰라서 하는 말인지

  • 18. .....
    '25.1.28 5:35 PM (114.200.xxx.129)

    차례를 없앤다는 건 명절에 모이지 않는다
    이 의미에요.
    각자 여행을 가든 휴식을 취하든..알아서 할 일이고요.222222

  • 19. 사람인가
    '25.1.28 5:35 PM (115.138.xxx.30)

    님집에서 간단하게 갈비찜 포함한 상 차려서 대접해요
    원글이나 그렇게 쉽고 간단하게 사세요

  • 20. ㅇㅇ
    '25.1.28 5:36 PM (39.7.xxx.167) - 삭제된댓글

    며느리 노동력 쥐어짜면서
    차례 지내는 건 무슨 의미가 있나요?
    죽은 조상 귀신을 위해서 모이는 건
    어떤 의미가 있죠?
    우리나라 전통문화도 아니고 허례허식
    뒤틀린 명절문화 계승하는 게 무슨 의미인가요?

  • 21. 명절
    '25.1.28 5:38 PM (114.204.xxx.203)

    우선은 손님 오는게 스트레스죠

  • 22. ...
    '25.1.28 5:38 PM (114.200.xxx.129)

    근데 이사람은 진짜 몰라서 물어보는것 같기는 하네요
    저희집은 차례상 아예없는집인데
    안차례본 제가 생각해도 비교불가의 상황인데도 물어볼정도면요

  • 23. ㅡㅡ
    '25.1.28 5:42 PM (1.222.xxx.56)

    친정은 차례와 제사없고
    시가는 차례랑 제사 다 지내는데서 25년..
    진짜 쓸데없는 짓.
    애도하는 마음이나 본적없는 조상 기리는 마음 1도 안생겨요.
    빨리 지나가라..

  • 24. 엥?
    '25.1.28 5:43 PM (125.178.xxx.170)

    차례 없애는 게 왜 명절에 모이지 않는다는
    의미일까요.

    저희는 20년 전 차례 없애고
    명절 아침에 만나 함께 밥 먹고
    과일, 커피 마시곤 헤어지는데요.
    맛있는 것 서로 해 와서요.

    그러면 서로 얼굴도 보고
    즐거운 명절인 거죠.

  • 25. 안모이면 장땡
    '25.1.28 5:45 PM (118.218.xxx.85)

    제일 좋은일 아닌가요?
    좋은사람끼리는 자주 봐도 좋지만 껄끄러운 사이라면 안볼수록 좋지 않을까요.
    안보다보면 나중엔 보고싶어질수도 있을지 몰라요.

  • 26. . .
    '25.1.28 5:48 PM (221.145.xxx.225)

    연휴에 쉬고 싶죠. 막히는 고속도로에서 보내고 싶지 않죠. 제발 명절 없애요.

  • 27. ...
    '25.1.28 5:52 PM (39.117.xxx.84)

    차례를 없앤다는 건 명절에 모이지 않는다
    이 의미에요.
    각자 여행을 가든 휴식을 취하든..알아서 할 일이고요.
    222222

    친정 입장에서야 딸이 수시로 연락하고 수시로 방문하고 수시로 챙기지만
    (아무리 안그런 딸도 있다고 하지만 딸이 아들보다는 많이 합니다)

    시가 입장에서는 요즘 올라오는 글들만 보아도 1년 중에 명절(설,추석 총2번), 생신(부.모 총2번) 또는 기제사일만 대면하니까
    시가 입장인 사람들은 이런게 존속되길 원하겠지요

  • 28. 내비도
    '25.1.28 5:56 PM (211.197.xxx.175)

    조금씩 줄여 나가는 거죠.
    현실에 바로 적응하는 현명하고 깨어있는 사람도 있지만, 옛 것과 비합리에 익숙했던 사람들도 생각해야 합니다. 그들도 사회 일원이고,양적으로 보면 없어서는 안 될 사람들이에요.

  • 29. 차례
    '25.1.28 5:57 PM (221.149.xxx.103)

    본인이 안해보시고 얻어 먹으셨나보다. 차례 지내려면 음식 가짓수가 그냐 저녁 한끼 먹는 거랑 같나요?

  • 30. 제 경우
    '25.1.28 6:00 PM (119.193.xxx.10)

    차례 없애도 명절 1박2일은 고정이에요
    이게 뭔가 싶어요

  • 31. =
    '25.1.28 6:03 PM (73.148.xxx.169)

    왜 자고 오나요? 먼 지방 빼고는 이해 안 가는 문화.
    결혼 20년 되어가는데 전혀 없어 다행

  • 32. ...
    '25.1.28 6:05 PM (110.14.xxx.2)

    차례상 없애는 것 큰 의미가 있어요.
    이분은 차례상을 자기집에서 자기가 주도하에 차려본 적이 없으시거나 일하는 것을 즐기는 분 둘 중 하나일 것 같아요.
    즐기시는 것이면 혼자 즐기시고 남들은 다 힘들다 하니 해본적 없으시면 입 닫으시고요.
    사람 먹을 상 차리고 치우고 하는 것도 힘든데 귀신 먹을 상 한번 더 차리는 것이라고요. 그 상 차리고 다시 사람 먹을 상 차리고 치워야 하고요. 그냥 힘들어요. 그냥.
    입만 갖고 오는 사람들도 싫고요. 차라리 먹을 입만 있음 괜찮아요. 말하는 입이 더 싫어요.

  • 33.
    '25.1.28 6:08 PM (58.140.xxx.20)

    원글님은 본인집에서 차례를 주관본적이 없는 사람

  • 34. 맞지요
    '25.1.28 6:12 PM (203.81.xxx.2)

    차례를 하든 안하든 모이고 음식만들고
    뭐 크게 다를게 있나요
    차례상 차리고 파하는 일이나 준거죠

    차례안지낸다고 양가 어른들 안찾아 볼것도 아니고
    외식외식들 하시는데 그게 가능한 집있고
    불가능한 집도 있을것이고요

  • 35. 왜 자고 오느냐
    '25.1.28 6:13 PM (119.193.xxx.10)

    시부모님이 당연하게 원하심.
    명절에만 보는 사이도 아니에요.
    이러니 저러니해서 달에 한번은 만나서 밥먹는데도 그래요

  • 36.
    '25.1.28 6:15 PM (118.32.xxx.104)

    차레가 문제가 아니라 모이는게 문제 아닌가요?
    보통은 차례 안지내는 집도 명절에 다 모이던데

  • 37. ㅇㅂㅇ
    '25.1.28 6:16 PM (182.215.xxx.32)

    본인이 다 해보신분인가요?
    아니라면 해보시고
    해보고도 별거아니다 싶으시면
    본인이 특별히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인거니까
    감사하며사시길...

  • 38. 나는나
    '25.1.28 6:30 PM (39.118.xxx.220)

    님이 차례준비 다 하는 거면 인정!!

  • 39. ㅇㅇ
    '25.1.28 6:33 PM (14.45.xxx.97) - 삭제된댓글

    확실한건 원글은 음식준비하는 사람이 아니고
    입만 들고 왔다갔다하는 사람이라는거

  • 40. ...
    '25.1.28 6:37 PM (59.9.xxx.163)

    못사는 집만 계속 모여요
    차례 제사는 덤이고 없애도 계속 모인다니까요
    명절이 대수인줄 알아서 모여자고 여자만 음식해대고
    가난하니 그리 보내지요

  • 41. 아니요
    '25.1.28 6:45 PM (180.69.xxx.152)

    제사 음식 따로, 사람 먹는 음식 따로예요...

    떡, 산적, 생선구이부터 시작해서 제사음식 정말 먹을만한거 아무것도 없어요...ㅠㅠㅠㅠ

  • 42. 이게
    '25.1.28 6:48 PM (180.71.xxx.214)

    차례지내던 집들은 안만나지 않고 고대로 만나서
    집에서 제사음식 비스무리 ( 거의 같은음식) 한거 둘러 앉아
    먹고 바러 헤어지기 뭣하니 집에서 티비 보다가 혹은 산책다녀
    와서
    또 점심먹고. 겨우겨우. 앉아있다 서둘러 일어나 나와요

    혹은
    집에서 안모이면. 밖에서 만나서 밥사먹고 차마시고
    할거 없어서. 공원 산책 혹은. 영화관가서 부모님 눈높이
    맞춰 재미없는 한국영회 블럭버스터 하나 골라 보고
    헤어지거나. 영화도 볼거 없으면. 지지부진하게
    시시껄렁 농담따먹기 하고 겨우 나옴

    부모님과 할얘기도 없고
    뭐 진짜 1 년에 1-2 번 만나는 사람들이야
    할얘기 좀 있을 수도 있지만
    생일에 만나 어버이날에 만나. 명절 2 번 만나
    그 외에도 또 1-2 번 보게 되잖아요
    거의 한두달에 1 번씩 보니. 다 사는거 아는데
    할얘기 없구요 한궁금

  • 43. 저는
    '25.1.28 8:24 PM (74.75.xxx.126)

    안 없애요. 왜냐면 어차피 제가 먹고 싶은 음식만 올려서 차례 지내거든요. 랍스터랑 위스키, 테라로* 커피 그런 아버지 좋아하셨던 음식 올리고요.
    모이는 것도 각자 맘대로. 온다는 사람 있으면 떡국 거리 좀 더 넉넉히. 근데 설에는 다 온다네요. 아마도 조카들 세뱃돈 땜에? 아무튼 모이면 반갑고 바쁘면 말고 아버지 생각에 차례는 안 없애요.

  • 44. 진상시모
    '25.1.28 8:30 PM (172.225.xxx.224)

    60부터 나 죽는다 타령하던 시모인데. 본인이 귀찮아서 제사 없애고도 효자 아들이 꼬박꼬박 갑니다. 시누들이 조정하기도 하고요

    며느리랑 같이 가면 친정갈까봐 집에도 안보내고 못가게 하더니
    아들만 보내니 아들 당일로도 보내더군요...

    본인도 밥하기 싫다면서 꾸역꾸역 집밥 고집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저는 맞벌이를 계속해왔고 제가 더 바쁘기에 음식 못합니다.

    후라이팬애 큰 전 못 뒤집습니다. 그집 아들도 마찬가지고요.

    제사지낼 때는 전 구우면 못 먹게했습니다만 지금은 따뜻할 때 먹으라 하는게 다르네요

    제발 밖에서 한 끼 사먹고 헤어지면 좋겠습니다. 손주 얼굴 보면서 엄마 안 닮고 아빠 닮아 어디도 이쁘고 어쩌네 무한반복도 듣기 싫어요.

  • 45. ee
    '25.1.28 10:54 PM (124.54.xxx.130)

    차례없음 불필요한거 안사고 안만드니 돈과 일이 훨씬 줄죠.

    떡, 산적, 생선구이부터 시작해서 제사음식 정말 먹을만한거 아무것도 없어요...ㅠㅠㅠㅠ 2222222
    진짜 다 맛없음.

  • 46. 리기
    '25.1.28 11:19 PM (106.101.xxx.12)

    명절이네뭐네 그런거 안갖다붙이고 그냥 연휴라고 하면 좋겠네요 가족들 만날사람들 만나고 여행갈사람 가고ㅎㅎ

  • 47. 외국도
    '25.1.29 1:06 AM (125.185.xxx.27) - 삭제된댓글

    추수감사절 ㅓ같은 날 싫어할까요? 진짜 궁금

  • 48. ㅇㅂㅇ
    '25.1.29 2:40 PM (182.215.xxx.32)

    차례음식 전날 만들어서 다 식어빠진거 맛도없어요
    만들어서 바로먹어야맛있지
    다 식어빠진건 이웃집도 못나눠줘요 맛없으니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7839 한동훈 지지는 윤시즌 2 13 ㅡㆍㅡ 2025/04/23 900
1707838 한동훈 인기가 엄청나네요 50 2025/04/23 6,449
1707837 일본에 쌀수출 하지 말았으면 6 .... 2025/04/23 1,505
1707836 맛김치 담글 때 배추절이고 안 씻고 담는 분 계세요? 8 김치담으려구.. 2025/04/23 1,399
1707835 추천 비추 기능으로 글 자동삭제되게하는 기능 어때요? 6 ..... 2025/04/23 244
1707834 대법 유죄 파기 환송에도 이재명 후보지위 안전한 이유 13 .. 2025/04/23 2,158
1707833 백수인데 하루하루가 너무 바빠요 8 ... 2025/04/23 4,903
1707832 아들 키우는 재미는 몇 살 까지인가요?? 30 궁금 2025/04/23 5,313
1707831 해야될 일은 안하고 정치질만 하고 있는 사법부, 조희대 ㅇㅇiii 2025/04/23 329
1707830 약한영웅에서 범석은왜?? 6 질문 2025/04/23 1,632
1707829 팔공산 갓바위 준비물 뭐있을까요? 15 ........ 2025/04/23 1,518
1707828 변상욱의 미디어 알릴레오에 봉지욱 이명수 기자가 나오네요. 1 ........ 2025/04/23 942
1707827 전 한동훈하면 폰 안빼끼려고 싸우고 비번 모르쇠만 생각나요 6 2025/04/23 985
1707826 조언 구합니다. 남편과 의견 충돌 23 조언 2025/04/23 4,180
1707825 광양 갈비가 그렇게 맛있나요? 7 2025/04/23 1,514
1707824 한동훈님은 부처 같은 분이시네요 31 .. 2025/04/23 2,783
1707823 이번 주 토요일 종로 연등행렬 해요 2 2025/04/23 796
1707822 조희대 적극적으로 대선 관여중이네요 17 ㅇㅇ 2025/04/23 2,203
1707821 화장 잘 하는것도 엄청난 복인듯요 11 ,,, 2025/04/23 4,246
1707820 불자이신분 기도처 유명한 사찰들 어디인가요? 몇가지 질문 좀 드.. 3 ... 2025/04/23 718
1707819 요즘 밥하기 너무 너무 싫어요 17 집안일 2025/04/23 3,445
1707818 려 염색약 쓰시는분들 색깔 여쭤요 6 ... 2025/04/23 990
1707817 옆집 아주머니가 근대를 주셨어요. 20 ... 2025/04/23 2,398
1707816 12층에서 투신자살한 여고생, 1층에서 받아내 구한 친구 42 ... 2025/04/23 27,868
1707815 피부과 정기결제 다니는 분들 1 피부 2025/04/23 1,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