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음식 맛내기 비법 풀어주세요

오늘고민 조회수 : 3,027
작성일 : 2025-01-27 20:49:34

아무거라도 좋아요.

음식 맛내기 비법좀 알려주세요 ㅜ

음식 잘한다고들 하는데 실은 70프로 실패.

한 30프로는 성공해요.

유투브보고해도 맛이 없을때도 있어요

이번설에 LA 갈비 했는데 맛없어서 구울때 설탕 뿌리며 구웠어요 ㅜ

오이를 무쳤는데 ..소금에 절이고 안씻고 그냥 무쳤더니 엄청 짰어요.

좀 대충대충하나봐요.

음식할때마다 유투브켜고 그람재가면서하는것도 피곤하고  간보기가 키포인트같은데 ...뭐든 하기만하면 맛있게 만들어내시는분들 ....팁하나씩 풀어주세요 !!! 감사!!!!

IP : 211.196.xxx.152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잘 못하면
    '25.1.27 8:51 PM (114.204.xxx.203)

    시판 소스 사서 약간 섞어서 써요

  • 2. 다시다
    '25.1.27 8:55 PM (175.208.xxx.185)

    다시다
    참치액젓
    굴소스
    미원
    동전육수

  • 3. ,,
    '25.1.27 8:58 PM (73.148.xxx.169)

    82쿡 푸드 앤 쿠킹에 히트레서피 대로 하니 절대 실패 없던데요.

  • 4. 대충대충
    '25.1.27 8:58 PM (219.255.xxx.120)

    안됩니다
    잡채는 눈감고도 하지~ 요럼서 뜨거운 물에 당면 불렸다가 망했던 경험으로 알았어요 요리는 정성

  • 5. ㅇㅇ
    '25.1.27 9:00 PM (118.219.xxx.214)

    오이 무침 백종원 오이무침 엄청 맛있어요

  • 6. phrena
    '25.1.27 9:01 PM (175.112.xxx.149) - 삭제된댓글

    사주에 식상이 잘 자리 잡아 발달해야
    요리 솜씨 있다고 해서 ᆢ 저는 제가 요리 꽝 일 줄 알았거든요
    (드물게 식상 전무한 사주ㅠ)

    근데 남편이 저와 결혼 결심하게 된 무의식적? 계기가
    저희집 초대해서 제가 알탕 만들어 한식상 차려주었었는데

    그 맛이 충격이었다고 ㅎㅎ

    요리해 본 적도 없고 ᆢ압구정 어느 가게에서 첨 먹어본
    알탕 이란 거에 반해서 ᆢ걍 기억 더듬어 재료 구비해
    본능으로 끓였을 뿐 ㅡ 결혼 이후 시가에서나 이웃에서나

    제 음식 먹어본 이들은 한결같이 식당 차리라 하고요

    저는 요리책이나 유튜브 조차 안 보고 그냥 완전 /감/으로
    만들고요 (더구나 요리 즐겁긴 커녕 왕부담ᆢ글구 요리에
    넘 에너지 쏟아부어 음식 만들면 소파에 쓰러져 있어야ㅠ)

    비법이랄 것도 없는 비법은 /육수/에 있는 듯요

    치마양지 ㆍ아롱사태 ㆍ국등심 등 고기에
    무ㆍ다시마ㆍ대파ㆍ양파ㆍ표고ㆍ마늘ㆍ생강 등등 요리
    하다 남은 온갖 자투리 야채 냉동했다 육수 낼 때 때려부음 ㅋ

    해물 베이스엔 지리멸? 디포리 건홍합 딱새우 바지락 북어대가리
    오징어 자투리 등등 온갖 건어물로

    간단한 감자채 볶음이나 애호박 나물에도
    육수로 볶거나 졸이니 ᆢ 깊은 맛이 베어드는 듯

    미원은 안 쓰지만
    조개 다시다ㆍ쯔유 같은 건 적절히 쓰고요^^

    카레 만들 땐 폰타나의 프렌치 어니언 수프에다 끓이고
    사과즙 갈어 넣고 등등

    그러니 맹물에 한 음식과 맛이 다를 수 밖에 없는듯요^^

  • 7. phrena
    '25.1.27 9:06 PM (175.112.xxx.149)

    사주에 식상이 잘 자리 잡아 발달해야
    요리 솜씨 있다고 해서 ᆢ 저는 제가 요리 꽝 일 줄 알았거든요
    (드물게 식상 전무한 사주ㅠ)

    근데 남편이 저와 결혼 결심하게 된 무의식적? 계기가
    저희집 초대해서 제가 알탕 만들어 한식상 차려주었었는데

    그 맛이 충격이었다고 ㅎㅎ

    요리해 본 적도 없고 ᆢ압구정 어느 가게에서 첨 먹어본
    알탕 이란 거에 반해서 ᆢ걍 기억 더듬어 재료 구비해
    본능으로 끓였을 뿐 ㅡ 결혼 이후 시가에서나 이웃에서나

    제 음식 먹어본 이들은 한결같이 식당 차리라 하고요

    저는 요리책이나 유튜브 조차 안 보고 그냥 완전 /감/으로
    만들고요 (더구나 요리 즐겁긴 커녕 왕부담ᆢ글구 요리에
    넘 에너지 쏟아부어 음식 만들면 소파에 쓰러져 있어야ㅠ)

    비법이랄 것도 없는 비법은 /육수/에 있는 듯요

    치마양지 ㆍ아롱사태 ㆍ국등심 등 고기에
    무ㆍ다시마ㆍ대파ㆍ양파ㆍ표고ㆍ마늘ㆍ생강 등등 요리
    하다 남은 온갖 자투리 야채 냉동했다 육수 낼 때 때려넣음 ㅋ

    해물 베이스엔 지리멸? 디포리 건홍합 딱새우 바지락 북어대가리
    오징어 자투리 등등 온갖 건어물로

    가장 간단한 감자채 볶음이나 애호박 나물에도
    육수로 볶거나 졸이니 ᆢ 깊은 맛이 베어드는 듯

    (달걀말이에도 바지락 육수 좀 넣어서 합니다
    씹을 때 톡 터지는 육즙?같은 느낌이 남 ᆢ)

    미원은 안 쓰지만
    조개 다시다ㆍ쯔유 같은 건 적절히 쓰고요^^

    가령 ᆢ카레 만들 땐 폰타나의 프렌치 어니언 수프에다 끓이고
    사과즙 갈아 넣고 등등

    그러니 맹물에 한 음식과 맛이 다를 수 밖에 없는듯요^^

  • 8. 그쵸
    '25.1.27 9:15 PM (219.255.xxx.120)

    요리부심 있는 동네엄마가 밥해주면 힐링되는데 분명히 재료 넣은거 별로 없는데 콩나물국이 달라요 물어보니 육수래요
    안보이는 재료에 신경쓴대요 전을 부치면 건새우가루 갈아넣는 식으로요

  • 9. 맛을
    '25.1.27 9:31 PM (211.186.xxx.7)

    일단 맛을 알아야 맛이 있어요. 뭔말이냐면
    맛있는 요리를 많이 먹어 미각이 발달해야 맛있는 조합을 찾아낼수 있다는 얘기에요.

  • 10. 일단
    '25.1.27 9:44 PM (211.196.xxx.152)

    육수 ..보이지않는 정성
    근데. ..정성을 너무 쏟으면 피곤해요 ㅎㅎ

    작은 과정도 꼼꼼하게 ㅜㅜㅜ

  • 11. ..
    '25.1.27 10:21 PM (222.103.xxx.181)

    음식은 간이 맞고 재료가 싱싱하면 반은 성공하는거 같아요. 간을 요리 마지막에 확인하면 초보는 100%프로 실패해요. 요리 중간 중간에 간을 꼭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해요. 원글도 오이 절이고 나서 바로 간을 봤으면 짜니까 씻는 작업을 했겠죠..그런식으로 중간과정에서 간을 봐가면서 양념을 조절해야해요.

  • 12. 간이
    '25.1.28 5:19 AM (142.126.xxx.46)

    안맞아서 그런듯. la갈비에 설탕을 뿌려 구웠다면 양념에 단맛이 부족했던거고요. 오이도 절이든 안절이든 양념이 엄청 짰으니까 결과적으로 쩐거에요. 중간중간에 맛을 보세요. 양념도 한꺼번에 넣는게 아니라 조금씩 조절해가며 넣는거죠. 윗분도 비슷하게 쓰셨는데 요리 못하는 사람일수록 중간에 간을 안보던데 무슨 자신감으로 그러는건지....
    일례로 lg갈비는 재놨다가(절대 짜게하면 안됩니다) 중간쯔음 한조각 꺼내서 구워먹어보고 부족한건 2차 간하세요. 그럼 망하진 않아요.

  • 13.
    '25.1.28 8:28 AM (115.138.xxx.158)

    처음 만들 때 괜찮은 레시피로 꼼꼼히 따라하기
    먹으면서 불필요하다 생각되거나 간 같은 거를 어찌해야 하는지 생각 이후에는 안 봐도 이 기억으로 잘 할 수 있음

    처음에 거창히 하다가 막판에 내 맘대로 간 조정하지 않기

  • 14. 요리
    '25.1.28 9:08 AM (221.149.xxx.103)

    장금이는 아니지만 다년간 경험상 요리는 본인 미각이 좀 발달해야 하고, 과학 특히 화학에 가까운 듯요. 평소 맛있는 음식 즐기고 재료 구입과 손질, 과정과 상차림까지 꼼꼼하게 해야. 시장통 관광지 조미료 잔뜩 들어간 음식 맛있다는 사람 많아서 걱정될 정도. 입맛도 음식도 양극화 ㅜㅜ

  • 15.
    '25.1.28 9:56 PM (121.167.xxx.120)

    요리 가르치는 곳에서 배우세요
    자격증반 말고 생활요리 가르치는 곳에서 배우고 두세번 같은 요리 반복해서 해보면 늘어요
    요리학원 강사의 요리비결도 배울수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5060 이재명 2심도 1심과 똑같이 나오면 어찌되나요? 18 ... 2025/03/20 2,593
1695059 윤수괴가 판사한테 절을 오만번을한다해도 탄핵 1 .. 2025/03/20 780
1695058 한덕수탄핵-이재명무죄-윤석열탄핵 8 .., 2025/03/20 951
1695057 스테로이드 (소론도 5mg) 먹어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7 ㅇㅇ 2025/03/20 947
1695056 아이패드 갤럭시탭 4 2025/03/20 436
1695055 고1 남아 체대가고 싶다는데요. 학원문의 10 ,,, 2025/03/20 985
1695054 이재명 2심 유죄뜨면 뭐그리 달라지나요?? 9 ㅇㅇㅇ 2025/03/20 1,638
1695053 굿데이 이번주 결방이랍니다 5 ........ 2025/03/20 2,471
1695052 헌재 xxx 법리고 나발이고 이래저래 터지는건 ... 4 ... 2025/03/20 990
1695051 콘클라베 일주일 넘으면 밥을 줄인다는데 4 헌재야 2025/03/20 1,945
1695050 박주민 이번주 선고가 70%라며 12 .... 2025/03/20 3,410
1695049 콜롬비아 멕시코 미국 장기여행 가는데 금 구입 1 ........ 2025/03/20 635
1695048 최욱이 삭발한 모습 보겠네요 3 ... 2025/03/20 2,382
1695047 헌재 이번주 탄핵 선고일 발표 안한다 23 플랜 2025/03/20 5,596
1695046 이재명 날리겠다는 속셈 31 너무뻔하다 2025/03/20 3,538
1695045 임대계약만료전 부동산에 내놓을때 건물주와 상의 해야죠? 4 봄봄봄이왔어.. 2025/03/20 428
1695044 고1아이 인강 or 과학학원 (인강 추천해주시면 감사합니다) 5 인강 2025/03/20 461
1695043 여자친구 선물 10만원 정도로 9 조언 2025/03/20 1,171
1695042 대학생 자녀 한달에 얼마 쓰나요 20 대학생 2025/03/20 4,168
1695041 트레이더스 오랜만에 평일에 6 123 2025/03/20 1,872
1695040 민주당이 발의한 탄핵건들 줄줄이 기각당했지만 10 ... 2025/03/20 2,320
1695039 이문동 vs. 광명동 16 ㅡㅡ 2025/03/20 1,437
1695038 예체능 특기있어도 대학 갈땐 아무 쓸모없죠? 1 .. 2025/03/20 543
1695037 삼성전자 계속 올라가는데 9 궁금 2025/03/20 3,382
1695036 어이없네요 헌재 완전 윤거니뜻대로 하고있는거잖아요 9 ddd 2025/03/20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