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625때 배우자 잃은 사람들

ㅅㄹ 조회수 : 1,845
작성일 : 2025-01-26 14:20:09

625전쟁으로 남자여자 할 것 없이  사람이   엄청 죽었고

여자보다 남자쪽이  피해를 더 많이  봤지 않았을까 싶은데

아빠없이 자란 아이들  엄청 많았을테고

그때 사회에서  물질직 지원같은게 있었을까요?

호남지방같은 경우는 거의  인구손실이 어마어마 했잖아요.  해방 후  제주43항쟁-여수순천 항쟁-625전쟁  등등...여자도 그렇지만  남자인구 손실이 더  컸을텐데

여자들 혼자 자식 키우기 너무   험난했을 것 같아요.

그땐 뭐  지원제도같은것도 없었을테고

생각해보니  전쟁후  한쪽 배우자 잃은 삶

너무   끔찍했겠어요 . 

여자들  홀로  자식 키우느라  고생많았겠어요. 

완전  지옥 그 자체였겠어요.

초등학교 보내기도 쉽지 않았겠어요.

 

 

 

IP : 223.38.xxx.231
3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시국에
    '25.1.26 2:21 PM (112.166.xxx.103)

    그런 게 있을리가요

  • 2. 정말
    '25.1.26 2:29 PM (223.38.xxx.231)

    정말 무슨 무(없을 무)에서 유를 만들어 낸거나 다름 없었을듯

  • 3. ..
    '25.1.26 2:31 PM (223.38.xxx.131) - 삭제된댓글

    저희 할아버지 신혼 때 군대 가서 돌아가셨는데
    별 혜택 없는데요
    할머니가 나라에서 다달이 받으셨지만
    여자 혼자라고 동네 남자들이 만만하게 굴고
    가만있는데 남자 꼬시는 여자로 소문도 만들어
    먼데로 이사하셨어요

  • 4. . .
    '25.1.26 2:32 PM (223.38.xxx.131) - 삭제된댓글

    저희 할아버지 신혼 때 군대 가서 돌격대로 앞장서
    전투지에서 돌아가셨는데
    별 혜택 없는데요

    여자 혼자라고 동네 남자들이 만만하게 다루려 하고
    가만있는데 남자 꼬시는 여자로 소문도 만들어

    먼데로 이사하셨어요

  • 5. 부모
    '25.1.26 2:33 PM (223.38.xxx.211)

    부모2분이 살아있는 집과
    홀부모만 있는집
    각각 경제적 격차가 너무 너무 많았을듯 싶고
    사회에서 그 어떤 복지도 못받았을 사실이 참 안타갑네요.

  • 6. ㅇㅇ
    '25.1.26 2:33 PM (219.250.xxx.211)

    전후로는 일자리가 없어서 고학력자들도 힘들었었죠
    공장이 있기를 할까 회사가 있기를 할까
    집들도 다 파괴되었고 전기도 수도도 하수도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던 시대에
    그런데도 한참 먹고 자라야 하는 자식들 하나 둘 셋 네씩 데리고 혼자 됐던 거지요
    그분들이 지금 살아 계시는 80대 어르신들이지요

    사회보장도 하나도 없고 세상의 편견은 한가득인데 자식들을 키워 오셨지요
    가치관이 다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어요
    어떨 때는 바라보면 답답하고 속 터지고 대화도 힘들지만
    그 억척스러움이 참으로 안쓰러워요 대단하시다는 생각도 들고요

  • 7. ..
    '25.1.26 2:34 PM (223.38.xxx.131)

    저희 할아버지 신혼 때 군대 가서 돌격대로 앞장서
    전투지에서 돌아가셨는데
    별 혜택 없는데요

    여자 혼자라고 동네 남자들이 만만하게 다루려 하고
    가만있는데 남자 꼬시는 여자로 소문도 만들어

    먼데로 이사하셨어요

    친척분도 어린 자식있는데 국난에 혼자 되니
    밤에 동네 남자들이 담넘고 덮어씌우려해서
    이사 하고

  • 8. 20년대생
    '25.1.26 2:39 PM (223.38.xxx.211) - 삭제된댓글

    1920년대생들이 해방후 20대였다면
    20대부터 남편없이 홀로 자식키우다가
    지금은 거의 돌아가시고
    그 자식들이 80이후 연령일 것 같아요
    되었을 것 같아요.

  • 9. ..
    '25.1.26 2:39 PM (182.220.xxx.5)

    그런거 없죠.
    국가도 파산 상태인데요.
    각자도생 하는거고 친지들 동네사람들이 돕는거죠.
    서로 도와가며 살았으니 살아남은 것 아니겠습니까?
    아이들도 유치원생 이상되면 부모 도우려고 애써요.

  • 10. 20
    '25.1.26 2:40 PM (223.38.xxx.211)

    1920년대생들이 해방후 20대였다면
    20대부터 남편없이 홀로 자식키우다가
    지금은 거의 돌아가시고
    그 자식들이 80세 이후 연령일 것 같아요

  • 11. ..
    '25.1.26 2:44 PM (182.220.xxx.5) - 삭제된댓글

    그래서 70대 80대 분들 중에 초등학교만 나오신분, 초등학교도 못나오신 분 많았죠.

  • 12. ..
    '25.1.26 2:44 PM (39.114.xxx.243)

    제가 66년 생인데요.
    70년대에 8살 9살 이럴때 막걸리 파는 집에 주전자들고 막걸리 사러 가곤 했어요.
    그때는 아이들에게도 술 심부름, 담배 심부름 시키는 시절이었거든요.
    막거리 사러 가면, 술항아리가 큰 장독 만 했는데 한되가 한바가지쯤 이였어요.
    지금 60인 내나이로 보면, 아직 젊은 40대쯤인 한복 저고리에 속치마보이게 몸빼 바지 입은 아줌마가 주인 이었어요.
    6 25때 남편 잃고 험난한 세월을 견디는 중인.
    한번씩 한스럽게 꺼이꺼이 울고 있던 주인 아줌마 기억이 잊혀지지가 않아요.

  • 13. ..
    '25.1.26 2:44 PM (182.220.xxx.5)

    그래서 70대 이상 어르신 중에 초등학교만 나오신분, 초등학교도 못나오신 분 많았죠.

  • 14. ㅇㅇ
    '25.1.26 2:46 PM (219.250.xxx.211)

    원글님 제가 아는 분 1934년생이고 지난해엔가 90 넘으셨는데
    전쟁에 참전하셨다고 들었거든요
    그러면 겨우 16, 17살에 참전했다는 얘긴가
    아니면 전쟁이 진행 중이던 18살 때 참전했을 수도 있겠네요
    일찍 결혼하셔서 아내분은 90 이전이시고요

  • 15. ㅇㅇ
    '25.1.26 2:47 PM (219.250.xxx.211) - 삭제된댓글

    어쨌거나 6.25 때 참전하셨던 분들은 80대 후반 90대 초중반인 분들이 가장 많으세요
    연로하시니 물론 돌아가셨을 수도 있지만 그 자제분들이 80대는 절대 아니에요

  • 16. 해방후
    '25.1.26 2:48 PM (223.38.xxx.211)

    1945년에 해방되고 바로 태어난 아이들이 현재 81세 되겠네요.

  • 17. ㅇㅇ
    '25.1.26 2:48 PM (219.250.xxx.211)

    어쨌거나 6.25 때 참전하셨던 분들은 80대 후반 90대 초중반인 분들이 가장 많으세요
    연로하시니 물론 돌아가셨을 수도 있지만 그 자제분들이 80대는 절대 아니에요
    10대 20대들이 참전한 거죠
    아내들은 더 나이가 어렸고요

  • 18. 625
    '25.1.26 2:53 PM (223.38.xxx.211) - 삭제된댓글

    625때 어린애들도 참전했죠

  • 19. 그래서
    '25.1.26 2:58 PM (61.74.xxx.175)

    그 분들은 먹는 것에 엄청 집착을 하시더라구요
    자식들을 굶기느냐 먹이느냐가 제일 중요했던 시대라 ㅠㅠ
    여권이 낮은데다 여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뻔했으니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남편 없는 여자는 쉬운 상대 취급 받았고 무시도 많이 당했죠
    여자는 약해도 어머니는 강하다는 게 무슨 말인지 느끼게 해주는 여성들인 거 같아요

  • 20. ..
    '25.1.26 2:59 PM (182.220.xxx.5) - 삭제된댓글

    45년생 625 당시 7살 지금 81세

  • 21. ..
    '25.1.26 3:02 PM (182.220.xxx.5)

    45년생 625 당시 7살 지금 81세
    그 나이 어르신께 들으면 공습 뜨면 산으로 도망가서 피신하던 얘기 들을 수 있습니다.
    밤새 있기도 했다고.
    아무리 어려도 상황 알고 울지도 않는다고 하네요.
    배고프면 쌀알 씹어먹기도 하고.

  • 22. ..
    '25.1.26 3:03 PM (182.220.xxx.5) - 삭제된댓글

    대부분 농촌이니 전쟁후에도 복구해서 농사지었어요.
    남자 없는 집이면 여자 혼자 자식들과 농사 지어야하니 고생 많이 했겠죠.

  • 23. ..
    '25.1.26 3:04 PM (182.220.xxx.5)

    당시는 대부분 농촌이니 전쟁후에도 복구해서 농사지었어요.
    남자 없는 집이면 여자 혼자 자식들과 농사 지어야하니 고생 많았을거예요.

  • 24. ..
    '25.1.26 3:07 PM (182.220.xxx.5)

    대부분은 고등학교 이상 나이대가 전쟁에 휩쓸렸고요. 중학생 이하 나이는 그런대로 대부분 살아남았어요.

  • 25. ....
    '25.1.26 3:08 PM (1.241.xxx.216)

    그치요 그냥도 어려운데 남편이 있어도 입에 풀칠하기 힘든데 그 남편 마저 없이
    어린애들 줄줄이 혼자 키우려고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그나마 그 시절에는 그런 집들이 상대적으로 많으니까 그게 위안이라면 위안이였겠지요

  • 26.
    '25.1.26 3:13 PM (39.7.xxx.214) - 삭제된댓글

    전사냐 병사냐에 따라 복지가 달랐어요
    보상이 좀 있었다 들었고(흔치않음)
    자식들이 70대후반?80대초반?분들부터 중고등 무상이 되었고(1960년중반?) 취직할 때도 국가유공자는 좀 혜택이 있었다 들었네요

    똑같이 전쟁나가고 병상에서 죽으면 혜택이 없어서 조금 억울 차라리 다치면 조금 혜택
    전사는 미망인(그땐 그렇게 부름)들에게 좀 혜택을 줬어요 연금도 젤 많이 줌
    십년전 돌아가신 전사하신 부인이 연금 200정도 받으셨어요

  • 27. ㅇㅇ
    '25.1.26 3:13 PM (223.38.xxx.211)

    1940년대 생들도 해방후 일들로 한쪽부모 없이 자란 애들 많을걸요. 애기였을때 625터져서 홀부모 따라서 피난도 많이 다녔을거에요.

  • 28.
    '25.1.26 3:16 PM (218.147.xxx.180)

    박완서 책을 읽으면 일제시대후기부터 625무렵의 얘기들이 선명하게 담겨있더라구요
    더 비참한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서울사람들은 그랬을거같고 시골에 있던 엄마 외할머니 얘길 들어봐도 비슷하더라구요

  • 29. ..
    '25.1.26 3:23 PM (182.220.xxx.5) - 삭제된댓글

    해방둥이들 자기 부모보다 못살고 못배운 사람들 꽤 있었을거예요. 제가 아시는 분도 그랬거든요.
    살아온 얘기 들어보면 고생 진짜 많이 하셨어요.

  • 30. ...
    '25.1.26 3:23 PM (211.36.xxx.246) - 삭제된댓글

    전쟁통에 남편 잃고 7남매 혼자 키우신 할머니 얘기
    많이 듣고 자랐어요
    저랑 동생 밥 먹기 싫어 도망다니는 거 이해가 안가셨겠죠

  • 31. 성장기를
    '25.1.26 3:48 PM (223.38.xxx.38)

    성장기를 고아로 자랐거나(전쟁고아)
    성장기를 홀부모 밑에서 자란 세대들이 많아서
    홀부모나 그 자식들도 많이 힘들었을 것

  • 32. ㅁㅁ
    '25.1.26 4:42 PM (221.139.xxx.130)

    그당시를 겪어냈던 어른 얘기 들었는데요
    당시엔 고아나 한부모 천지라
    어머니만 있었던 그 어른도 하나도 안슬펐데요.
    워낙 환경이 그랬던 시절이라

    물론 이 시대에다 예쁜 2층 양옥집에 부모님과 살던 친구도 있었지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0842 제사 없애기 힘든 이유 23 2025/01/30 7,156
1680841 새로운 밥도둑 발견 ........ 2025/01/30 2,320
1680840 주지훈은 마약까지 했는데 잘나가네요 42 마약사범 2025/01/30 12,864
1680839 구치소에서 술 못 먹는거 맞을까요? 2 .... 2025/01/30 1,751
1680838 버츄오 캡슐 추천 받습니다. 4 캬라멜쓰다 2025/01/30 761
1680837 전 민주당 후보 뽑습니다 29 .... 2025/01/30 1,199
1680836 서울 구축 전세놓고 경기신축 전세갈때 문제점. 8 궁금 2025/01/30 1,576
1680835 (비위상함주의) 변기 이 부분은 어떻게 닦으시나요. 16 .. 2025/01/30 2,460
1680834 교사들 연금 수령 10년을 못받는다는 소리 듣고보니.. 37 .. 2025/01/30 14,997
1680833 이케아소파 괜찮나요 4 소파 2025/01/30 1,526
1680832 프랑스 자선콘서트는 출연가수들 출연료안받나요? 1 2025/01/30 1,232
1680831 미국 의사들이 말하는 한의학 10 링크 2025/01/30 3,710
1680830 뒷베란다에서 물떨어지는소리 계속 나요 7 ... 2025/01/30 1,059
1680829 헌신적인 사랑 3 헌신 2025/01/30 1,192
1680828 TV 육아 프로그램, 부부 프로그램 보면 제일 놀라운 게요 .. 2025/01/30 749
1680827 (스포쬐금) 나완비 이준혁 드라마 보다가 이해가 안 가는 건 5 이해불가 2025/01/30 2,242
1680826 [알림] 파주 운정참존교회와 일명 '투블럭남'은 아무 관계가 없.. 3 ........ 2025/01/30 2,683
1680825 김건희 내란수괴] "윤석열, 계엄 직전 '와이프도 몰라.. 19 김건희 내란.. 2025/01/30 3,876
1680824 추접해진 언니 50 .. 2025/01/30 20,885
1680823 여기서 줄리 찬양글이 나왔던 이유 진짜 모르세요? 7 ㅇㅇ 2025/01/30 1,820
1680822 김건희 의혹 '양평고속道' 예산 불용 12 그나마다행 2025/01/30 3,548
1680821 내란당 뇌에 바르는 약이 나왔네요. 5 민주어벤져스.. 2025/01/30 1,876
1680820 헌신적인 사랑 해보신 적 있으세요? 10 .. 2025/01/30 2,244
1680819 을사년 사술 원진 되는데 3 깆드 2025/01/30 1,454
1680818 요리를 너무 못하는 사람은 이유가 뭘까요 24 00 2025/01/30 4,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