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지방에 집을 6억주고 사야할지 고민이네요.

지방 조회수 : 6,481
작성일 : 2025-01-22 10:39:41

경기도 6억 집팔고 창원으로 왔습니다.

현재 전세인데 50대라 정착하고 싶고요.

이쪽에 친정시댁있어 되도록이면

이언저리로 살고싶어요.깨끗한 신축을

원하는데 중심지는 싼게 6억이네요.

외곽으로 빠지면 중심지까지 30분거리고

준신축 3억미만도 많고 계속 빠지는 추세예요.

 

저희부부가 다시 수도권으로 갈일은

없는데 대학생2명은 서울에서 취업할것

같습니다.아이들도 기숙사안되면

둘이 같이살 전세라도 하나 얻어줘야하고

사회초년생이 되더라도 급여가 많지않아

도와줄일이 생기겠지요.

 

지방집을 6억짜리 깔고앉는게 맞을지

3억짜리사고 자차이동하며 지내고

애들에게 도움주는게 나을지요?

 

 

 

 

 

IP : 220.84.xxx.8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22 10:41 AM (203.247.xxx.44)

    아뇨. 전세로 사세요.
    애들에게 도움은 못주더라도 사람 일은 몰라요.
    원글님이 자녀들 따라 위로 갈수도 있죠.

  • 2. ...
    '25.1.22 10:42 AM (118.235.xxx.192) - 삭제된댓글

    창원 살다 올라온 사람이라 거기 빠삭한데요.
    서울 살다보니 창원 살면서 어디는 중심이고 어디는 외곽이라고 멀다 하는거 이해가 잘 안가요.
    물론 중심지 외곽은 존재합니다만 거리가 멀지 않은데..
    창원 어디든 이제 집값 오르긴 힘드니 적당한 데 마련하세요.

  • 3. ????
    '25.1.22 10:42 AM (119.196.xxx.115)

    전세사세요
    오르지도 않을집인데 뭐하러 사요...걍 전세로 사시고
    남는금액을 서울에 집을 사두세요

  • 4. 저두
    '25.1.22 10:44 AM (124.5.xxx.227)

    전세사세요
    오르지도 않을집인데 뭐하러 사요...걍 전세로 사시고
    남는금액을 서울에 집을 사두세요
    2222222

  • 5. ..
    '25.1.22 10:44 AM (39.118.xxx.199)

    지금은 아니죠. 지금은 관망
    올해 공공물량 최다.
    2009년 현상이랑 비슷..2014년까지 빠졌어요.
    지방은 서울보다 더 늦고요.

  • 6. ....
    '25.1.22 10:44 AM (116.38.xxx.45)

    마산진해가 아닌 창원이라면 적당한 거리 적당한 가격대에 매수하셔도 될 듯요.

  • 7. ..
    '25.1.22 10:44 AM (59.14.xxx.232)

    전세..당연히 전세살아야죠.

  • 8. ...
    '25.1.22 10:46 AM (122.32.xxx.68) - 삭제된댓글

    비슷한 상황이에요. 집에 돈 안 깔고 있으려고 해요. 내려간지 얼마 안 되었으면 전세 사시다가 집 사는것도 방법이고요

  • 9. 순이엄마
    '25.1.22 10:47 AM (183.105.xxx.212)

    저라면 서울 전세끼고 집사고 창원에 작은 전세 살겠어요.

  • 10. ..
    '25.1.22 10:47 AM (118.235.xxx.192) - 삭제된댓글

    덧붙여
    저희도 애 둘은 인서울 대학
    남편은 창원 대기업
    저는 창원집 팔고 돈 모은거 보태서 서울로 왔습니다

  • 11. 창원에
    '25.1.22 10:53 AM (121.121.xxx.46)

    6억요?

  • 12. 으므나
    '25.1.22 10:55 AM (211.208.xxx.21)

    서울사놓으시고요
    창원은 전세사세요

  • 13. ....
    '25.1.22 10:59 AM (116.38.xxx.45)

    창원 잘 모르시나본데 창원 집값 비싸요.
    지금은 모르겠으나 분당과 비슷했음.

  • 14. ㅡㅡ
    '25.1.22 11:00 AM (211.234.xxx.219)

    서울, 안되면 경기도에 사놓고
    창원은 전세로.
    경기도 찾아보면 6억 안되는 괜찮은 아파트 있어요

  • 15. ....
    '25.1.22 11:09 AM (116.38.xxx.45)

    창원에 정착하신다는데 계속 전세로 지내는건~
    자금은 적은데 두가지 경우를 놓고 계속 고민만 하시는데
    한가지 방향으로 결정하셔야할 것 같네요.

  • 16. 글쎄
    '25.1.22 11:15 AM (110.70.xxx.135)

    정착하는데 전세가 왜요?
    전세 살아도 돈만 올려주면 10년씩 살기도 해요.
    어차피 다주택자일 가능성 높은데요.

  • 17. 저라면
    '25.1.22 11:17 AM (221.138.xxx.92)

    시가 친정과는 어쩌면 짧은 시간이고..
    전세로 창원에 있다가
    서울이나 경기권으로 다시 오겠어요.
    애들 터도 서울이고.

  • 18. kk 11
    '25.1.22 11:25 AM (114.204.xxx.203)

    서울에 애들 살 집 해주시고
    전세 사세요

  • 19. 고민이
    '25.1.22 11:27 AM (220.84.xxx.8)

    많이되네요. 창원도 일자리가 많아서 집값방어가
    되었으나 요즘은 그렇지도 않아 젊은아이들은
    다 서울로 간다네요.
    저는 이곳에 부모님도 계시지만 형제들이
    다 살고 나이드니 자식들은 바쁘고 언니들이
    가깝게 있는게 더 낫더라구요.그래서 이곳에
    있으려는 이유가 큽니다.
    조언 감사드리고 잘 고민해볼께요.

  • 20. ..
    '25.1.22 11:36 AM (182.225.xxx.83)

    창원이 6억이라니 마산 진해쪽인가 보네요
    본토(?)창원은 기업들이 많아서 비쌉니다
    창원 중심지라면 관망하다 떨어젔을때 매수 권하겠지만
    6억대로는 안될꺼구요
    근데 창원도 요새는 기업들 경기가 안좋아서 솔직히 매수 권하지 않고요..
    마산 진해 쪽이라면 전세 권합니다
    아..그리고 김해쪽 율하도 한번 알아보세요
    젊은분들이 이쪽으로 많이 이동하시더라구요
    암튼 지금은 어디든 매수하는 타이밍은 아니다가 결론입니다

  • 21. 아이구
    '25.1.22 11:47 AM (110.70.xxx.135) - 삭제된댓글

    창원 중심지라고 해도 저는 비춥니다.
    친지들 그 근처 사는데

  • 22. 진짜
    '25.1.22 11:52 AM (110.70.xxx.135) - 삭제된댓글

    창원 중심지라고 해도 저는 비춥니다.
    친지들 그 근처 사는데 서울 아니라 경기도에 비해도
    너무 안 올라요.

  • 23.
    '25.1.22 11:55 AM (110.70.xxx.135) - 삭제된댓글

    창원 중심지라고 해도 저는 비춥니다.
    친지들 그 근처 사는데 서울 아니라 경기도에 비해도
    너무 안 올라요.
    10년 전 같은 금액으로 저는 서울, 사촌은 광명, 남동생은 말씀하신 지역을 샀는데 지금 저희 집으로 남동생집 여러개 삽니다.

  • 24.
    '25.1.22 12:04 PM (110.70.xxx.135)

    창원 중심지라고 해도 저는 비춥니다.
    친지들 그 근처 사는데 서울 아니라 경기도에 비해도
    너무 안 올라요.
    10년 전 같은 금액으로 저는 서울, 사촌은 광명, 동생은 말씀하신 지역을 샀는데 지금 저희 집으로 남동생집 여러개 삽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3040 의료민영화와 마약밀반입 수사와의 관계를 생각해보세요 8 ... 2025/03/16 659
1693039 자동차 썬팅 할까요? 13 ㅇㅇ 2025/03/16 868
1693038 세탁기 21키로 24키로 중 어떤 걸 살까요 9 …… 2025/03/16 1,525
1693037 2년전 법조인들이 윤 지지한 이유 9 2025/03/16 2,292
1693036 헌법재판관은 서울대법학 출신만 되나요. 3 ,, 2025/03/16 1,140
1693035 식품건조기 대신 에어프라이어써도 될까요? 3 도돌 2025/03/16 761
1693034 관자가 질긴이유가 4 관자요리 2025/03/16 1,436
1693033 경복궁 가서 친구 잘 만나고 왔어요 6 하늘에 2025/03/16 1,324
1693032 김건희 대통령은 대통령실에서 퍼트린건데 ㅋㅋㅋ 14 한국의힐러리.. 2025/03/16 3,243
1693031 하수구에 참기름버리면 안되나요? 13 막힘 2025/03/16 3,526
1693030 추워요 5 .. 2025/03/16 1,622
1693029 무쇠냄비 장단점 알려주세요. 6 워즐 2025/03/16 1,178
1693028 전 이제 옷은 오프라인에서 사요 2 .. 2025/03/16 4,878
1693027 박진여가 본 우리나라 역대대통령 전생 17 ㅇㅇ 2025/03/16 2,810
1693026 다리 아픈 부모님과 일본여행 7 ㄴㄴ 2025/03/16 1,481
1693025 저 충동성 문제있나요? 6 지금 2025/03/16 1,070
1693024 명품 언박싱 유튜버 추천해주세요 1 .. 2025/03/16 415
1693023 네이버페이(금주결산 많음) 포인트 받으세요   1 . . . .. 2025/03/16 785
1693022 학씨 아내분이요. 싱크로가 하나도 안맞는데도 그사람이네요. 12 ... 2025/03/16 10,180
1693021 김새론 엄마의 경박함을 욕했는데 ᆢ김수현 아웃이네요 17 2025/03/16 15,767
1693020 3.15 집회 참석했어요. 4 경기도민 2025/03/16 802
1693019 동네 상가는 이러한 이유로 악순환이네요 5 ........ 2025/03/16 3,865
1693018 양육권이 엄마에게 유리한 게 애한테 꼭 좋은 것 같지는 않아요 6 .. 2025/03/16 1,381
1693017 새내기 의대생들도 수업을 안받고 있군요 32 2025/03/16 4,637
1693016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자는 파면이 답이다. 6 비나이다비나.. 2025/03/16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