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축, 구축 구분 기준? 특히 신축은 언제를 기준으로 할까요?

궁금 조회수 : 687
작성일 : 2025-01-21 13:52:58

제가 가족과 함께 사는 집은 2020년 입주(500세대), 직장 때문에 주중에 혼자 사는 집은 2007년에 입주를 시작한 아파트(900세대)에요.

둘 다 지하주차장 2층까지 있고 세대당 주차 대수 1.8대 정도, 지하 주차장에서 집으로 바로 엘리베이터로 연결되고

집에서 엘리베이터 부를 수 있고(그 시간에 딱 맞추기 어려워서 거의 쓰지는 않아요)

주방 수전 발로 작동하고(레이저와 수동으로 누르는 차이는 있어요)

발코니 실내 공간으로 연장했지만 밀폐가 잘 되어 냉난방 효율 좋고

개별 난방되고, 에어컨 매립 배관이라서 벽 안 뚫어도 되고

거의 똑같거든요.

17년된 아파트나 4년 된 아파트가 제가 살기에는 큰 차이를 모르겠는데

구축 신축을 구분하는 기준은 어느 정도 시기를 뜻한다고 생각하세요?

제 마음 속에서는 20세기에 지어졌느나, 21세기에 지어졌느냐? 인 것 같아요.

IP : 58.239.xxx.11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렇게
    '25.1.21 1:55 PM (59.7.xxx.113)

    원글님처럼 생각하는 분들이 꽤 있을걸요. 지하주차장까지 엘베로 연결되고 세대당 주차대수가 2에 근접하면 구축도 좋아요.

  • 2. ..
    '25.1.21 1:56 PM (211.234.xxx.34)

    신축의 기준이 커뮤니티같아요. 헬스, 골프, 라운지카페,독서실,조식 같은 커뮤니티가 있어야 진정한 신축이요.

  • 3. 연차로
    '25.1.21 2:00 PM (61.109.xxx.211)

    구분하지 않나요?
    현재기준 지어진지 5년이내 신축
    10년이면 준신축
    10년 넘어가면 구축

  • 4. 커뮤니티
    '25.1.21 2:03 PM (58.239.xxx.110)

    아 그러고 보니 커뮤니티도 둘 다에 있어요.
    2020년 아파트에는 운동기구, 골프 연습실, 독서실
    2007년 아파트에도 운동기구, 빈 방 있어서 거기에서 필라테스 등 강습, 독서실, 카페, 작은 목욕탕이 있어요.
    그런데 저는 직장을 다녀서 어차피 양쪽 다 쓸 일이 없어서 이건 거의 영향을 안 미쳐요.

  • 5.
    '25.1.21 2:48 PM (59.26.xxx.224)

    구조랑 수납, 4bay같아요. 국민평형같은 경우 구식은 현관에 들어서면 집안 내부가 한눈에 다 보였는데 신축들은 집 내부가 안보이고 복도죠. 현관안으로 깊숙이 들어와 고개 내밀고 쳐다봐도. 그리고 드레스룸 크게 있어 집안옷들 이불등 거기에 다 수납하면돼고 주방에 펜트리있어 주방살림 다 거기 넣으면 돼고. 2014년 입주한 아파트는 이런데 2011년 아파트는 예전식이에요. 커뮤시설은 안쓰는 사람은 안쓰고 관리비만 잔뜩 더 내니 별루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8743 캣맘신고 31 ... 2025/01/25 2,731
1678742 ‘서부지법 방화 시도’ 10대 남성 구속···법원 “도망 염려”.. 15 ... 2025/01/25 6,664
1678741 냄새 유독하지 않은 워셔액없나요? 4 ㅇㅇ 2025/01/25 616
1678740 친척 없는 외동 10 월욜 2025/01/25 4,061
1678739 김용현변호사 유승수 워딩 7 .. 2025/01/25 2,155
1678738 윤석열을 헌재에서 탄핵 반대하는 판사도 정신병자예요 3 2025/01/25 2,241
1678737 코트색생 쥐색 블랙 어떤거 1 코트 2025/01/25 1,004
1678736 일제치하에서 살았던 조상님들은 2 알고싶음 2025/01/25 1,020
1678735 석사 성적이 중요할까요? 3 박사과정 2025/01/25 1,640
1678734 87세 친정엄마 34 겨울 2025/01/25 10,343
1678733 피의자 심문조서 없이 기소하게 되면 어찌되나요? 13 .... 2025/01/25 2,848
1678732 하얼빈ㅡ대작입니다ㅜㅜ 10 ㄱㄴ 2025/01/25 2,837
1678731 네이버 밴드 라이브방송 해보신 분 2 ㅇㅇ 2025/01/25 286
1678730 막장드라마에 고정 드라마 2025/01/25 796
1678729 저녁 대충 때웠는데 괜찮나 봐주세요~ 11 살쩌야해 2025/01/25 1,848
1678728 이혼 숙련 캠프 걱정부부 7 2025/01/25 5,037
1678727 법원 다시 구속연장 재신청도 불허! 41 마샤 2025/01/25 7,887
1678726 일상) 맛없는 체리 어뜩해요 16 나무 2025/01/25 1,875
1678725 80 넘으신 여사님 악세사리는 뭐가 좋을까요? 4 며느리 2025/01/25 1,187
1678724 미 교민들, 영 김 의원에 항의"왜 한국 내정간섭하나&.. 16 ㅇㅇ 2025/01/25 2,825
1678723 거실과 각 방에 쓰레기통 5 .... 2025/01/25 2,088
1678722 호르몬제 드시나요? 4 아파요 2025/01/25 1,286
1678721 전한길 카페 난리 났네요. 15 .... 2025/01/25 11,346
1678720 정치에 관심 없는 중도층 여론 41 여유11 2025/01/25 4,141
1678719 덜익은 바나나는 정말 무맛이네요 8 2025/01/25 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