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스텐냄비 316 304 뭐가 다른가요

요리 조회수 : 2,495
작성일 : 2025-01-18 22:30:55

스텐냄비 보고 있는데 

316 304 통3중, 통5중, 3중바닥

종류가 많아서요

인덕션에 사용할거구요

차이점이 뭐가 다른가요

IP : 117.111.xxx.226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ijiji
    '25.1.18 10:33 PM (58.122.xxx.55)

    3중바닥 사세요

  • 2. ....
    '25.1.18 10:33 PM (39.117.xxx.185)

    ai앱에 물어봤어요~

    스테인리스 316과 304는 주방용품에 흔히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스테인리스강 등급입니다. 두 등급 모두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 주요 차이점

    ### 구성

    - 304 스테인리스강: 18% 크롬, 8-10% 니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2].
    - 316 스테인리스강: 304와 유사하지만 2-3%의 몰리브덴이 추가되어 있습니다[2][5].

    ### 내식성

    - 316 스테인리스강은 몰리브덴 첨가로 인해 304보다 더 높은 내식성을 가집니다[5][12].
    - 특히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316이 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8].

    ### 용도

    - 304: 일반적인 주방용품, 싱크대, 식품 산업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8].
    - 316: 해안 지역, 화학 처리 장비, 의료 기구 등 더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8][12].

    ### 가격

    - 316 스테인리스강은 304보다 일반적으로 더 비쌉니다[8][15].

    ## 일상적인 사용에서의 차이

    일반적인 주방 환경에서는 304와 316 사이의 성능 차이를 거의 느끼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가정용 조리기구와 주방용품에는 304 스테인리스강이 충분합니다[1].

    316 스테인리스강은 장기간 보관하는 음식(예: 절인 음식, 김치 등)에 더 적합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조리와 단기 보관에는 304와 316 사이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 결론

    304 스테인리스강은 대부분의 가정용 주방 용품에 충분한 품질과 내구성을 제공합니다. 316은 더 높은 내식성을 제공하지만, 일반적인 주방 환경에서는 그 차이를 느끼기 어렵고 가격이 더 비쌉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정용 스텐 냄비를 선택할 때는 304 등급으로도 충분하며, 가성비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15].

  • 3. 윗님
    '25.1.18 10:36 PM (117.111.xxx.226) - 삭제된댓글

    너무 감사합니다 어쩜 이렇게 잘알려주는지
    설명짱이네요^^

  • 4. ㅇㅇㅇ
    '25.1.18 10:57 PM (1.228.xxx.91)

    스텐에 대한
    좋은 정보 일단 저장.
    감사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5885 코타키나발루 어떤가요? 15 여행 2025/03/24 1,962
1695884 묻어나지 않는 립스틱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립스틱 2025/03/24 859
1695883 지금부터 세달만 공부하면 공무원 됩니다 6 ㅇㅇ 2025/03/24 3,144
1695882 법 위반은 맞는데 파면은 아냐. 31 ... 2025/03/24 3,403
1695881 납세거부운동 10 우리도 2025/03/24 998
1695880 대한민국을 독재화가 진행되는 국가로 분류. 8 독재 2025/03/24 930
1695879 민주당은 빨리 최상목 탄핵 추진 바랍니다. 9 ..... 2025/03/24 1,255
1695878 시간은 왜 끄나? 2 탄핵인용 2025/03/24 512
1695877 오늘 2차전지 etf 샀어요. 12 주식 2025/03/24 2,494
1695876 민주당 너무 안일했어요. 43 . . . 2025/03/24 5,678
1695875 물리치료 받기 지겹네요 4 ㅡㅡ 2025/03/24 1,228
1695874 묵주기도 빠지면 4 Oioio 2025/03/24 601
1695873 탄핵 기각 헌재 재판관들 의견 정리본 4 2025/03/24 1,905
1695872 설계한 판대로 흘러가고 있어요 13 2025/03/24 2,784
1695871 실체가 드러나네요 5 헌재정신차려.. 2025/03/24 1,577
1695870 진보유툽에서도 기각예상이 많았다는데 이유가요? 8 ,,, 2025/03/24 2,105
1695869 새까만 정장 바지 찾기가 왜 이리 힘들까요? 5 nmn 2025/03/24 895
1695868 오늘 군인아가들 휴가나오는 날인가요? 19 충성 2025/03/24 2,031
1695867 “헌법재판관 미임명은 위헌, 하지만 파면사유가 아냐“ 26 레몬 2025/03/24 3,480
1695866 윤가 각하하면 내 재산이 반 아니 얼마나 줄지 모른단다. 5 ******.. 2025/03/24 1,146
1695865 스포있음)영드 소년의 시간 질문이요 5 넷플 2025/03/24 1,467
1695864 손톱을 안깎고 있으면 간지러워요 4 손톱 2025/03/24 650
1695863 한덕수 기각은 민주당 망한 거죠 55 사람 2025/03/24 14,162
1695862 걱정과 고민 없는 사람이 있을까요..? 7 Ommm 2025/03/24 1,107
1695861 대학병원 진료 문의 7 ㅇㅇ 2025/03/24 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