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최초 선결제는 1898년 11월 만민공동회 대규모 집회

... 조회수 : 1,746
작성일 : 2025-01-17 20:31:25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9278248958899721&id=10000144128923...

(자부심 가집시다. 만민공동회 집회는 최초의 촛불집회라고 할 수 있어요. 우린 조상들로부터 물려받은 DNA가 있나봐요)

 

이번 12.3 내란 사태 국면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선결제 응원' 문화죠. 시위에 참가하는 시민들을 위해 커피나 핫팩, 간단한 식사류 등 다양한 물품을 대량으로 선결제해서 시민들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나눔 문화였죠.  

이걸 두고 2024년에 등장한 새로운 시위 트렌드, 라고 이야기했던 사람들이 많습니다. 세계적으로도 볼 수 없는 현상이라고도 했죠. 오죽하면 보수우파에서도 이런 현상을 보고 부러웠는지 선결제 비슷한 걸 시도했다고도 합니다. 컵라면 1천명 분을 선결제했다고 하던가요, 뭐 결제 직후 10분 만에 도로 취소했더라는 이야기도 들려오지만요.

그런데 사실 이게 갑자기 나타난 최신의 트렌드 같은 게 아닙니다. 우리가 잊고 있어서 그렇지, 사실 한국의 민주주의는 아주 유구한 나눔의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도 사람들이 민주주의라는 말 자체조차 생소하던 시절, 공화국은커녕 아직 '황제'라는 존재가 버젓이 통치하고 있던 시절부터 형성되었던 전통이죠.
바로 1898년 11월, 만민공동회의 대규모 집회때부터입니다.

 

간단하게 배경만 짚고 넘어갑시다. 같은 해 10월의 관민공동회를 통해서 헌의 6조가 나오고, 이걸 바탕으로 최초의 의회인 '중추원'을 설립하기로 결정합니다. 하지만 당시 수구 관료들은 이런 움직임에 대해 크게 경계했고, 결국 고종을 부추겨서 "독립협회가 황제를 폐하고 공화정을 세우려 한다"는 참언으로 독립협회 주요간부 17인을 전격 체포, 구속하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만민공동회는 이런 정변에 대응해서 간부들을 즉시 석방하고 약속했던 헌의 6조를 하루속히 시행하라는 요구안을 들고서 대규모 집회를 벌이게 되죠. 이 집회는 여러 날에 걸쳐서 철야로 진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걸 해산하려고 군대나 경찰을 동원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이에 대응하는 당시 '시민'들의 발언이 예술입니다. 

 

"너희는 인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라고 우리가 낸 세금으로 고용한 자들인데 어찌하여 인민에게 총칼을 들이대느냐?“

이런 시위의 와중에 탄생한 것이 바로 선결제 문화였습니다. 비록 만민공동회의 집회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더라도, 이들의 '충군애국'하는 마음에 감화되어 다양한 도움의 손길을 보내는 시민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던 것이죠. 

 

"내 이름은 말할 것도 없지만, 협회원들이 충애하는 마음으로 밤을 새는 것을 보노라니 내 마음이 아프다. 장국밥 300그릇을 보내니 이걸로 추위라도 달래달라.“

황성신문 11월 8일자에 실린 기사입니다. 바로 이 날 각 외국어학교 및 배재학당 학도들도 시위 대열에 참여하기 시작합니다. 심지어는 시위대를 대상으로 발포 명령을 받은 병사들 가운데 몇몇이 명령을 거부하고 군복을 벗어던진 채 도주해버리는 일까지도 벌어집니다.

 

그 뒤로도 '선결제'는 이어집니다. 어느 노파가 돈 2원을 내면서 말하기를, 자기 수중에 지금 3원이 있는데 이 중 1원은 협회원들이 마실 만한 신선한 물을 사 왔고 나머지 2원을 드리니 국가를 위해 충성을 멈추지 말아달라고 당부합니다. 영남 지방 유생들이 돈을 모아서 기부하기도 하고, 콩나물 장사 하던 여인이 하루 동안 콩나물 판 돈을 협회에 기부하기도 하죠. 장작을 파는 장수는 자신이 갖고 있던 10원어치의 장작을 기부해서 철야로 시위하는 만민공동회원들이 밤새 찬 기운이라도 덥힐 수 있도록 모닥불을 지피라고 당부합니다.

이런 식으로 각종 물품을 사서 후원하거나, 혹은 돈을 직접 보내거나 하는 등의 도움은 농성 기간 내내 이어집니다. 황성신문이나 독립신문, 제국신문과 같은 당시 언론들은 이런 상황을 매일 보도하면서 사람들이 시위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력에 더욱 불을 지폈고요. 

이와 같은 일련의 노력들이 빛을 보게 되어 결국 고종은 기존의 입장을 철회하고 독립협회 간부 전원을 석방하면서 헌의 6조 시행을 약속하게 됩니다. 물론 이 과정은 그저 평화적이지만은 않았고, 우리가 교과서를 통해서 익히 알고 있는 황국협회와의 무력 충돌도 거쳐야 했었죠. 이 과정에서 한 사람이 사망하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무명의 의인이었던 그는 훗날 신기료장수 김덕구임이 뒤늦게 밝혀졌고, 모든 사태가 정리된 12월 초에는 그를 기리는 노제가 한성 시내에서 대단위로 벌어지게 됩니다. 한국 역사 최초의 '민주열사'가 탄생하는 순간이었죠.

 

이처럼 선결제 문화는 사실 우리의 민주주의 역사 속 가장 깊숙한 곳에 뿌리박혀 있는 전통입니다. 오랜 기간 우리가 그걸 잊고 지냈을 뿐이죠. 올바른 일을 하는 이들을 위해 도움의 손길을 내민다, 나 또한 그걸 통해서 그들과 함께 하고자 한다. 

이처럼 뜻이 모이는 곳에 길이 생기는 법입니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그런 과정을 통해서 발전해온 겁니다. 1960년의 4.19, 1980년의 5.18, 1987년의 6.10, 2024년 12.3, 그 이전에 한참을 거슬러 올라가면 1898년 11월의 그 날들이 가로놓여 있습니다. 비록 지금은 많은 분들이 잊은 채 살고 있지만요. 

 

기억에서는 잊었지만 마음은 기억하고 있는 그것, 그게 바로 100년을 넘는 역사 속에 뿌리를 둔 선결제 응원 문화였던 거죠.

IP : 118.235.xxx.102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17 8:34 PM (123.214.xxx.120)

    유전자가 기억하고 있나봐요.
    정말 감사합니다.

  • 2. .....
    '25.1.17 8:36 PM (122.36.xxx.234)

    좋은 글 고맙습니다. 이렇게 또 하나 배우네요.

  • 3. ㅇㄴㅇ
    '25.1.17 8:37 PM (118.243.xxx.186)

    어머..원글님 감사해요
    저 이 글 카톡방에서 보고 좋다고 생각했는데 퇴실을 해서..
    다시 들어가도 그 글을 볼수가 없어서 아쉬워 했었어요
    그 글 다시 올려달라고 하기도 뭐해서 혼자서 아쉬워 했었는데
    역시 82 입니다
    감사해요

  • 4. 우리민족은
    '25.1.17 8:39 PM (115.164.xxx.216)

    죽은자가 산자를 사리는 민족인거 같아요.
    너무나 감동입니다.

  • 5. 좋은 글
    '25.1.17 8:40 PM (114.203.xxx.133)

    감동이에요
    우리 국민 멋지고
    대한민국 자랑스러워요

  • 6. ..
    '25.1.17 8:40 PM (211.251.xxx.199)

    옴마나 세상에
    그 머언 조상님들이 선결제를 선문화로 행해주신거군요

  • 7. 와우~
    '25.1.17 8:48 PM (218.147.xxx.249) - 삭제된댓글

    장국밥 300그릇이..1원은 협회원들이 마실 만한 신선한 물이..나머지 2원을 드리니 국가를 위해..콩나물 판 돈을 협회에 기부..자신이 갖고 있던 10원어치의 장작을..이런 식으로 각종 물품을 사서 후원하거나, 혹은 돈을 직접 보내거나 하는 등의 도움은 농성 기간 내내 이어집니다.

    이것이 오늘 날..
    김밥으로..샌드위치로..어묵으로 떡볶이로..커피로..후원금으로..핫팩으로..담요로..난방버스로..에너지바 간식으로..기타 등등등.. 으로..

    이런 국민을 갖은 나라가 또 어디 있을까??
    정치 너네 잘해라.. 우리 국민들 귀한 줄 알고..!!

  • 8. 좋은글
    '25.1.17 8:56 PM (223.38.xxx.42)

    정말 잘 읽었습니다.
    자랑스런 선조님들 유전자 덕분이네요.
    감사해요.
    82 최고!!!

  • 9. 와우~
    '25.1.17 8:56 PM (218.147.xxx.249)

    "장국밥 300그릇이..1원은 협회원들이 마실 만한 신선한 물이..나머지 2원을 드리니 국가를 위해..콩나물 판 돈을 협회에 기부..자신이 갖고 있던 10원어치의 장작을..이런 식으로 각종 물품을 사서 후원하거나, 혹은 돈을 직접 보내거나 하는 등의 도움은 농성 기간 내내 이어집니다."

    이것이 오늘 날..
    김밥으로..샌드위치로..어묵으로 떡볶이로..커피로..후원금으로..핫팩으로..담요로..난방버스로..에너지바 간식으로..기타 등등등.. 으로..

    "시위대를 대상으로 발포 명령을 받은 병사들 가운데 몇몇이 명령을 거부하고 군복을 벗어던진 채 도주해버리는 일까지도 벌어집니다."

    역시 DNA~!!!

    이런 국민을 갖은 나라가 또 어디 있을까??
    정치 너네 잘해라.. 우리 국민들 귀한 줄 알고..!!

  • 10. 이리 멋진 민족
    '25.1.17 9:00 PM (123.111.xxx.222)

    우리에게 이리 멋진 유전자가 있군요.
    자랑스럽습니다.

  • 11. 좋은글
    '25.1.17 9:02 PM (49.168.xxx.85)

    이런글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 12. 역시
    '25.1.17 9:12 PM (180.68.xxx.158)

    유전자의 힘은 세네요.
    감사합니다.
    조상님들~

  • 13. 신기해라
    '25.1.17 10:40 PM (61.105.xxx.165)

    지금하고 똑같네요.

  • 14. ㄴㄱㄷ
    '25.1.18 4:59 PM (124.50.xxx.140)

    와 멋지네요.
    좋은 글 감사해요.

  • 15. ㄴㄱㄷ
    '25.1.18 5:00 PM (124.50.xxx.140)

    이런 자랑스런 조상들의 전통은 널리 소문 내야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5121 단팥빵 3 토마토 2025/05/14 1,196
1715120 배가 안고픈데도 먹게되는건 뭘까요 2 ㅇㅇ 2025/05/14 992
1715119 내가 이재명 처리하겠다...녹취록 공개 17 2025/05/14 5,109
1715118 중국은 왜 자꾸 우리나라 땅을 사들이는 걸까요? 36 흠좀무 2025/05/14 2,311
1715117 우유 대신 오트밀 우유에 요거트나 유산균 넣고 발효시키면 될까요.. 2 ㅇㄴ 2025/05/14 412
1715116 50대 옷질문 5 .. 2025/05/14 2,147
1715115 저번 대선때 불과 0.73% 차이로 졌어요 11 ㅇㅇ 2025/05/14 1,382
1715114 복도에서 춤추며 걸어가다 들켰네… 4 워너비뮤즈 2025/05/14 1,941
1715113 ‘李 파기환송’ 법관회의 진통 관측 . . 대표 126명 중 7.. 15 . . 2025/05/14 2,297
1715112 양자가상대결, 이재명 51.9% VS 김문수 26.7% 12 여조 꽃 2025/05/14 1,276
1715111 올해 윤달때문에 4 .... 2025/05/14 1,930
1715110 조선의사랑꾼 김학래아들 맞선 보셨나요? 10 ㅇㅇ 2025/05/14 3,437
1715109 냉장실에 둔 딱딱한 쑥떡은 구제방법이 있을까요? 6 2025/05/14 960
1715108 이준석 100개의 직업 인터뷰 32 ㅇㅇ 2025/05/14 1,531
1715107 살짝 떠보는 사람 4 @@ 2025/05/14 1,082
1715106 정신과 의사 나종호님이 생각하는 이준석 16 해로운 정치.. 2025/05/14 2,674
1715105 지귀연 판사 “재판 공개 고려하겠다” 14 트윗펌 2025/05/14 3,178
1715104 민주 "윤 재판 담당 지귀연, '룸살롱 술접대' 의혹….. 10 지귀연 2025/05/14 1,350
1715103 학교 욕하는 학부모. 정뚝떨 작가 11 .... 2025/05/14 1,919
1715102 홍준표 어디로갈까요 24 홍ㅈ 2025/05/14 2,206
1715101 70도안된 친정엄마 맨날 기차 버스 놓쳐요 22 ... 2025/05/14 3,381
1715100 오래된 고추장,고추가루는 어디다 버리나요 12 음쓰 2025/05/14 1,486
1715099 귀여니 사진까도 천대엽은 아니라할 듯 6 ㅋㅋ 2025/05/14 992
1715098 훌라후프 어떻게 버려요? 2 궁금 2025/05/14 878
1715097 부산 시민님들!! 15 공약 돋보기.. 2025/05/14 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