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작년에 의류비, 화장품비 전부 3십만원 미만으로 지출성공~

음.. 조회수 : 2,300
작성일 : 2025-01-09 13:37:54

재작년부터

환경을 생각해서 혼자서 옷 가급적 안사기 운동을 시작했거든요.

재작년에도 

작년에도 

의류비(신발, 속옷, 옷 다~합해서), 화장품비 

총비용을 3십만원을 안썼네요.

 

옷은 안 입는 옷은 대부분 버리고

입는 옷 위주로 옷장에 쫙~~악 걸어서

한눈에 보이도록 해 놓으니까

찾아 입기도 쉽고

믹스앤 매치 하기도 쉬워서인지

옷을 안사고 입을 것이 많더라구요. 

 

그리고 화장품은

다~줄이고 제 얼굴에 맞는 크림 한개만 바르고

썬크림 한가지만 바르다 보니

이제는 화장품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안들더라구요.

 

올 겨울 spa 세일 기간에

뭔가 사고 싶어서

욕망이 끓어 올라서

2번 정도 cos, 마시모뚜띠, 자라

방문했었는데 

끝내 욕구를 견뎌내고 

결과적으로 안 사게 되었거든요.

 

이 욕구를 이겨낸 내 자신이 얼마나 대견하던지

다행스럽게도

이번 시즌 이쁜 옷이 별로 없더라구요. ㅎㅎ

 

하여간 의류비와 화장품비를

확~~~줄이니까

역시 돈을 덜 쓰게 되더라구요.

 

올해도 잘 실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잘 될까 싶어요. ㅎㅎ

 

IP : 1.230.xxx.192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
    '25.1.9 1:44 PM (116.32.xxx.119)

    작년에는 저도 옷은 거의 안 샀는데
    지금 사고 싶은 비싼 옷 지름신이 와서 난감하네요 ㅎㅎㅎ

  • 2. 빚없다면
    '25.1.9 1:44 PM (175.124.xxx.136) - 삭제된댓글

    참으면서 안쓰는 이유가 있나요?
    적당히 쓰면서 살아야 즐겁던데.

  • 3. ...
    '25.1.9 1:45 PM (118.221.xxx.20)

    잘 하셨습니다~반성합니다...

  • 4. 대단하네요
    '25.1.9 1:46 PM (39.123.xxx.130) - 삭제된댓글

    원글님 자제력이면 뭐든지 하겠어요.
    저는 옷에 돈 안 쓰는게 정말 힘들어요.
    정말 정신력이 대단하신듯.
    어제도 샀어요ㅠㅠ.
    난 왜 안될까요.

  • 5. 아아
    '25.1.9 1:48 PM (58.123.xxx.97)

    점심 먹고 자리 오자마자 패딩 하나 지른 저 반성하고 갑니다. 이번 겨울 아우터만 벌써 몇개째인지...저도 지금부터 쇼핑 중단 선언해 봅니다. 원글님 의지 너무 부러워요. ㅠㅠ
    저도 환경스페셜 '옷을 위한 지구는 없다' 편 보고 크게 반성 후, 한동안 옷을 안 샀었는데..얼마 못 갔네요. 다시 한 번 마음 다잡아 봅니다. 이런 글 너무 좋아요~

  • 6. 저도 안 삽니다
    '25.1.9 1:48 PM (49.164.xxx.115)

    그 대신 몸을 있는 옷에 맞게 유지하려고 애써요.
    옷은 낡지도 않는데 계속 사니 관리도 힘들고
    무엇보다 그 옷들이 만드는 환경 피해가 극심하더라구요.

  • 7. 반성해요
    '25.1.9 1:49 PM (59.30.xxx.66)

    블프애 직구로 신발만 30만원 어치 샀어요
    패딩도 새로 사고 …

  • 8. ,,,
    '25.1.9 1:50 PM (211.250.xxx.195)

    저도 안샀어요
    그리도 있는것도 버리고하려고요
    내가 갑자기 사라졌을때? 남은 자리를 생각해보려고요

  • 9. 음..
    '25.1.9 1:55 PM (1.230.xxx.192)

    저도 적당~히 쓰면서 사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하면서 쭉~살아 왔거든요.

    그런데 나이를 먹어가면 갈 수록
    너무 많은 소비 갯수가 저 자신을 짓누른 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예를 들어
    일년에 제가 100가지의 소비를 한다고 하면
    그 소비를 마치 습관적으로 하더라구요.

    그리고 나이 드니까
    그 소비를 유지하기 위해서
    육체적 정신적 비용적 에너지도 소비가 많이 되더라구요.

    그래서
    나이 들면서
    소비의 가짓수를 줄여서
    소비하는데 에너지를 덜 쓰자~~
    라는 생각을 하면서
    나름 실천하고 있거든요.(물론 환경적인 부분도 생각하구요)

    소비의 가짓수를 줄인다고 행복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더라구요.

    그냥 소비하면 행복하다~라고 스스로 세뇌한 부분도 있었고
    소비하는 에너지에 대해서 간과한 부분도 있더라구요.

    즉 소비의 행복과 소비하는데 드는 에너지의 사용부분의
    총합계를 생각해 봐도
    똔똔~이라는 결과를 얻어냈거든요.

  • 10.
    '25.1.9 2:14 PM (39.7.xxx.182)

    소비해서 행복한분들은 소비하면 되고 저는 소비로 행복을 못느끼고 미니멀로 행복을 느껴서 소비를 잘 안해요. 그래도 가끔 소비해서 행복할때는 해요

  • 11. ..
    '25.1.9 2:17 PM (58.143.xxx.196)

    헉 이럴수가 저는 무서워서 차마 계산을 못햐보갰는데
    일던 해보고 반성하고
    님보다 더 줄여볼게요

    근데 옷정리 어떻게 하셨나요?

  • 12. ㅎㅎ
    '25.1.9 2:38 PM (123.111.xxx.211)

    재작년이죠?

  • 13. 배움
    '25.1.9 2:52 PM (221.140.xxx.80) - 삭제된댓글

    원글님 궁금해서 그런데
    소비를 줄이고 에너지도 많아지면 그자체가 행복하신건가요??
    통장의 잔액을 보면서
    저도 소비를 줄이고도 충반한 생활을 살고 싶은데
    어디가 잘못된건지
    사고 사고 여행가고 사고 사고 사고 여행
    이런 소비의 굴레를 못 벗어나고 허전하고 심심하고.. 우울도하고 재미도 없고
    원글님 같이 행복하고 싶어요

  • 14. 123
    '25.1.9 3:44 PM (211.210.xxx.96)

    옷장 정리 비결좀 알려주세요
    티셔츠 빼고 얼추 다 걸었는데 뭔가 뒤죽박죽이에요

  • 15. 음..
    '25.1.9 4:17 PM (1.230.xxx.192)

    제작년 --> 재작년으로 수정했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의 소비형태를 생각해 보니까
    가짓수를 채우고
    구색을 맞추는 습관이 있었거든요.

    그리고 쇼핑을 하다 보니
    약간 주위에 휩쓸려서 소비하는 경향성도 좀 있었구요.

    즉 내가 필요해서 사는 것 보다는
    습관적으로 유행을 쫓아서
    사는 것도 있다 보니
    내 돈으로 소비하고
    소비하려고 시간과 에너지 소비하고
    그리고 후회하고
    이런 상황이 의외로 종종 발생되더라구요.

    그래서
    50대이니까 이제 젊을 때처럼
    이것 저것 다~찾아보면서 사고
    다니면서 사고 이런 것을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면서
    이제 소비의 가짓수를 줄여서
    덜 찾아보고, 덜 다니고, 덜 소비해서
    신경 쓰는 에너지를 덜 소비해서
    편안~~함을 행복의 중심으로 가져다 놓고
    환경이라는 것을 끌어다 놓고
    행복의 가치를 생각하게 되었거든요.



    젊을 때는
    좋은 것을 찾고 그걸 사는 것으로 행복감을 느꼈다면
    나이 들어서는
    에너지가 좀 부족해 지니까
    덜 찾고 , 덜 신경써서
    그냥 편안함을 행복감으로 치환하는 것으로 충당했다고 보면 될 듯합니다.

  • 16.
    '25.1.9 5:21 PM (118.32.xxx.104)

    너무 많은 소비 갯수가 저 자신을 짓누른 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ㅡㅡㅡㅡㅡ
    동감이에요
    큰병 걸리고보니 제일 먼저 든 생각이 짐이 너무 많구나
    나없음 저많은 짐들 어떡하나..싶은게
    서서히 정리하며 살아야겠다 싶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2001 독립적인 성격인 분들은 타고 난거죠? 12 홀로서기 2025/01/12 2,076
1672000 대식가 남편 마지막 반찬 써요 33 2025/01/12 7,713
1671999 저 돼지새끼 언제 잡나요? 16 ..... 2025/01/12 2,012
1671998 김치냉장고 1등급 3등급 전기세차이 심하나요? 4 ... 2025/01/12 1,313
1671997 뚜껑 자동으로 여닫고 물 내려주는 비데 어떤가요? 6 노터치 2025/01/12 1,043
1671996 최상목 권한대행의 대행이라고 3 ㅇㅇ 2025/01/12 1,587
1671995 홍준표 "사법부가 적법절차 어겼다면 모두 무효돼야&qu.. 19 너도검사출신.. 2025/01/12 2,360
1671994 간병비용 15일치랑 10 ... 2025/01/12 2,976
1671993 윤수괴 도주 진짜로 했으면 좋겠다 싶어요 4 농반진반 2025/01/12 1,304
1671992 내란 처벌 안 하면 다시 총 겨눌 것…광장 밝힌 시민들 2 2025/01/12 1,215
1671991 아파트도 진화하는구나! 15 2025/01/12 7,027
1671990 요즘 출생아수가 좀 늘어났다고 저출산이 해결된것처럼 생각하시는데.. 2 출생아수 2025/01/12 1,314
1671989 요즘엔 다 인플란트하죠? 7 2025/01/12 1,835
1671988 이번 겨울이 춥나요? 7 ㅇㅇ 2025/01/12 2,268
1671987 안세영 감독 코치없이 우승.. 22 ... 2025/01/12 4,771
1671986 무릎아플라할때 영양제 있을까요 4 . . . 2025/01/12 1,139
1671985 한지민씨 환승연애 하세요 미쳐부러 ㅋㅋ 12 심쿵 2025/01/12 23,659
1671984 (우원식 페북) 젊은 경호처 직원의 앞길 막지 말라 5 ㅅㅅ 2025/01/12 2,335
1671983 20대여대생 선물 프라다향수 어떨까요? 3 ㅇㅇ 2025/01/12 685
1671982 타미플루 알약을 하루 두 번인데 한번에 두알먹은 경우? 2 B형 독감 2025/01/12 832
1671981 좀 쉬면 일하고 싶을 줄 알았는데 2 웃기네 2025/01/12 1,770
1671980 나이드니 좋은게 하나도 없네요. 15 나이들면 2025/01/12 5,205
1671979 물을 소재로한 재난영화는 없나요? 11 영화 2025/01/12 1,420
1671978 또 저녁 할 시간이... 6 돌밥 2025/01/12 1,260
1671977 몇년전 사논 대장패딩을 이제서야 개봉 9 ... 2025/01/12 2,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