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0~90년대생도 고졸이 많은가요?

조회수 : 3,009
작성일 : 2025-01-09 07:24:20

나솔에서

10기 옥순이나 16기 영자같은 사람들도

고졸이죠?

 

유명 신도시에서도 대기업다녀서 능력잔줄 알았더니

알고보니 고졸 생산직이고..

 

생각보다 80~90년대생도 고졸이 많구나 싶어서요

공부를 못해서 그런걸까요 가난해서 그런걸까요?

 

말하는거나 살림하는거보면 다들 야무지고 똑똑해보여서

지능은 안낮을것 같은데 공부를 못했다고 생각하니 의아해서요

 

저는 이름있는 대학 나왔는데 오히려 말하는것도 어리숙하고 살림도 젬병입니다.

 

 

IP : 58.226.xxx.158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5.1.9 7:27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아뇨... 80년대에 고졸은 본인이 그냥 공부에 뜻이 없는 경우는 안갔을지도...
    근데 거의 대부분 부모님들이 공부 정말 안해도 전문대라도 보낼려고 했겠죠
    그냥 요즘 애들이랑 비슷할듯 싶은데요
    2024년 지금 고등학생들도 고졸 없겠어요

  • 2. ....
    '25.1.9 7:29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아뇨... 80년대에 고졸은 본인이 그냥 공부에 뜻이 없는 경우는 안갔을지도...
    근데 거의 대부분 부모님들이 공부 정말 안해도 전문대라도 보낼려고 했겠죠
    제가 80년대생인데 저희 학교 다닐때 반 친구들을 생각해봐도
    지금애들이랑 비슷한것 같아요.
    2024년 지금 고등학생들도 고졸 없겠어요

  • 3. ....
    '25.1.9 7:29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아뇨... 80년대에 고졸은 본인이 그냥 공부에 뜻이 없는 경우는 안갔을지도...
    근데 거의 대부분 부모님들이 공부 정말 안해도 전문대라도 보낼려고 했겠죠
    제가 80년대생인데 저희 학교 다닐때 반 친구들을 생각해봐도
    지금애들이랑 비슷한것 같아요.
    2024년 지금 고등학생들도 고졸 없겠어요
    지금도 공부 정말 안하는 학생은 전문대라도 보내서 기술이라도 배우게 할려고 하잖아요.

  • 4. 의외로
    '25.1.9 7:32 AM (169.212.xxx.150)

    고졸이 많아 놀라긴했어요.
    마이스터고 출신 친구들 대학 안가도 취업하고
    같은 동네에서도 비학군 인문계고 친구들도 일부러 대학 안가고 군대부터 가더라구요. 다녀와서 장사한다고..
    뭔가 뜻이 있는 어이들은 기특하고 대단해보여요

  • 5. ㅅㅅ
    '25.1.9 7:33 AM (218.234.xxx.212)

    2000년 대학정원이 65만이네요.

    1976년에 처음으로 6만명 넘었고, 1981년 대학정원 급증했지만 20만이 안 됐을겁니다. 1990년에 40만명 정도였을거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afjeon&logNo=222361623462&prox...

  • 6. 요즘도 많은듯
    '25.1.9 7:33 AM (61.105.xxx.88)

    그냥 대학을 안가기도하고
    자퇴도 하고

  • 7. ...
    '25.1.9 7:34 AM (114.200.xxx.129)

    아뇨... 80년대에 고졸은 본인이 그냥 공부에 뜻이 없는 경우는 안갔을지도...
    근데 거의 대부분 부모님들이 공부 정말 안해도 전문대라도 보낼려고 했겠죠
    제가 80년대생인데 저희 학교 다닐때 반 친구들을 생각해봐도
    지금애들이랑 비슷한것 같아요.
    2024년 지금 고등학생들도 고졸 없겠어요
    지금도 공부 정말 안하는 학생은 전문대라도 보내서 기술이라도 배우게 할려고 하잖아요.
    그리고 원글님이 이야기 하시는 사람은 실업계 나와서 삼성전자 뭐 이런 생산직 다니는거 아닌가요. 그런케이스는 제친구중에서는 없는데 들어본적은 있어서요
    그래도 그런곳에 취업할려고 해도 실업계들어가서 공부 열심히 해야 갈수 있는거 아닌가요

  • 8. ㅇㅇ
    '25.1.9 7:42 AM (118.223.xxx.231)

    저 90년대 학번인데
    중학교때만해도..일반고에 가는 애들 상고에 가는 애들 ..
    반반이었던 것 같은데
    그 일반고 간 애들도..대학 못간 애들도 많았으니
    대학간 인원이 적긴 했죠

  • 9. ㅇㅇ
    '25.1.9 7:43 AM (118.223.xxx.231)

    그리고 지방 시골 이런 덴 정말 많아요
    저는 서울이었도..이 정도였는데..
    지방 출신 남편 보니..
    고등학교도 안보내는 경우도 가끔 있더군요

  • 10. ...
    '25.1.9 7:54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90년대 학번이 아니라 90년대생인데요 . 90년대생이면 2010년대에 대학을 다녔겠네요
    80년대생들이 200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니까요

  • 11. ....
    '25.1.9 7:55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원글님이 이야기 하는거너
    90년대 학번이 아니라 90년대생인데요 . 90년대생이면 2010년대에 대학을 다녔겠네요
    80년대생들이 200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니까요
    솔직히 저희 대학 다닐때 학자금대출도 있고 해서 대학 갈 마음이 있으면
    갔겠죠
    지방출신이라고 못가고 하지는 않았을것 같은데요
    2000년-2010년대에요

  • 12. ...
    '25.1.9 7:55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원글님이 이야기 하는건
    90년대 학번이 아니라 90년대생인데요 . 90년대생이면 2010년대에 대학을 다녔겠네요
    80년대생들이 200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니까요
    솔직히 저희 대학 다닐때 학자금대출도 있고 해서 대학 갈 마음이 있으면
    갔겠죠
    지방출신이라고 못가고 하지는 않았을것 같은데요
    2000년-2010년대에요

  • 13. ...
    '25.1.9 7:56 AM (114.200.xxx.129) - 삭제된댓글

    원글님이 이야기 하는건
    90년대 학번이 아니라 90년대생인데요 . 90년대생이면 2010년대에 대학을 다녔겠네요
    80년대생들이 200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니까요
    솔직히 저희 대학 다닐때 학자금대출도 있고 해서 대학 갈 마음이 있으면
    갔겠죠
    지방출신이라고 못가고 하지는 않았을것 같은데요
    2000년-2010년대에요

  • 14. ....
    '25.1.9 8:06 AM (114.200.xxx.129)

    원글님이 이야기 하는건
    90년대 학번이 아니라 90년대생인데요 . 90년대생이면 2010년대에 대학을 다녔겠네요
    80년대생들이 200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니까요
    솔직히 저희 대학 다닐때 학자금대출도 있고 해서 대학 갈 마음이 있으면
    갔겠죠
    지방출신이라고 못가고 하지는 않았을것 같은데요
    2000년-2010년대에요
    농어촌 특별전형이나 실업계 다니면 실업계 특별전형 뭐 이런걸로 가기도 쉬웠을테구요

  • 15. ..
    '25.1.9 8:11 AM (122.36.xxx.94)

    공부 안해서 고졸인데..지금은 애도 낳고 학벌좋은 남편 만나니 형편이 어려워 대학 못갔다로 포장하다 그게 진실인 듯 살아요. 아이는 엄마의 그 말을 믿고 나중에 돈없어서 대학 못갈까봐 용돈을 모으더라고요.

  • 16.
    '25.1.9 8:13 AM (211.235.xxx.30) - 삭제된댓글

    학사 졸업하고 간 동기들 왈
    고졸 생산직 여자들.
    육칠십 년대 분위기의 깜짝 놀랐다고 하던데요?

    장남 위해 학업 포기 후 돈 벌러 생산직.
    흔히들 많이 나오는 생산직 청년노동자 죽음도
    다 보면 집이 가난한 경우 많아요
    순하고 착한 애들이 대부분인 듯.

  • 17.
    '25.1.9 8:14 AM (211.235.xxx.30)

    학사 졸업하고 관리직 간 동기들 왈
    고졸 생산직 여자들.
    육칠십년대 시대 분위기 느껴져 깜짝 놀랐다고 하던데요?

    장남 위해 학업 포기 후 돈 벌러 생산직.
    흔히들 많이 나오는 생산직 청년노동자 죽음도
    다 보면 집이 가난한 경우 많아요
    순하고 착한 애들이 대부분인 듯.

  • 18.
    '25.1.9 8:30 AM (223.38.xxx.171)

    통계에는 83년생 전문대 이상이 80%라고 하네요
    그때 높았다가 요즘 약간 낮아졌어요

  • 19. 통계야
    '25.1.9 9:42 AM (125.139.xxx.147) - 삭제된댓글

    통계는 모르지만 맘 먹으면 고아 같은 특수환경 아닌 이상 모두 가능하지 않았어요?

  • 20. 생각보다
    '25.1.9 12:26 PM (219.255.xxx.39) - 삭제된댓글

    많았어요.
    나중에 방통대가서 학위받고는 하던데...

    저는 그 나이대가 그렇다면
    경제 및 부모나 본인의 무관심같아요.

  • 21. 생각보다
    '25.1.9 12:29 PM (219.255.xxx.39) - 삭제된댓글

    댓글보면 소통이 좀 안됨
    이래서 82에 노인층이 많다고 하구나를 느낌

    80~90년대생은 형제수가 어찌될까요?

    장남위해 공장다닐 동생도 나오고 시골,생산 공장????

    최소 60~70년대생 이야기를...세월을 모르는 82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13073 한덕수 후보등록 못하네요 43 ... 2025/05/10 21,267
1713072 리사 코첼라 헤메코 너무 태국아줌마 11 ㄱㄴㄷ 2025/05/10 3,459
1713071 대구출신인데 시부모님 이번에 이재명 찍으신데요. 15 대구 2025/05/10 3,111
1713070 펌) 에이 설마 2 .. 2025/05/10 1,521
1713069 안철수는 존재감이 없나요~? 6 이와중에 2025/05/10 1,097
1713068 진짜 저것들은 1 뭐래 2025/05/10 340
1713067 스카프를 잘랐습니다 3 오늘은 2025/05/10 2,538
1713066 한덕이 입당했다고 김문이 탈락은 6 ㆍㆍ 2025/05/10 1,825
1713065 3월 24일 까지인 돼지고기 먹어도 되나요? 8 유효기간 3.. 2025/05/10 805
1713064 결혼이 개인의 결합 vs 집안의 결합? 33 ㅇㅇ 2025/05/10 2,659
1713063 네스프레소미니...커피캡슐 맛있는거 추천해주세요 3 잘될 2025/05/10 464
1713062 티켓 나눔해요. 예술의전당 김예지 플루트 독주회 2 올리비아핫소.. 2025/05/10 1,032
1713061 넷플 여인의 향기 추천요. 8 여인 2025/05/10 1,684
1713060 저는 화나면 신인규, 불안하면 홍사훈, 이성이 필요하면 김규현 .. 26 유튜삼 끼고.. 2025/05/10 2,919
1713059 아주 귀여운 예금들 5 가을이 2025/05/10 2,742
1713058 [펌] 한덕수 후보 등록은 원천무효? 12 123 2025/05/10 3,415
1713057 기상청 "경기 연천 북북동쪽서 규모 3.3 지진 발생&.. 3 ㅇㅇ 2025/05/10 2,258
1713056 전국민 밤새야겠네요 2 ........ 2025/05/10 2,138
1713055 라바할배 된다고생각은 하는건가요? 6 ... 2025/05/10 840
1713054 조희대 이명박 BBK 판사였네요 ㄷㄷㄷ 15 ㄷㄷㄷ 2025/05/10 3,008
1713053 감기걸렸을때 비타민만 먹는 지인 21 ㅇㅇ 2025/05/10 4,556
1713052 이후보님, 한덕수와 후보 토론 하지 마세요 11 2025/05/10 2,217
1713051 지진인가요? 12 지진 2025/05/10 3,298
1713050 이완용과 함께 영원히 10 .... 2025/05/10 670
1713049 피를 토하는심정으로 부정선거고발 이영돈 전한길 6 피토 2025/05/10 1,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