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아정신과 보험 적용 안 받고 일반으로 다니는게 나을까요?

dd 조회수 : 1,198
작성일 : 2024-12-24 23:09:49

소아정신과 보험 받으면 나중에 불리한거 있을까요?

 

일반으로 비싼돈 내고 다닐까요 아 진짜 스트레스네요 ㅜㅜㅜㅜ 

IP : 218.153.xxx.19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2.24 11:19 PM (210.205.xxx.40)

    다들 처음에 통과의례로 하는 생각입니다만
    정신과 치료는 한번에 끝나지도 않습니다
    소아라면 1~2년 각오하실수도 있어요
    천천히 잘치료하려면 그런생각 걱정 하지마시고
    치료에 집중하세요

    그리고 어린이때 치료 잘하고 나면
    불이익이 없어요
    보험 가입도 보험회사에서 알수 없더라구요

  • 2. 바람소리2
    '24.12.24 11:25 PM (114.204.xxx.203)

    보험 해도 돼요
    블이익 없어요

  • 3. 진진
    '24.12.24 11:41 PM (169.211.xxx.228)

    대신 실비청구는 좀 고려해보셔야할듯요
    실비청구하면 나중에 실손보험 갱신해야할때 보험사에 따라 안해주는곳도 있어요

    제가 2세대에서 3세대로 갈아탈때
    5년이내에 정신과 약 먹은적 잇냐고 물엇고
    그렇다고 하면 3세대로 이동못한다고 했어요

    저는 농협생명인데.우채국 실손은 또 안묻더라구요

    일단 정신과 치료비 실손청구만 안하면 실손보험에서도 알아낼수는 없어요

    그외 소아때 정신과 치료 받은거 절대로 아무도 알수 없어요

  • 4.
    '24.12.24 11:51 PM (210.205.xxx.40)

    사람들이 오해하는게 보험회사나 회사들이 나의 의료기록이나 치료기록을 알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알수없어요
    건강보험은 의료기록을 당사자의 형 동생이와도 안알려줘요.

  • 5. 정말 부자세요
    '24.12.25 6:01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진료코드 정신과질환으로 건보에 기록 되고 수가대로 병의원에서 받아요.
    그래서 정신과질환코드 없이 완전 일반 자기부담으로만 진료, 처방약 받으면 건보 혜택 안 받는거 가능해요. 의사에게 미리 말하고요
    진료비 처방약 완전 자기부담으로만 하겠다고요.
    부자라면 가능한데요. 지인 중에 그런 사람 있긴 해요.
    소아정신과는 오래 다녀야 될텐데 상당히 경제적으로 부담 될겁니다.
    이경우 개인이 든 보험도 사용 못 하겠죠. 정신과질환코드가 없어서요. 이 부분은 잘모릅니다.

  • 6. 정말 부자세요
    '24.12.25 6:04 AM (220.122.xxx.137)

    진료코드 정신과질환으로 건보에 기록 되고 수가대로 병의원에서 받아요.
    그래서 정신과질환코드 없이 완전 일반 자기부담으로만 진료, 처방약 받으면 건보 혜택 안 받는거 가능해요. 의사에게 미리 말하고요. 정신과 질환 기록 남기지 않아야한다고요.
    진료비 처방약 완전 자기부담으로만 하겠다고요.
    부자라면 가능한데요. 지인 중에 그런 사람 있긴 해요.
    소아정신과는 오래 다녀야 될텐데 상당히 경제적으로 부담 될겁니다.
    이경우 개인이 든 보험도 사용 못 하겠죠. 정신과질환코드가 없어서요. 이 부분은 잘모릅니다.

  • 7. 정말 부자세요
    '24.12.25 6:10 AM (220.122.xxx.137)

    혹시 아들이면 오래 진료 받는게 기록에 남으면 군 문제와 연결돼요. 정상적인 군 생활 어려우면 기록이 돼요.
    다방면으로 잘 알아보시고 정신과 의사와 상담해 보세요.

    송민호 같은 케이스죠.
    진료 보면서 약 먹으면 일상생활 가능한데 현역으로 군 생활 힘들수 있거든요. 남들은 모르는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3889 30년 근무하시고 퇴직하는 분 선물 어떤게 좋을까요.. 5 직장인 2024/12/26 1,003
1663888 남자보다 여자가 더 직장 오래 다닐수 있나요? 8 굳이 2024/12/26 826
1663887 만약 최상목 부총리가 7 2024/12/26 1,956
1663886 고지혈증에 달걀은 어떤가요 4 ㅇㅇ 2024/12/26 1,938
1663885 (일상) 치앙마이 커피 드셔보신 분 4 ㅇㅇ 2024/12/26 845
1663884 포도막염 관리하시는 분들 있으신가요. 3 감사 2024/12/26 684
1663883 아이의 화법 3 ㅇㅇ 2024/12/26 1,173
1663882 김건희가 미쳐가나보네요 3 ㅁㄴㅇㄹ 2024/12/26 6,677
1663881 권한 '대행인데 3 2024/12/26 920
1663880 정치후원금 어디에 할까요? 7 감사 2024/12/26 575
1663879 한덕수 대행..중국단체관광 무비자 적극 검토 13 2024/12/26 2,545
1663878 이제는 압력솥 없이는 못살 거 같아요 14 일상의 식사.. 2024/12/26 2,442
1663877 건조기에 줄지 않는 옷 알려주세요.(여학생) 6 잘될거야 2024/12/26 857
1663876 노후 재테크 한번 봐주세요 5 ㄴㄴ 2024/12/26 2,312
1663875 증여세 넘 대단하네요 37 세금 2024/12/26 4,992
1663874 대법원, 윤석열 주장과 달리 “비상계엄은 사법심사 대상” 1 308동 2024/12/26 1,861
1663873 이제까지 irp에 예금만 했었어요 6 .. 2024/12/26 2,005
1663872 김용현 변호인단 "계엄 건의, 사전에 한덕수에 보고&q.. 8 ㅅㅅ 2024/12/26 1,545
1663871 저흰 지출 월천 넘는데 이정도면 중산층이죠? 42 Ad a 2024/12/26 3,931
1663870 나는 솔로.. 여자들은 괜찮은데 8 어머 2024/12/26 2,583
1663869 한덕수는 계엄에 적극 가담했네요. 5 ,,,, 2024/12/26 2,710
1663868 지인이 오랫만에 동네 노인정 갔더니 11 노인정 2024/12/26 5,133
1663867 고등어조림, 냉동고등어로 해도 되나요? 8 . . 2024/12/26 802
1663866 미국게이커플 입양아 성폭행 형량 100년 11 ㅇㅇ 2024/12/26 2,959
1663865 엄마와 연락을 끊고 21 엄마 2024/12/26 4,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