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소아정신과 보험 적용 안 받고 일반으로 다니는게 나을까요?

dd 조회수 : 1,377
작성일 : 2024-12-24 23:09:49

소아정신과 보험 받으면 나중에 불리한거 있을까요?

 

일반으로 비싼돈 내고 다닐까요 아 진짜 스트레스네요 ㅜㅜㅜㅜ 

IP : 218.153.xxx.197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2.24 11:19 PM (210.205.xxx.40)

    다들 처음에 통과의례로 하는 생각입니다만
    정신과 치료는 한번에 끝나지도 않습니다
    소아라면 1~2년 각오하실수도 있어요
    천천히 잘치료하려면 그런생각 걱정 하지마시고
    치료에 집중하세요

    그리고 어린이때 치료 잘하고 나면
    불이익이 없어요
    보험 가입도 보험회사에서 알수 없더라구요

  • 2. 바람소리2
    '24.12.24 11:25 PM (114.204.xxx.203)

    보험 해도 돼요
    블이익 없어요

  • 3. 진진
    '24.12.24 11:41 PM (169.211.xxx.228)

    대신 실비청구는 좀 고려해보셔야할듯요
    실비청구하면 나중에 실손보험 갱신해야할때 보험사에 따라 안해주는곳도 있어요

    제가 2세대에서 3세대로 갈아탈때
    5년이내에 정신과 약 먹은적 잇냐고 물엇고
    그렇다고 하면 3세대로 이동못한다고 했어요

    저는 농협생명인데.우채국 실손은 또 안묻더라구요

    일단 정신과 치료비 실손청구만 안하면 실손보험에서도 알아낼수는 없어요

    그외 소아때 정신과 치료 받은거 절대로 아무도 알수 없어요

  • 4.
    '24.12.24 11:51 PM (210.205.xxx.40)

    사람들이 오해하는게 보험회사나 회사들이 나의 의료기록이나 치료기록을 알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알수없어요
    건강보험은 의료기록을 당사자의 형 동생이와도 안알려줘요.

  • 5. 정말 부자세요
    '24.12.25 6:01 AM (220.122.xxx.137) - 삭제된댓글

    진료코드 정신과질환으로 건보에 기록 되고 수가대로 병의원에서 받아요.
    그래서 정신과질환코드 없이 완전 일반 자기부담으로만 진료, 처방약 받으면 건보 혜택 안 받는거 가능해요. 의사에게 미리 말하고요
    진료비 처방약 완전 자기부담으로만 하겠다고요.
    부자라면 가능한데요. 지인 중에 그런 사람 있긴 해요.
    소아정신과는 오래 다녀야 될텐데 상당히 경제적으로 부담 될겁니다.
    이경우 개인이 든 보험도 사용 못 하겠죠. 정신과질환코드가 없어서요. 이 부분은 잘모릅니다.

  • 6. 정말 부자세요
    '24.12.25 6:04 AM (220.122.xxx.137)

    진료코드 정신과질환으로 건보에 기록 되고 수가대로 병의원에서 받아요.
    그래서 정신과질환코드 없이 완전 일반 자기부담으로만 진료, 처방약 받으면 건보 혜택 안 받는거 가능해요. 의사에게 미리 말하고요. 정신과 질환 기록 남기지 않아야한다고요.
    진료비 처방약 완전 자기부담으로만 하겠다고요.
    부자라면 가능한데요. 지인 중에 그런 사람 있긴 해요.
    소아정신과는 오래 다녀야 될텐데 상당히 경제적으로 부담 될겁니다.
    이경우 개인이 든 보험도 사용 못 하겠죠. 정신과질환코드가 없어서요. 이 부분은 잘모릅니다.

  • 7. 정말 부자세요
    '24.12.25 6:10 AM (220.122.xxx.137)

    혹시 아들이면 오래 진료 받는게 기록에 남으면 군 문제와 연결돼요. 정상적인 군 생활 어려우면 기록이 돼요.
    다방면으로 잘 알아보시고 정신과 의사와 상담해 보세요.

    송민호 같은 케이스죠.
    진료 보면서 약 먹으면 일상생활 가능한데 현역으로 군 생활 힘들수 있거든요. 남들은 모르는거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8268 해외여행 하며 느낀 외국인들 20 2025/04/30 5,772
1708267 요새 부산에 밤바다 추울까요? 6 부산 2025/04/30 817
1708266 홈택스 신고 혼자 할 만 한가요? 7 도움요청 2025/04/30 1,276
1708265 [긴급 기자회견] 조희대 대법원장 공수처 고발 대선개입 6 촛불행동펌 2025/04/30 3,150
1708264 한덕수 국정원출신들로 대선상황실 운영 6 속보! 2025/04/30 1,352
1708263 USIM뜻도 모르는 KISA 인터넷진흥원 사장 학부전공. 18 하이고 2025/04/30 2,941
1708262 간병을 해보니 19 ㅁㄵㅎ 2025/04/30 5,446
1708261 허리 디스크에 좋은 의자 및 자세 5 자세 2025/04/30 1,349
1708260 미운우리새끼에 윤현민이랑 모친 나왔는데 신기했어요 8 모어 2025/04/30 4,156
1708259 어떤 선택을 했을까요? 3 궁금 2025/04/30 493
1708258 롱샴을 사고 싶은대요 9 2025/04/30 2,497
1708257 서울) 오늘 밖에 더운가요? 9 -- 2025/04/30 1,822
1708256 국민남동생 이승기 몰락의 결정타.insta 18 .. 2025/04/30 14,387
1708255 운동 하시는분들 저도 좀 4 저도 2025/04/30 1,087
1708254 감자가 제일 맛있는 때가 언제에요 6 감자 2025/04/30 1,515
1708253 무안공항 제주항공 새떼랑 충돌하는 영상 2 ㅁㅁ 2025/04/30 1,618
1708252 간병인을 직접 보내주는 보험은 없나요? 9 ........ 2025/04/30 1,216
1708251 강릉 잘 아시는 분, 맛집, 고깃집 한 곳만 추천 좀 부탁드릴게.. 8 강릉 2025/04/30 756
1708250 진로 상담센터 오픈하신 선생님께 뭐사갈까요? 8 진로 2025/04/30 475
1708249 권고사직인데 사직서를 언제 제출해야 하나요 6 급질 2025/04/30 1,436
1708248 쉬우면 실수로 틀리고 어려우면 어려워서 틀리고 18 고1맘 2025/04/30 2,174
1708247 누텔라 한국 에디션 나왔네요 4 2025/04/30 1,963
1708246 민주당이 중도보수로, 조혁당이 진보로 자리잡길 8 ㅇㅇ 2025/04/30 651
1708245 상견례도 안한 안사돈?이 17 ... 2025/04/30 6,428
1708244 남자 고딩 졸업사진 사복 패션이요 1 그린올리브 2025/04/30 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