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을 외워서 풀려고 하는 아이

수학 선행 조회수 : 1,962
작성일 : 2024-12-17 12:17:18

11월 말에 공부 열심히 하고 중 3-1.3-2 마무리 시험을 대형수학 2군데에서 봤을때 75ㅡ80점 정도로  패스 했거든요.. (물론 낮은 점수 이긴 합니다만. 아이는 예비중1입니다)

어제 같은 과정을 다른 학원에서 시험 봤더니.. 점수가 반타작이라고 하시네요...

그동안 수학을 외워서 한거라 급히 까먹은걸까 싶구요.

3개월에 1학기 하는 일반적인 학원들의 진도가 저희 아이에게 너무 빠른거 같은데

이렇게 수학을 자꾸 외워서 하려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선행을 몇년 했더니 이렇게 된거 아닌가 싶어서 속상해요..

작은 학원에서 속도늦춰서 충분히 설명듣고 혼자힘으로 문풀하고 그렇게 해야 할까요?

외워서 풀려는 버릇을 고쳐야 할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요.

IP : 211.186.xxx.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2.17 12:20 PM (118.235.xxx.181)

    한계예요 문과머리로 수학을 하면 그러더라구요ㅠ

  • 2. 더 많이
    '24.12.17 12:22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외우면 체득되겠죠

  • 3. 어느 수학샘이
    '24.12.17 12:23 PM (136.144.xxx.59)

    고등학교까지의 수학은 외워서 하는거라고
    머리 써서 하는게 아니라고 주장하던 말이 생각나네요

  • 4.
    '24.12.17 12:24 PM (1.238.xxx.218)

    외워서하면 고득점 못받아요. 한계라고 하긴 뭐합니다. 방식의 문제지 머리의 문제는 아니라봅니다. 저도 외워서했는데 고득점 못받는거보고 그 후 하루종일이라도 생각하며 풀려고 했고 결국 고득점 받았습니다. 수학 실력 향상은 오르막길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많이 생각하다보면 어느순간 비약이 이뤄집니다. 수학전공자고 직업도 수학관련 종사자입니다.

  • 5. 어떤식으로
    '24.12.17 12:25 PM (211.186.xxx.7)

    어떤식으로 해야 고칠수 있을까요

  • 6.
    '24.12.17 12:27 PM (1.238.xxx.218)

    본인이 이러면 고득점 못받는다는것을 깨달으면 방법을 바꿔야되겠다는것을 깨닫게 되겠죠

  • 7. 식을
    '24.12.17 12:29 PM (211.186.xxx.7)

    식을 꼼꼼히 봐주는 소규모학원을 다니면 좀 도움이 될까요

  • 8.
    '24.12.17 12:31 PM (1.238.xxx.218)

    생각을 많이 해야해요. 식을 꼼꼼히봐주는거랑 외워서하는거랑 무슨 관련이 있죠? 물론 식을 꼼꼼히봐주면 안보는것보다 좋기야하겠죠. 서술형평가에서는 식을 잘쓰는게 도움이 되니까요

  • 9.
    '24.12.17 12:32 PM (211.186.xxx.7)

    식을 쓰면서 생각을 할테니까요..

    현재는 때려맞추는 식으로 문제를 푸는거 같아요.

  • 10. 전에
    '24.12.17 12:38 PM (59.7.xxx.113)

    어떤 글에서 봤는데 수학 박사과정 입장에서는 심지어 석사과정도 수학이 암기과목같대요. 그래서 수학이 암기과목이냐 아니냐로 열띤 토론이 벌어진걸 봤는데요, 어떤 분은 초등수학만 잘 이해해도 수능수학 정도는 그냥 풀리는 거래요. 다들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했는데..

    제 동생은 암기과목은 거의 미미미미 수준인데 수학만 전교권이었어요. 공부한 적은 없는데 그냥 문제를 보면 공식이 보였대요.

    제가 초1부터 수포자였는데요 아이를 수학을 가르치는데 최소공배수 최대공약수 이런게 너무 아름다운거예요. 와.. 수학이란게 이렇게 놀라운 과목인지 몰랐어요.

    아이가 성실하고 노력하는 아이라면 좋은 선생님을 찾아보세요. 참.. 인강 강사중에 정승제 샘이 강의를 참 재미있게 하시던데 개념정리를 제대로 해보면 어떨까요?

    영어는 선행으로 땡길 수 있지만, 수학은 절대 선행으로 못 땡긴다고 생각해요.

    아이가 암기로 푼다는건 이해를 못했기 때문이네요. 얼마나 공부하느라 힘들었을까요

  • 11. 선행
    '24.12.17 12:52 PM (114.203.xxx.227) - 삭제된댓글

    아이가 받아들이는 속도는 느린데 선행속도는 빠르니 따라가야 하니깐 그냥 외워서 푸는거 아닌가요?
    예비중 시간 아직 많이 남았으니 했던부분 다시 천천히 꼼꼼히 나가면 될 것같아요.
    아이보니 수학머리 수학그릇이 따로 있더라구요.
    다른 아이비교 말고 내 아이가 수학머리가 되는지부터 판단이 먼저더라구요.
    지금 제아이 중1인데 그냥 현행만 시킵니다.수학머리가ㅜㅜ
    선행은 아이가 받아들이고 배우고 싶다고 할때 시키려구요.

  • 12. 근데
    '24.12.17 12:53 PM (211.58.xxx.161)

    수학을 어케 외우죠??

    이런문제는 이런식으로 푼다 그런걸 외우는건가요

  • 13. . . .
    '24.12.17 12:58 PM (118.235.xxx.174) - 삭제된댓글

    많이 풀다보면 유형화 되어 있어서, 이런식으로 푼다 암기되는거죠. 수능 수학도 맨 앞장1234번은 눈으로 푼다고 하잖아요. 비슷비슷한 문제들 반복하다가 새로운 유형 나오거나, 조금만 어려워지면 못푸는거죠

  • 14. ,,,
    '24.12.17 12:59 PM (172.225.xxx.223)

    금방 잊어버리는 건 대부분이 그래요 수학 머리 없을수록 더 빨리 잊어버리는거죠 개념위주로 공부를 한다고 해도 아이 역량이 안 되니 복습 해도 처음 본 것처럼 모르고 그냥 진도만 나가서 남는 게 없는 거에요

  • 15. 수학
    '24.12.17 1:03 PM (203.142.xxx.241) - 삭제된댓글

    수학 암기과목이에요
    다들 이해해야 푼다 생각하는데 이해해서 풀기도하고 외우다보니 이해되기도합니다

  • 16. 잊어버리지
    '24.12.17 1:15 PM (211.186.xxx.7)

    잊어버리지 않도록 공부를 해야 할거 같아요..
    지금은 대형 학원에서 너무 빠른 진도로 나가서 그런거 같아요.
    방법을 바꿔야 할거 같아요

  • 17.
    '24.12.17 2:21 PM (211.235.xxx.138)

    이런 친구는 선행 하지말고 현행에 힘쏟아야해요
    까딱하면 수포자입니다

  • 18. 2-3 개월에
    '24.12.17 6:28 PM (180.71.xxx.214)

    책 1 권씩 하는 학원들 특징이 잘하는 애들은 괜찮은데
    애들이 모르면 양이 많이 그냥 스킵하게 되서
    저희 애는 1:1 로 바꾸긴 했어요
    1:1 로 진도 나간 후 다시 다니던지 하려구요
    애가 수학을 잘하는게 아니면 참 걱정이 되죠
    잘하고 있는건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5392 정신과약을 끊었는데 4 ... 2025/03/25 2,880
1695391 민주당에서 대통령이 되면 착한선비 이미지를 버려야 되요 26 ㅇㅇ 2025/03/25 3,035
1695390 국방부, 윤 석방후 영현백 1만명분 발주 [인디포커스 단독] 8 ㅇㅇ 2025/03/25 2,698
1695389 우리나라에 자전거 도둑질이 많은 이유 5 ㅇㅇ 2025/03/25 3,948
1695388 요즘은 턱이 어느 정도 있는게 예쁘다고 29 ㆍㆍ 2025/03/25 5,882
1695387 매불쇼 보고 울컥해서 3 그런데 2025/03/25 3,533
1695386 뉴진스 아이들은 왜 그런선택을 한거에요? 32 뉴진스 2025/03/25 6,678
1695385 피아노 학원 4 2025/03/25 1,106
1695384 문소리보면 생각나는 사람 있는데 16 .. 2025/03/25 5,608
1695383 히든 카드는 이겁니다. 4 퍼왔어요. 2025/03/25 2,487
1695382 혹시 내일 남태령에서 극한 대립이 벌어지면 또 계엄선포 하는 건.. 15 ... 2025/03/25 3,347
1695381 교정한 이 벌어짐 12 교정 2025/03/25 2,261
1695380 요가매트 질문 7 ... 2025/03/25 929
1695379 한덕수 부인도 무속 신봉자 손발이 척척 맞겠고만 1 2025/03/25 1,048
1695378 이거 어떤지 봐주세요 7 ... 2025/03/25 862
1695377 욕조 안의 목욕물 하루 지나면 부패할까요?(세탁) 7 .. 2025/03/25 2,645
1695376 윤거니의 목숨 건 전쟁 9 인용 2025/03/25 2,923
1695375 PAT 바지 사이즈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 2025/03/25 523
1695374 헌법재판소에 글 올려요. 3 정계선재판관.. 2025/03/25 715
1695373 대통령 대행이 계엄 때릴 수 있나요? 11 ㅇㅇ 2025/03/25 2,782
1695372 이재명이 중국에 "세세"했다 했었쟎아요..(이.. 14 봅시다 2025/03/25 1,979
1695371 딸이 안동에있는데요 2 안동 2025/03/25 3,644
1695370 김민석의원) 상황이 너무 수상하다. 최근 이재명대표의 선거법 2.. 9 .. 2025/03/25 5,596
1695369 남편이랑 싸우고 냉전인데요 3 .. 2025/03/24 2,252
1695368 없는 집도 아닌데 심우정이 딸은 왜 서민대출을 받았을까요? 6 ........ 2025/03/24 2,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