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회에서 종결됐어야 할 대통령 탄핵 민들레컬럼

하늘에 조회수 : 1,085
작성일 : 2024-12-16 14:45:56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탄핵이 가까스로 국회를 통과하였다. 그러나 아직 헌법재판소라는 커다란 관문이 버티고 있다.

지금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하나의 공리(公理)처럼 증명이 필요 없는 불가침의 영역이 되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가 지금과 같은 탄핵심사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사실 얼마 되지 않았다. 바로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개정된
헌법에 규정된 이후부터다.

 

현재의 헌법재판소는 제헌헌법 제81조에 따라 설립된
헌법위원회가 그 시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탄핵심사의 권한은 없었고, 위헌법률심판권만 보유하고 있었다. 헌법위원회의
위원장은 부통령이 겸직하며 위원들은 대법관 5명과 국회의원 5명이 겸직하도록 규정되어 있었고, 위헌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했다.

당시의 제헌헌법에서 탄핵 심사는 국회 소속 탄핵재판소에서 담당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
제헌헌법 제3장 국회 편의 제47조는 “탄핵 사건을 심판하기 위하여 법률로써 탄핵재판소를 설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어 “국회내에 설치되는 탄핵재판소는 부통령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하고 대법관 5인과 국회의원 5인이 심판관이 되며, 대통령과 부통령을 심판할 때에는 대법원장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한다. 그리고 탄핵 판결은 심판관 3분지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규정들은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 탄핵 방식을 그대로 도입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이렇게 헌법에 규정된 헌법기관이었지만 사실상 그 기능과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였다. 4.19 혁명으로 탄생한 제2공화국의 헌법에는 헌법재판소가 처음으로 규정되었지만 곧 이어 발생한 박정희의 5.16 쿠데타에 의해 설치되지도 못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다시 헌법위원회로 이름을 바꿔 비록 계속 유지되기는 했지만, 단 한 차례의 위헌법률심사를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였다.

그러다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새로 개정된 헌법에 헌법재판소가 규정됨으로써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대통령 탄핵의 최종 결정권한을 헌법재판소가 갖도록 하는 규정은 독일 방식을 계수(繼受), 즉 본뜬 것이다. 독일의 관련 규정은 독일 기본법 제61조 1항 “연방의회 또는 연방참사원은 고의로 기본법 또는 기타의 연방 법률을 위반한 이유로 연방대통령을 연방 헌법재판소에 탄핵할 수 있다”는 규정이다.

출처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https://www.mindlenews.com )

 

전체 내용은 링크로 가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일개 공무원 따위에게 대한민국 미래를 맡기는 행위들은 더 이상 없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결과에 대해 책임도 안 집니다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IP : 175.211.xxx.9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늘에
    '24.12.16 2:48 PM (175.211.xxx.92)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

  • 2. 공감
    '24.12.16 2:56 PM (123.214.xxx.155)

    헌법재판관도 캐비넷이 존재할 수도 있는일

  • 3. 동감!
    '24.12.16 3:01 PM (110.130.xxx.125)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2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7323 세집이 제사상을 나눈다면 31 궁금 2025/02/02 3,269
1677322 중국발 충격, 딥시크는 시작일 뿐이다 7 가격공습 2025/02/02 2,644
1677321 요새 오물풍선이 안 보이는 이유 3 2025/02/02 2,507
1677320 간헐적단식이 몸에 좋은건 19 ㄱㄴㄷ 2025/02/02 4,189
1677319 남편이 허구헌날 돈 사고를 칩니다 67 남편의 돈 .. 2025/02/02 6,698
1677318 노인이 보실 방송 8 tv 2025/02/02 916
1677317 결혼 사진 액자 어떻게 하셨나요?? 17 다들 2025/02/02 1,988
1677316 이런 친구는 어째야 될까요? 31 투머치토커 2025/02/02 4,762
1677315 다음주에 정시 발표하는데 애가 안스러워여 6 2025/02/02 2,006
1677314 기후동행러를 위한 무료보험 아시는 분 계신가요 1 무료보험 2025/02/02 432
1677313 시댁에서 놀고 먹어서 벌받았나바용 ㅜㅜ 14 2025/02/02 6,335
1677312 명절 역시 별로에요 10 설날 2025/02/02 4,342
1677311 일 벌렸어요 6 ㅡㅡ 2025/02/02 2,341
1677310 탄핵 최상목 청원링크 9 즐거운맘 2025/02/02 959
1677309 선관위가 부정선거했으면 81 dd 2025/02/02 2,793
1677308 대갈장군의 비애 12 ........ 2025/02/02 2,955
1677307 집에서 우리 냐옹이랑 있는게 제일 좋네요. 6 냐옹이랑 2025/02/02 1,439
1677306 웃겼던 프레임...한동훈은 미남 23 ******.. 2025/02/02 2,548
1677305 한 겨울동치미 노영희 변호사 8 2025/02/02 2,477
1677304 엄마가 8 .. 2025/02/02 1,592
1677303 윤며들고 명신이를 걸크러쉬라 7 ㄱㄴ 2025/02/02 873
1677302 인생 잘못 살았네요 32 오십 2025/02/02 7,099
1677301 갱년기 영양제 뭐가 좋은가요? 5 oli 2025/02/02 1,818
1677300 2007년식 소렌토 굴러 갈까요? 11 .. 2025/02/02 1,064
1677299 수정)일본에 대해 생각이 바꼈어요 40 ... 2025/02/02 4,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