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회에서 종결됐어야 할 대통령 탄핵 민들레컬럼

하늘에 조회수 : 1,102
작성일 : 2024-12-16 14:45:56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탄핵이 가까스로 국회를 통과하였다. 그러나 아직 헌법재판소라는 커다란 관문이 버티고 있다.

지금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하나의 공리(公理)처럼 증명이 필요 없는 불가침의 영역이 되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가 지금과 같은 탄핵심사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사실 얼마 되지 않았다. 바로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개정된
헌법에 규정된 이후부터다.

 

현재의 헌법재판소는 제헌헌법 제81조에 따라 설립된
헌법위원회가 그 시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탄핵심사의 권한은 없었고, 위헌법률심판권만 보유하고 있었다. 헌법위원회의
위원장은 부통령이 겸직하며 위원들은 대법관 5명과 국회의원 5명이 겸직하도록 규정되어 있었고, 위헌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했다.

당시의 제헌헌법에서 탄핵 심사는 국회 소속 탄핵재판소에서 담당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
제헌헌법 제3장 국회 편의 제47조는 “탄핵 사건을 심판하기 위하여 법률로써 탄핵재판소를 설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어 “국회내에 설치되는 탄핵재판소는 부통령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하고 대법관 5인과 국회의원 5인이 심판관이 되며, 대통령과 부통령을 심판할 때에는 대법원장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한다. 그리고 탄핵 판결은 심판관 3분지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규정들은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 탄핵 방식을 그대로 도입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이렇게 헌법에 규정된 헌법기관이었지만 사실상 그 기능과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였다. 4.19 혁명으로 탄생한 제2공화국의 헌법에는 헌법재판소가 처음으로 규정되었지만 곧 이어 발생한 박정희의 5.16 쿠데타에 의해 설치되지도 못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다시 헌법위원회로 이름을 바꿔 비록 계속 유지되기는 했지만, 단 한 차례의 위헌법률심사를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였다.

그러다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새로 개정된 헌법에 헌법재판소가 규정됨으로써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대통령 탄핵의 최종 결정권한을 헌법재판소가 갖도록 하는 규정은 독일 방식을 계수(繼受), 즉 본뜬 것이다. 독일의 관련 규정은 독일 기본법 제61조 1항 “연방의회 또는 연방참사원은 고의로 기본법 또는 기타의 연방 법률을 위반한 이유로 연방대통령을 연방 헌법재판소에 탄핵할 수 있다”는 규정이다.

출처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https://www.mindlenews.com )

 

전체 내용은 링크로 가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일개 공무원 따위에게 대한민국 미래를 맡기는 행위들은 더 이상 없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결과에 대해 책임도 안 집니다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IP : 175.211.xxx.9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늘에
    '24.12.16 2:48 PM (175.211.xxx.92)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

  • 2. 공감
    '24.12.16 2:56 PM (123.214.xxx.155)

    헌법재판관도 캐비넷이 존재할 수도 있는일

  • 3. 동감!
    '24.12.16 3:01 PM (110.130.xxx.125)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2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1875 넷플ㅡ폴 프롬 그레이스 추천해요 7 빼꼼 2025/02/15 2,224
1681874 박봄은 입원을 해야 할거 같아요 4 .. 2025/02/15 7,443
1681873 앗! 언니들 조언 좀.. 18 . . . 2025/02/15 4,884
1681872 중증외상센터 이준혁(동재)도 잘 어울렸을듯 20 oo 2025/02/15 2,751
1681871 제주항공 49재. 5 ㅜㅜ 2025/02/15 1,808
1681870 무빙 정말 감탄하고 봤습니다 2 디즈니 2025/02/15 1,986
1681869 묘술랭 가이드라고 60대부부 2 2025/02/15 2,166
1681868 전문대 입학하게 되었어요. 눈물이 나요. 35 아들 2025/02/15 14,924
1681867 직구한 샘소나이트 캐리어 바퀴 as 8 ........ 2025/02/15 1,334
1681866 자식이 못나면 인정을 해야지 부득부득 결혼을 시키네요 27 2025/02/15 6,142
1681865 일본에 사시는 분 계신가요? 1 ..... 2025/02/15 1,056
1681864 (급질문) 35평 인테리어비용 얼마나 들까요 10 ... 2025/02/15 2,263
1681863 전일빌딩 245 배너 상태 3 ........ 2025/02/15 1,221
1681862 철학 .점 . 큰틀은 맞다면서요? 2 ... 2025/02/15 1,674
1681861 인도점령 세차장 1 .. 2025/02/15 762
1681860 가장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방송사는 어디인가요? 44 ... 2025/02/15 3,057
1681859 홍장원 떡상 했네요 53 ........ 2025/02/15 16,764
1681858 금값이 갑자기 떨어졌는데.. 6 ㅇㅇ 2025/02/15 6,749
1681857 우크라이나는 종전 생각이 없나봐요 6 2025/02/15 1,869
1681856 전한길 선 넘었다 15 황현필강사 .. 2025/02/15 3,937
1681855 익절했는데 손해본 기분 13 ... 2025/02/15 3,123
1681854 졸업식 꽃다발 전날 사도 되나요? 4 .. 2025/02/15 1,037
1681853 혹시 일본 호텔에서 사용했던 안개미스트 샤워기 써보신 분? 2 ..... 2025/02/15 1,079
1681852 고등 신입생 고1 들어가자마자 2박3일 수련회를 간다는데요. 13 갈까말까 2025/02/15 1,378
1681851 포장해 와서 먹는 음식 중, 뭘 가장 좋아하시나요? 9 포장 2025/02/15 2,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