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회에서 종결됐어야 할 대통령 탄핵 민들레컬럼

하늘에 조회수 : 1,090
작성일 : 2024-12-16 14:45:56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탄핵이 가까스로 국회를 통과하였다. 그러나 아직 헌법재판소라는 커다란 관문이 버티고 있다.

지금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하나의 공리(公理)처럼 증명이 필요 없는 불가침의 영역이 되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가 지금과 같은 탄핵심사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사실 얼마 되지 않았다. 바로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개정된
헌법에 규정된 이후부터다.

 

현재의 헌법재판소는 제헌헌법 제81조에 따라 설립된
헌법위원회가 그 시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탄핵심사의 권한은 없었고, 위헌법률심판권만 보유하고 있었다. 헌법위원회의
위원장은 부통령이 겸직하며 위원들은 대법관 5명과 국회의원 5명이 겸직하도록 규정되어 있었고, 위헌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했다.

당시의 제헌헌법에서 탄핵 심사는 국회 소속 탄핵재판소에서 담당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
제헌헌법 제3장 국회 편의 제47조는 “탄핵 사건을 심판하기 위하여 법률로써 탄핵재판소를 설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어 “국회내에 설치되는 탄핵재판소는 부통령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하고 대법관 5인과 국회의원 5인이 심판관이 되며, 대통령과 부통령을 심판할 때에는 대법원장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한다. 그리고 탄핵 판결은 심판관 3분지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규정들은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 탄핵 방식을 그대로 도입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이렇게 헌법에 규정된 헌법기관이었지만 사실상 그 기능과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였다. 4.19 혁명으로 탄생한 제2공화국의 헌법에는 헌법재판소가 처음으로 규정되었지만 곧 이어 발생한 박정희의 5.16 쿠데타에 의해 설치되지도 못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다시 헌법위원회로 이름을 바꿔 비록 계속 유지되기는 했지만, 단 한 차례의 위헌법률심사를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였다.

그러다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새로 개정된 헌법에 헌법재판소가 규정됨으로써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대통령 탄핵의 최종 결정권한을 헌법재판소가 갖도록 하는 규정은 독일 방식을 계수(繼受), 즉 본뜬 것이다. 독일의 관련 규정은 독일 기본법 제61조 1항 “연방의회 또는 연방참사원은 고의로 기본법 또는 기타의 연방 법률을 위반한 이유로 연방대통령을 연방 헌법재판소에 탄핵할 수 있다”는 규정이다.

출처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https://www.mindlenews.com )

 

전체 내용은 링크로 가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일개 공무원 따위에게 대한민국 미래를 맡기는 행위들은 더 이상 없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결과에 대해 책임도 안 집니다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IP : 175.211.xxx.9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늘에
    '24.12.16 2:48 PM (175.211.xxx.92)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

  • 2. 공감
    '24.12.16 2:56 PM (123.214.xxx.155)

    헌법재판관도 캐비넷이 존재할 수도 있는일

  • 3. 동감!
    '24.12.16 3:01 PM (110.130.xxx.125)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2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0743 신입생 등록금 납부 잊지마세요!! 9 여러분 2025/02/11 2,399
1680742 윤가 때문에 요새 내가 사람 볼 때 유심히 보는 부위 4 ------.. 2025/02/11 2,454
1680741 크림파스타 레시피좀 나눠주세여 10 +_+ 2025/02/11 1,211
1680740 목디스크 잘보는 병원이 있을까요 3 목디스크 2025/02/11 891
1680739 정신건강의학과 우울증약 7 허허허 2025/02/11 1,688
1680738 점심 거르고 커피만 먹었더니 3 ㅇㅇ 2025/02/11 2,703
1680737 손 빠른 여자.. 김치찌개랑 카레 20 몇분 2025/02/11 3,286
1680736 단기간에 피로 회복법 9 아자 2025/02/11 2,265
1680735 처녀때 이모들이 뭐하러 결혼하냐고 했던 말이 요즘 생각나요 7 00 2025/02/11 3,098
1680734 안철수 "이재명, 말 따로 행동 따로" 37 사람 2025/02/11 2,103
1680733 딸내미 취직했다고 점심산다는데. 축하한다고 선물해야하나요? 20 xxxxx 2025/02/11 5,392
1680732 음식솜씨 없는 분들 주변에 나눠 주시나요? 6 .. 2025/02/11 1,456
1680731 삼국지 도전해 보려는데 어느판이 좋나요 15 도전 2025/02/11 1,058
1680730 사실상 잘못한 사람은 가해자말고는 없지 않나요? 12 근데 2025/02/11 2,488
1680729 그래서 저는 딸한테 든든한 친정되려고 했어요. 3 .... 2025/02/11 2,829
1680728 딸아이가 결혼하는데요 8 고민상담 2025/02/11 4,222
1680727 80년생 갱년기증상 있으신분 계신가요 10 우울감 2025/02/11 1,998
1680726 아무리 이상한 사람도 해고할수 없는 나라 6 ㅇㅇ 2025/02/11 1,413
1680725 퇴직 스트레스? 5 ㅇ ㅇ 2025/02/11 2,226
1680724 교육청엔 심리 쪽 전문가가 없나요? 7 참내 2025/02/11 1,002
1680723 프랜차이즈 위탁운영 계약하려고해요 10 생글맘 2025/02/11 1,289
1680722 짜증난다고 소리지르네요~ 레몬 2025/02/11 1,739
1680721 전세주고 전세가려는데요.... 7 ㅇㅇ 2025/02/11 1,807
1680720 엑셀에서 숫자와 단위 분리하는 방법 좀 가르쳐주세요 5 엑셀 2025/02/11 845
1680719 국민연금, 엔비디아 팔고 팔란티어 삼 7 ..... 2025/02/11 3,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