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회에서 종결됐어야 할 대통령 탄핵 민들레컬럼

하늘에 조회수 : 1,124
작성일 : 2024-12-16 14:45:56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탄핵이 가까스로 국회를 통과하였다. 그러나 아직 헌법재판소라는 커다란 관문이 버티고 있다.

지금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을 결정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이미 하나의 공리(公理)처럼 증명이 필요 없는 불가침의 영역이 되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가 지금과 같은 탄핵심사 권한을 가지게 된 것은 사실 얼마 되지 않았다. 바로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개정된
헌법에 규정된 이후부터다.

 

현재의 헌법재판소는 제헌헌법 제81조에 따라 설립된
헌법위원회가 그 시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탄핵심사의 권한은 없었고, 위헌법률심판권만 보유하고 있었다. 헌법위원회의
위원장은 부통령이 겸직하며 위원들은 대법관 5명과 국회의원 5명이 겸직하도록 규정되어 있었고, 위헌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3분의 2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했다.

당시의 제헌헌법에서 탄핵 심사는 국회 소속 탄핵재판소에서 담당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
제헌헌법 제3장 국회 편의 제47조는 “탄핵 사건을 심판하기 위하여 법률로써 탄핵재판소를 설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어 “국회내에 설치되는 탄핵재판소는 부통령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하고 대법관 5인과 국회의원 5인이 심판관이 되며, 대통령과 부통령을 심판할 때에는 대법원장이 재판장의 직무를 행한다. 그리고 탄핵 판결은 심판관 3분지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라고
규정하였다. 이러한 규정들은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의 탄핵 방식을 그대로 도입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헌법위원회는 이렇게 헌법에 규정된 헌법기관이었지만 사실상 그 기능과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였다. 4.19 혁명으로 탄생한 제2공화국의 헌법에는 헌법재판소가 처음으로 규정되었지만 곧 이어 발생한 박정희의 5.16 쿠데타에 의해 설치되지도 못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다시 헌법위원회로 이름을 바꿔 비록 계속 유지되기는 했지만, 단 한 차례의 위헌법률심사를 한 적이 없을 정도로 사실상 유명무실한 존재였다.

그러다가 1987년 6월 항쟁 이후 새로 개정된 헌법에 헌법재판소가 규정됨으로써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의 대통령 탄핵의 최종 결정권한을 헌법재판소가 갖도록 하는 규정은 독일 방식을 계수(繼受), 즉 본뜬 것이다. 독일의 관련 규정은 독일 기본법 제61조 1항 “연방의회 또는 연방참사원은 고의로 기본법 또는 기타의 연방 법률을 위반한 이유로 연방대통령을 연방 헌법재판소에 탄핵할 수 있다”는 규정이다.

출처 :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 https://www.mindlenews.com )

 

전체 내용은 링크로 가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일개 공무원 따위에게 대한민국 미래를 맡기는 행위들은 더 이상 없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결과에 대해 책임도 안 집니다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IP : 175.211.xxx.92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늘에
    '24.12.16 2:48 PM (175.211.xxx.92)

    https://www.mindl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98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

  • 2. 공감
    '24.12.16 2:56 PM (123.214.xxx.155)

    헌법재판관도 캐비넷이 존재할 수도 있는일

  • 3. 동감!
    '24.12.16 3:01 PM (110.130.xxx.125)

    개헌때 헌재도 손 봐야
    한다고 봅니다.22222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4496 솜이아까워 이불을못버려요 4 이불 2025/04/20 1,384
1704495 줌인아웃에 사진올렸는데 안경브랜드 찾을수 있을까요? 4 안경 2025/04/20 833
1704494 한동훈 군대 썰,, 헌병대장을 체포? 29 .. 2025/04/20 2,476
1704493 김혜자샘 나오는 천국보다 아름다운 재밌네요 12 천국보다 2025/04/20 4,003
1704492 리먼때 강남과 버블세븐이 제일 많이 떨어졌어요 8 ... 2025/04/20 1,376
1704491 시누이가 재혼을 하겠다는데 76 난감해요 2025/04/20 21,063
1704490 공수처 권한 강화 국회전자청원에 참여해주세요. 4 한번 더 2025/04/20 401
1704489 넷플에서 영화 카시오페아 잘 봤습니다 1 ... 2025/04/20 1,629
1704488 고혈압약 먹는 남편 약 먹는 중 혈압이 정상이면 10 혈압 2025/04/20 2,460
1704487 윤 여정 배우는 대단하네요 9 ㅎㄹㄹㅇ 2025/04/20 3,688
1704486 자극적인 제목 있어도 무플로 지나가요 2 .. 2025/04/20 286
1704485 요즘 캐나다날씨는? 6 ... 2025/04/20 803
1704484 밖으로 나오세요~~~ 7 우리지금만나.. 2025/04/20 2,182
1704483 쑥많은장소 12 2025/04/20 1,679
1704482 남편과 대화 3 남편 2025/04/20 1,228
1704481 자식이 잘 사는 게 최고의 효도 아닌가요 15 ... 2025/04/20 4,006
1704480 이혼했어요 12 어렵다 2025/04/20 5,172
1704479 요즘 아프다고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요. 3 아프다고 호.. 2025/04/20 2,151
1704478 한동훈 진짜 똑뿌러지게 말잘해요 41 2025/04/20 3,289
1704477 저탄수 저콜레스테롤 식단을 지향하며 누리야 2025/04/20 648
1704476 여자 174cm면 시집 가는 데 단점인가요? 53 ㅡ털 2025/04/20 5,158
1704475 1시 최강욱 장인수 박시영 공동방송 그땐왜 ㅡ 대선시리즈 2회 .. 3 같이봅시다 .. 2025/04/20 646
1704474 혼주 와이셔츠 사야하는데 색깔 고민 12 혼주 복장 2025/04/20 1,004
1704473 영어 교습소 1대 1수업 vs 영어 전문과외샘 5 결정장애 2025/04/20 688
1704472 강남의 폭등한 아파트 값 받아줄 수요가 궁금해요 26 ........ 2025/04/20 4,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