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계엄, 법위의 행정명령, 위수령, 친위,경비계엄

노꼬 조회수 : 550
작성일 : 2024-12-09 18:54:56

<위수령>

https://archives.kdemo.or.kr/contents/view/273

육군 부대가 한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정된 대통령령으로 1950년 3월 공포됐다. 그러다 2018년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국방부가 위수령 폐지령안을 입법예고한 데 이어, 정부가 9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위수령 폐지령안을 심의·의결하면서 위수령은 68년 만에 폐지됐다.

 

경찰력으로 대응 불가능한 소요가 발생했을 때 군 병력을 투입하는 내용의 대통령령으로, 이승만 정권 시절인 1950년 최초 제정됐다. 육군 부대가 군 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공포됐다.

 

위수령은 치안 유지에 군 병력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계엄령과 유사하다. 다만 계엄령의 경우 군이 지휘 통솔을 맡지만, 위수령은 해당 조처에 대해 해당 지역 관할 시장·군수·경찰서장 등과 협의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위수령은 군부 독재 시절 민주화 시위를 진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됐다. 실제로 박정희 정권 시절이던 1965년 한·일협정 체결 반대 시위를 비롯해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 부정 규탄시위와 1979년 부마항쟁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위수령이 발동된 바 있다.

 

정부, 위수령 폐지(2018)

2018년 3월 8일 군인권센터는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군이 위수령을 근거로 병력 투입을 검토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정국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이후 국방부는 3월 21일 통치권자가 국회의 동의 없이 군대를 치안 유지에 동원할 수 있도록 규정한 위수령을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방침은 위수령이 시민들의 민주적 집회와 시위를 탄압하는 데 이용됨으로써 헌법에 규정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오래된 논란에 따른 것이었다. 이후 국방부는 위수령 폐지령안을 2018년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입법예고했다.

 

그리고 정부는 2018년 9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위수령 폐지령안을 의결했다. 위수령은 대통령령이어서 국회의 별도 의결 없이 국무회의에서 의결 후 바로 폐기됐으며, 이에 따라 제도가 생긴 지 68년 만에 공식 폐기됐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수령

촛불시민들 곤봉으로 허리 아래를 때려 쓸어버리고 실어가는?

#박느네는 모두 사용 할라고 했고

#문통때 폐기했군요.

 

IP : 121.150.xxx.192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7268 우리나라 사람들 여행에 강박이 있는것 같아요 70 .... 2025/03/03 18,353
    1687267 미키17 보고 느낀 엉뚱한 생각(약스포) 4 긁적긁적 2025/03/03 2,103
    1687266 대체공휴일 오늘 지하철 막차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2 막차 2025/03/03 663
    1687265 70대 엄마 몸이 벌레가 쏘는거 같다는데 뭘까요 9 여쭤요 2025/03/03 3,023
    1687264 정윤희 주연의 영화 아가씨는 참으세요 재밌어요 6 고전영화 2025/03/03 1,748
    1687263 겨울에도 없던 외풍이 2 ruru 2025/03/03 1,693
    1687262 '집에 혼자 있다 화재' 초등생, 닷새 만에 숨져…장기 기증 12 __ 2025/03/03 4,769
    1687261 정신과 상담비용 3 눈사람 2025/03/03 1,775
    1687260 롯지팬이랑 안성주물이랑 뭐가 더 좋아요? 6 사고싶다 2025/03/03 1,017
    1687259 넷플릭스 영화 사브리나 6 ... 2025/03/03 2,824
    1687258 이상한 직장동료,환자라 생각하고 지낼까요? 5 직장 2025/03/03 1,723
    1687257 제가 예민한 건가요..? 13 2025/03/03 3,497
    1687256 액정보호필름 너무 붙이기 쉽네요 5 ㅇㅇ 2025/03/03 2,039
    1687255 친구가 저보고 까칠하다는데, 님들은 어떠신가요? 30 ㅎㅎ 2025/03/03 4,138
    1687254 겨울 지나갈려하니 아쉽네요 15 날씨 2025/03/03 2,652
    1687253 이맘때면 찾아오는 맞춤법이요 13 @@ 2025/03/03 1,814
    1687252 이사가려는 집에 가스렌지가 없다는데요. 12 ㅇㅇ 2025/03/03 3,813
    1687251 이재명 vs 국힘 후보 다 합침.jpg 8 무섭네요 2025/03/03 1,880
    1687250 옷걸이에 걸어둔 옷이 색이 바랜경험있으신가요? 6 모모 2025/03/03 1,854
    1687249 몰튼브라운 바디로션 왜이리 건조해요? ;; 11 .. 2025/03/03 1,722
    1687248 오늘 추위는 또 다른 느낌이네요 6 .. 2025/03/03 5,642
    1687247 강아지가 급체로 죽을수도 있네요 6 .. 2025/03/03 4,908
    1687246 질투심 많은 인간 멀리해야돼요 9 2025/03/03 3,501
    1687245 부침개레시피 -요리초보분들께 7 방금 2025/03/03 2,381
    1687244 남편들은 부인이 오래 아프면 못버티나요? 41 부인 2025/03/03 10,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