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계엄, 법위의 행정명령, 위수령, 친위,경비계엄

노꼬 조회수 : 564
작성일 : 2024-12-09 18:54:56

<위수령>

https://archives.kdemo.or.kr/contents/view/273

육군 부대가 한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정된 대통령령으로 1950년 3월 공포됐다. 그러다 2018년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국방부가 위수령 폐지령안을 입법예고한 데 이어, 정부가 9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위수령 폐지령안을 심의·의결하면서 위수령은 68년 만에 폐지됐다.

 

경찰력으로 대응 불가능한 소요가 발생했을 때 군 병력을 투입하는 내용의 대통령령으로, 이승만 정권 시절인 1950년 최초 제정됐다. 육군 부대가 군 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공포됐다.

 

위수령은 치안 유지에 군 병력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계엄령과 유사하다. 다만 계엄령의 경우 군이 지휘 통솔을 맡지만, 위수령은 해당 조처에 대해 해당 지역 관할 시장·군수·경찰서장 등과 협의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위수령은 군부 독재 시절 민주화 시위를 진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됐다. 실제로 박정희 정권 시절이던 1965년 한·일협정 체결 반대 시위를 비롯해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 부정 규탄시위와 1979년 부마항쟁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위수령이 발동된 바 있다.

 

정부, 위수령 폐지(2018)

2018년 3월 8일 군인권센터는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군이 위수령을 근거로 병력 투입을 검토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정국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이후 국방부는 3월 21일 통치권자가 국회의 동의 없이 군대를 치안 유지에 동원할 수 있도록 규정한 위수령을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방침은 위수령이 시민들의 민주적 집회와 시위를 탄압하는 데 이용됨으로써 헌법에 규정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오래된 논란에 따른 것이었다. 이후 국방부는 위수령 폐지령안을 2018년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입법예고했다.

 

그리고 정부는 2018년 9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위수령 폐지령안을 의결했다. 위수령은 대통령령이어서 국회의 별도 의결 없이 국무회의에서 의결 후 바로 폐기됐으며, 이에 따라 제도가 생긴 지 68년 만에 공식 폐기됐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수령

촛불시민들 곤봉으로 허리 아래를 때려 쓸어버리고 실어가는?

#박느네는 모두 사용 할라고 했고

#문통때 폐기했군요.

 

IP : 121.150.xxx.192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0594 전에 만나던 친구가 결혼을 하나봐요. 47 .. 2025/04/09 6,978
    1700593 메머드커피는 뭐가 맛있나요? 7 .. 2025/04/09 1,125
    1700592 아침에 일어나니 위가 콕콕 쑤시는데 오한도 있고 먼지 모르겠어요.. ㅠㅠ 2025/04/09 386
    1700591 아이 학원 계속 보내야할까요 11 고2 2025/04/09 1,986
    1700590 넘 웃긴 글을 읽었어요. (정치글) 13 ㅋㅋ 2025/04/09 3,052
    1700589 산불 피해지역 참고하세요. 족보닷컴 이용권, 기부금 ㅇㅇ 2025/04/09 498
    1700588 저는 GPT T발롬으로 만들었어요 6 .. 2025/04/09 1,494
    1700587 미소된장 끓일때요.. 5 궁금 2025/04/09 824
    1700586 우리나라는 검사만 사생활이나보네요ㅡ 1 2025/04/09 1,110
    1700585 워드1급....필기도 쳤었나요? 3 ---- 2025/04/09 625
    1700584 왜 윤거니 부부 퇴거명령 얘기하는건지 답답하네요 8 ㅇㅇㅇ 2025/04/09 2,251
    1700583 오늘 뉴공을 보며 29 .. 2025/04/09 3,825
    1700582 도와주세요 다담주에 부부동반 여행가는데 입을 옷이 없어요 7 .. 2025/04/09 1,806
    1700581 "韓 헌법재판관 지명, 사법부 코드인사 전쟁".. 6 ㅅㅅ 2025/04/09 1,193
    1700580 11일 퇴거는 fake!(절대 11일에 퇴거 안 할 결정적 이유.. 3 깨몽™ 2025/04/09 1,847
    1700579 민주당 대선 후보 많은거 좋습니다 31 ㅇㅇ 2025/04/09 1,752
    1700578 주택청약 해지 하는게 나은건지 고민이에요 5 ** 2025/04/09 1,540
    1700577 무당층, 이재명보다는 국민의힘 후보 선택 30 중도가 바로.. 2025/04/09 2,766
    1700576 수 년간 정치뉴스로 피곤 3 피곤 2025/04/09 499
    1700575 한덕수가 지명한 헌재 재판관 9 . . 2025/04/09 1,582
    1700574 생라면의 최고봉 20 군것질 2025/04/09 3,279
    1700573 김경수 대선출마 하려나봐요 83 ㅇㅇ 2025/04/09 5,230
    1700572 다이소 커튼 주름 펴는 방법 있을까요? 1 살림맘 2025/04/09 538
    1700571 제사 간편해져서 참 좋네요 4 요즘 2025/04/09 2,166
    1700570 카카오페이로 타인에게 송금할때 어떤때는 그냥 빠져나가고요 입금 2025/04/09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