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계엄, 법위의 행정명령, 위수령, 친위,경비계엄

노꼬 조회수 : 564
작성일 : 2024-12-09 18:54:56

<위수령>

https://archives.kdemo.or.kr/contents/view/273

육군 부대가 한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정된 대통령령으로 1950년 3월 공포됐다. 그러다 2018년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국방부가 위수령 폐지령안을 입법예고한 데 이어, 정부가 9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위수령 폐지령안을 심의·의결하면서 위수령은 68년 만에 폐지됐다.

 

경찰력으로 대응 불가능한 소요가 발생했을 때 군 병력을 투입하는 내용의 대통령령으로, 이승만 정권 시절인 1950년 최초 제정됐다. 육군 부대가 군 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공포됐다.

 

위수령은 치안 유지에 군 병력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계엄령과 유사하다. 다만 계엄령의 경우 군이 지휘 통솔을 맡지만, 위수령은 해당 조처에 대해 해당 지역 관할 시장·군수·경찰서장 등과 협의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위수령은 군부 독재 시절 민주화 시위를 진압하는 수단으로 악용됐다. 실제로 박정희 정권 시절이던 1965년 한·일협정 체결 반대 시위를 비롯해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 부정 규탄시위와 1979년 부마항쟁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위수령이 발동된 바 있다.

 

정부, 위수령 폐지(2018)

2018년 3월 8일 군인권센터는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군이 위수령을 근거로 병력 투입을 검토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정국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이후 국방부는 3월 21일 통치권자가 국회의 동의 없이 군대를 치안 유지에 동원할 수 있도록 규정한 위수령을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방침은 위수령이 시민들의 민주적 집회와 시위를 탄압하는 데 이용됨으로써 헌법에 규정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오래된 논란에 따른 것이었다. 이후 국방부는 위수령 폐지령안을 2018년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입법예고했다.

 

그리고 정부는 2018년 9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위수령 폐지령안을 의결했다. 위수령은 대통령령이어서 국회의 별도 의결 없이 국무회의에서 의결 후 바로 폐기됐으며, 이에 따라 제도가 생긴 지 68년 만에 공식 폐기됐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수령

촛불시민들 곤봉으로 허리 아래를 때려 쓸어버리고 실어가는?

#박느네는 모두 사용 할라고 했고

#문통때 폐기했군요.

 

IP : 121.150.xxx.192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00827 월가 억만장자들 “대통령 때문에 경제 붕괴” ㅇㅇ 2025/04/09 1,748
    1700826 여리 없으면 여니 찍는다 3 ㅇㅇ 2025/04/09 1,375
    1700825 시진핑과 트럼프 사이에서 8 2025/04/09 1,184
    1700824 소개팅도 받고 알콩달콩 연애하고 결혼하고 그런 사람들 너무 부럽.. 4 ^^ 2025/04/09 1,337
    1700823 JP모건체이스 "미국경기침체 확률 80%" 5 ..... 2025/04/09 2,430
    1700822 오래된 오미자 엑기스 2 2025/04/09 1,104
    1700821 결혼 30주년때 뭐하셨나요 5 ㅇㅇ 2025/04/09 2,324
    1700820 세종아파트값 들썩인데요 25 부동산 2025/04/09 15,835
    1700819 코스닥매매는 어디서 하나요 3 ㅡㅡ 2025/04/09 588
    1700818 식기세척기 6인용 11 ... 2025/04/09 1,508
    1700817 일상글) 저 남편 찐으로 사랑하는 거 맞죠? 13 ... 2025/04/09 3,262
    1700816 다들 결혼기념일에 뭐하세요? 19 .. 2025/04/09 2,329
    1700815 아시아권 중 한 열흘 푹 쉬고 싶을때 추천하고픈 곳? 8 열흘 2025/04/09 1,462
    1700814 너무 먹었어요. 3 정신차려 2025/04/09 1,551
    1700813 홈 드라이 해봤는데요 5 ㅁㅁ 2025/04/09 2,219
    1700812 유시민작가님은 어쩜 이렇게 똑똑할까요? 17 2025/04/09 5,276
    1700811 "남초딩들 혐오스럽다, 아들 생기면 낙태"…계.. 27 .. 2025/04/09 4,489
    1700810 우울한 사람들 너무 싫어! 17 슬퍼요 2025/04/09 5,275
    1700809 바지 36인치면 와이셔츠 105 사이즈 맞을까요? 9 와이셔츠 2025/04/09 727
    1700808 마그밀 드셔보신 분 계세요? 8 달리 2025/04/09 1,973
    1700807 홍장원 4 대한의 국민.. 2025/04/09 3,431
    1700806 강아지 키웠다가 고양이 키우는 분들요 12 .. 2025/04/09 2,012
    1700805 안좋은얘기 듣는걸 너무 겁내요 3 .. 2025/04/09 2,044
    1700804 이제 신생아인데. 2 === 2025/04/09 1,426
    1700803 약국에서 사용기한이 지난 약을 팔았어요. 13 ㅇㅇ 2025/04/09 3,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