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침실,거실 한곳만 난방한다면 어디에~?

싱글 조회수 : 2,353
작성일 : 2024-12-06 17:31:34

(이 시국에 일상 글 죄송해요;;)

 

혼자 작은 아파트에 사는데

겨울내내 난방을 딱 한곳만 한다면

어디에 하는게 나을까요?

 

밤에만 자는 침실이 나을까요?

아니면 낮에 주로 있는 거실이 나을까요?

 

아껴야해서 두곳 다는 못하구요

 

계속 고민중인데 모르겠어서

아직 난방 시작을 못했어요

 

침대에 옥매트 같은게 있긴 합니다

IP : 39.7.xxx.73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거실에
    '24.12.6 5:32 PM (110.13.xxx.24)

    하고 거실에서 주무세요

  • 2. ㅇㅇ
    '24.12.6 5:32 PM (59.17.xxx.179)

    집안 곳곳을 사용하신다면 거실이 아닐까요?
    침대에 매트있으시니

  • 3. ..
    '24.12.6 5:33 PM (106.101.xxx.206) - 삭제된댓글

    전 침실요.잘때 따뜻하게.
    침실로 가는 배관이 거실로 지나가지 않나요?

  • 4. ㅇㅇ
    '24.12.6 5:33 PM (119.194.xxx.243)

    경험상 거실이 따뜻해지면 전체적으로 온기가 돌아서 더 효과적인 것 같아요. 침실은 전기장판 두어시간 쓰구요

  • 5. 침실
    '24.12.6 5:33 PM (1.240.xxx.21)

    매트리스도 이불도 두꺼워서 생각보다 잘 때는 춥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아직 안방은 난방을 하지 않았어요. 거실만 아주 추울때 살짝 돌립니다.

  • 6. ditto
    '24.12.6 5:34 PM (114.202.xxx.60) - 삭제된댓글

    낮엔 솔직히 난방 안 틀어도 괜찮던데요 저는 한 겨울에도 낮엔 난방 안 틀어요 환기도 자주 해야 해서~ 그런데 밤엔 꼭 난방 돌리거든요 잘 때 따뜻해야 피로도 풀리고 숙면할 수 있어서~ 주무시는 방에 돌리세요 저희 집도 그렇게 해요

  • 7. ㅇㅇㅇ
    '24.12.6 5:34 PM (58.237.xxx.182)

    당연히 거실이죠
    거실에서 생활하고
    잠만 침실에서 자니까
    침대에는 전기장판 깔면 됨
    반면 거실은 바닥이 따뜻해야함

  • 8. 원글
    '24.12.6 5:34 PM (39.7.xxx.73)

    침대를 거실에놓을수가 없어서요
    거실 바닥에서 자는것도 좋은데
    여기가 지역난방이라 뜨끈한 바닥은
    아니라고 합니다

    미적지근 차갑지 않은 정도인가봐요

    낮에는 거실 밤에는 방. 이러고 싶은데
    지역난방은 그렇게 하면 난방비가 많이 나온대요

    한곳만 주욱 켜놓으라 합니다

  • 9. ditto
    '24.12.6 5:35 PM (114.202.xxx.60) - 삭제된댓글

    낮엔 솔직히 난방 안 틀어도 괜찮던데요 저는 한 겨울에도 낮엔 난방 안 틀어요 환기도 자주 해야 해서~ 그런데 밤엔 꼭 난방 돌리거든요 잘 때 따뜻해야 피로도 풀리고 숙면할 수 있어서~ 주무시는 방에 돌리세요 저희 집도 그렇게 해요 침대에 전기매트 돌리면 바닥만 따뜻한데 난방 돌리면 공기가 훈훈하거든요 건강엔 이게 좋더라구여

  • 10. ㅇㅇ
    '24.12.6 5:41 PM (121.134.xxx.51)

    낮에는 난방 안해도 살만해요.
    저는 침실만 저녁에 난방합니다.
    거실에서는 양말신고 긴옷 입으면 괜찮고
    더구나 침실 밤에 난방하면 주방쪽으로부터 배관지나가는지 바닥이 따뜻해져서
    낮까지 거실에 온기가 있어요 ㅎ

  • 11. ...
    '24.12.6 5:47 PM (219.255.xxx.142) - 삭제된댓글

    보통은 침실에 난방하면 거실 일부분은 배관이 지나서 따뜻해요.
    그런데 원글님이 종일 집에 계시며 주로 거실에서 활동 하시면 거실에 트는게 좋을것 같아요.
    잠은 전기매트 올리고 자면 될듯 하고요.

  • 12. ...
    '24.12.6 5:54 PM (221.158.xxx.119)

    저라면 안방을 틀고 안방에서 지낼래요.
    컴퓨터작업같은것도 테이블 옮겨서 안방에서 하고요.

  • 13. ....
    '24.12.6 5:59 PM (122.36.xxx.234)

    저흰 안방 우선으로 해요. 낮에 거실이나 다른 방에 있는데 바닥만 차지 공기는 그다지 춥지 않아요. 두꺼운 옷에 실내화 신고, 간혹 책상에 오래 있어야 할 때는 작은 전기방석 씁니다(전기료에 영향 없을 정도입니다).
    잘 때 추우면 몸이 굳고 감기 들기 쉬워요.

  • 14. .....
    '24.12.6 6:07 PM (211.234.xxx.251)

    음..
    그런데..
    그렇게 한 방만 막아놓으면 그 쪽 배관에 문제가 생기더라고요..
    슬러지가 끼는 건지 뭔지 모르겠는데.
    나중엔 그 방은 난방 해도 안 따뜻해짐...
    난방 배관 망가져요...

    차라리 집 전체를 약하게 틀어놓으시는 건 어떤가요..
    한 군데만 따뜻이 아니라
    전체가 미지근. 뭐 이런 정도로요..

  • 15. 전체적으로
    '24.12.6 6:07 PM (183.97.xxx.120)

    온도 낮추고
    거실 침실 바닥에 천냥하우에서 파는 만원 전후
    바닥용 매트 사다 깔고
    침대엔 옥장판 30- 31도 정도 유지하고
    난방텐트 설치
    옷 한겹 더 입고 지내시면 될듯요
    한 곳만 잠그는게 동파 위험이 더 있지는 않은지 알아보시고요

  • 16. ..
    '24.12.6 6:16 PM (59.26.xxx.224)

    안방만 따뜻하게 난방하고 거실은 슬리퍼 신고 얇은 외투 입고 주방일 하고 방안에서는 얇은 옷 입고 침대서 뒹굴뒹굴 할 거 같아요. 어차피 티비보다는 유트브 많이 보지 않나요? 요즘 같은 날씨엔 동파는 없죠. 낮에도 영하로 떨어지는 날씨 돼야 동파위험 있죠. 올핸 너무 따뜻한거 같아요. 12/20까진 쭉 이런 온도던데 보통 겨울 11월 날씨에요.

  • 17. ..
    '24.12.6 6:51 PM (220.78.xxx.253)

    지역닌방은 안쓰는방이랑 쓰는 방 온도차이가 많이 나면 난방 효율이 떨어져요
    문풍지나 암막커텐 등 단열에 더 신경쓰고 낮은 온도로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내복입고 패딩조끼 입고 개인전열기구 쓰고 있어요. 단열 잘된 전에 살던 집과 달리 온도를 올려도 따뜻해지질 않아서요

  • 18. ㅇㅇ
    '24.12.6 6:53 PM (112.166.xxx.103)

    두 곳다 난방 약하게 틀어두면 난방비 얼마 안된대요
    그런데 춥게 지내면 병이 온답니다.
    난방 잘 트시거
    차라리 낮에 잠깐이라도 알바를 하세요

  • 19. ..
    '24.12.6 6:54 PM (221.167.xxx.116)

    저는 침실이요~
    거실은 환기도 시키고 움직이며 활동하는 공간인데
    침실은 누워서 가만히 있으니 더 춥더라구요.

    아니면 거실 남방+ 침실 온수매트에 난방텐트 정도 할래요.

  • 20. 어느한곳을
    '24.12.6 6:57 PM (211.186.xxx.59)

    선택해도 낭비되는건 어쩔수없다면 그냥 낮엔 거실, 밤엔 침실 나눠서 틀것같아요 효율어쩌고 해봐야 한쪽 배관 망가지고 낮이나 밤에 추워야한다니 그렇게까지해서 절약되는 난방비가 얼마나된다고요 본격적으로 추워지니 난방 안튼 거실 정말 춥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94806 정리정돈 못해서 남편한테 무시당하고 산지 10년입니다 33 dd 2025/03/26 5,169
1694805 법이 무너진 나라 4 무법지대야 .. 2025/03/26 2,797
1694804 식곤증이 너무 심해요 11 어쩌죠 2025/03/26 1,398
1694803 진돗개 강쥐 3개월차인데 하네스 어떤걸 살까요? 12 ... 2025/03/26 540
1694802 현재까지 판결 내용 92 ㄷㄷ 2025/03/26 13,012
1694801 이재명 바로 대선에 출마할수있는거죠? ........ 2025/03/26 1,565
1694800 실화한 인간들은 셀프진압을 못할 정도로 불을 지르고 내려온건가요.. 7 .... 2025/03/26 1,255
1694799 이재명 무죄 .. 2025/03/26 4,082
1694798 방통위, EBS 신임 사장에 신동호 임명 9 ... 2025/03/26 4,215
1694797 종량제 쓰레기 봉투 다른 지역에서도 쓸 수 있나요? 11 올리브 2025/03/26 2,673
1694796 법원 “이재명 ‘김문기 몰랐다’ 발언은 허위사실 공표 아냐”. .. 22 2025/03/26 3,799
1694795 등록 안 한 의대생들 정말 제적시킬까요? 32 글쎄 2025/03/26 3,110
1694794 저는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26 날아라 2025/03/26 3,000
1694793 그림 배우면 돈 많이 드나요 6 그림 2025/03/26 1,651
1694792 세상 제일 더러운 시궁창이 검사, 7 ........ 2025/03/26 1,223
1694791 알바하고싶은데 연락이없네요 5 사랑이 2025/03/26 2,098
1694790 윤석열 돌아오면 무조건 전쟁납니다. 17 레몬 2025/03/26 2,822
1694789 이럴수록 침착하게 2025/03/26 606
1694788 오후 2시, 매불쇼 시작합니다!!! 4 최욱최고 2025/03/26 1,006
1694787 이재명지지는 안할수 있죠..하지만 윤지지 하는 사람은 결이 악마.. 9 인용 2025/03/26 1,433
1694786 이재용과 이재명이 만난후 둘이 형제였는데 이재명이 .. 5 2025/03/26 2,068
1694785 대한민국 정부는 서울에서 하는 시위를 적극적으로 진압하기 위해 .. 3 .. 2025/03/26 881
1694784 사주 믿으시나요 소름 19 신기 2025/03/26 5,871
1694783 우리집앞 현수막 근황 5 ㄱㄴ 2025/03/26 1,904
1694782 경북기동대도 서울 올라와있네요 4 .... 2025/03/26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