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습결손이 생기면 극복은 어려운듯

학습결손 조회수 : 3,267
작성일 : 2024-12-04 17:55:42

중등때까지 펑펑 놀다가

고등 450여명중에서 390등 정도로 입학했던 아이..

하루에 3ㅡ4 시간만 자고 공부에만 매진한 결과 

전교 30여등 까지 올라갔다고 하는데...

 

https://youtu.be/ENMdq3ZWFtY?si=z_psHEK9SFX9mwFU

 

그렇게 열심히 했는데 후기는

인서울 겨우 해서.. (인서울 낮춰보는거 아님.. 서울대 갈정도로 열심히 했다는 얘기)

나중에 미국 보스턴 대로 유학다녀온 다음 영어 강사 하고 있다는 군요.

 

수학같은 경우는 한번 결손이 생기면 극복이 어렵나봐요.

IP : 211.186.xxx.7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근데
    '24.12.4 5:57 PM (1.239.xxx.246) - 삭제된댓글

    저 지역 전교 30등이면 그거 맞아요.
    인서울 했으면 오히려 잘 간거에요.
    저 지역이니 전교 30등이나 한거죠

  • 2.
    '24.12.4 5:57 PM (118.235.xxx.55)

    서울대는 단순 열심히 한다고 가는게 아니예요
    서성한까지는 공부 재능이 어느정도 따라줘야 가요
    겨우 인서울의 결과가 학습결손 때문이라고 단정할순 없고 그 학생의 역량인거죠

  • 3.
    '24.12.4 5:58 PM (211.186.xxx.7)

    바닥에서 전교 30여등 까지 올라왔으면 포기하지 않았는데 공부에 재능이 있는 거죠.

  • 4.
    '24.12.4 5:59 PM (211.186.xxx.7)

    선생님들 다들 입모아 얘기하시잖아요. 이런 바닥 탈출은 희귀케이스라고..

  • 5.
    '24.12.4 6:01 PM (118.235.xxx.55)

    거기까지가 그 학생의 재능의 한계일수 있단거죠 바닥에서 중상위까진 어렵지 않고 그 다음부터는 머리가 좋아야 되는것…
    공부 재능은 있냐 없냐가 아니고 얼마나 있냐니까요.

  • 6. 바람소리2
    '24.12.4 6:02 PM (223.38.xxx.125)

    전교 30등이면 10프로? 정도라 그래요
    그래도 대단

  • 7. 이런글
    '24.12.4 6:03 PM (118.235.xxx.219)

    굳이 왜 써요? 열심히 공부했으니까 영어강사라도 하죠

  • 8.
    '24.12.4 6:07 PM (223.38.xxx.68)

    공부 잘 하는 애들도 그것보다 더 해요
    오랜세월동안

  • 9. 뒤늦게
    '24.12.4 6:09 PM (211.186.xxx.7)

    뒤늦게 깨달아 열심히 하면 된다는데 그것도 뒤늦게 하면 한계가 있다는 소리에요.
    꾸준히 길게 해야된다

  • 10. ..
    '24.12.4 6:13 PM (119.197.xxx.88)

    고등 수학까지는 수학머리 있음 금방 따라가요.
    언어도 아니고.
    그 애는 그냥 그 머리가 아닌거예요.

  • 11. 공부의의미
    '24.12.4 6:16 PM (1.224.xxx.182)

    학생이 공부하는 것을
    꼭 대입의 결과로 성공과 실패로 나누면 안됩니다.

    스스로 공부를 시작한 그 자체,
    아예 시작을 안한것과 공부를 한다는 것은 완전 천지차이에요. 이건 공부를 직접 해 본 사람들은 알아요.
    고등학교에 올라와서 시작한 입시공부이기 때문에 입결에는 드라마틱하게 영향을 못 줄 수도 있지만
    그 이후의 삶의 방향에는 큰 영향을 줄겁니다. 이건 확신에 가까워요. 인생이 대입에서 끝나는 거 아니죠?

    그래서 저는 제 아이에게도
    일단 해보라고 합니다.
    죽을만큼 열심히 무언가를 했을 때
    때로는 성과가 뿌듯하게 나올 수도 있고,
    전혀 기대에 못미칠 수도 있는데
    두 가지 결과를 다 경험하는 것이
    니 인생에 도움이 될것인다 했습니다.

    그리고 무언가를 향해 긴 시간동안 최선을 다해 도전하고 몰두하는게
    진짜 괴롭고 외롭고 힘든 일이거든요.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걸 못하는거에요..
    어떤 분야든 그걸 해봤다는 거 자체가 큰 공부입니다.
    겨우 인서울했다..이런 말로 폄훼되어서는 안됩니다.

    제 아이는 예비고3인데요, 위의 사례와 같진 않지만
    예전에도 한번 댓글 단 적이 있어요.
    엘리트운동 하다가 부상으로인한 중도포기로 일반고로 전학왔고요, 중3까지 공부를 거의 놓은거죠. 물리적으로도 사실 공부할 시간도 없었으니까요.

    근데 본인이 마음먹으면 일정 등급이상 올라가요.
    3년동안 남들 공부 안했던거 몰아서하려면
    언감생심 최상위까지는 못가더라도 일정 등급까지는 갑니다. 그게 엄청 중요한 과정입니다.
    아무리 열심히 해도 운이 안따라주면 안되는게 있다..는것도 운동하면서 스스로 깨달았는데 ..
    그걸 포기와 좌절로 받아들이지말고
    다른 공부를 하는 데 밑거름으로 사용하라는걸 알려주는 건 부모와 주변 어른들의 몫이죠.

    계속 뭔가를 도전하는 학생들은 박수쳐줘야 할 일입니다. 성과로 보지 마세요.


    꼭 그 결과가

  • 12.
    '24.12.4 6:16 PM (58.29.xxx.138)

    중위권부터 상위권은 할만한데
    원래 상위권에서 최상위권 되는게 굉장히 힘들어요 .

    이게 최상위권은 .. 어려서부터 한 애들도 많고 ,
    죽어라 안해도 머리 좋아서 쉽게 하는 애들도 많구요 ..

    95점까지는 그냥 열심히 하면 올라가는데 ..

    평균 95점이 98-99점 만드는건 .. 좀 다른 차원의 문제에요 . 어려서부터 98-99가 익숙한 애들은 공부 스타일이랑 밀어부치는 스타일이 다르구요

    저 친구도 .. 최상위쪽 되기 위해 좀 다른 시각에서 노력해보면 더 좋았을 것 같은데 , 그게 또 쉽지 않습니다 .

    근데 나이 먹고 잘 먹고 잘사는건 꼭 최상위권이 잘 먹고 잘 사는건 아니니까요 .

  • 13. 공부의의미
    '24.12.4 6:18 PM (1.224.xxx.182)

    (이어서) 대입과 연결해서 생각보다 별로네 , 저렇게 열심히 해도 어쩔수없네..하며 낮춰 보는 시각을 바꾸셔야 합니다

  • 14. ...
    '24.12.4 6:23 PM (110.13.xxx.200)

    저도 저런 과정을 성과로만 보고 싶지 않네요
    나름 장시간 노력해서 저런 성공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더구나 짧은 기간도 아니고 3년이면 쉽지 않은 기간이에요
    좌절할수도 있고 포기할수도 잇는 시간이죠.
    되려 저절로 주어진 게 많은 아이들보다 스스로의 힘으로 만들어냈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일이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겠죠.
    그건 진짜 살아가면서 엄청난 삶의 자양분이죠

  • 15. 공감
    '24.12.4 7:01 PM (121.142.xxx.192)

    제 아이가 그래요. 중학교 2학년 1학기 까지 다니고 쉬다가 고등 입학했어요.
    물론 자사고다보니 전국모의고사는 나쁘지 않지만
    350명 중 300등 에서 지금 150등 정도까지 올랐는데 뭔가 모를 벽이 있어요.
    학교에 가만히 앉아있기만 해도 귀로 들어올 내용들 중에 모르는게 많으니 상식이 없다고 해야하나요.
    그런게 있네요.
    그런데 아이 말로는 당장 성적이 좋아 상위권 대학은 못갈지도 모르지만 자신은 인생에서 쭉 성장하고 있어서 기쁘대요.

  • 16. 3년도
    '24.12.4 7:35 PM (180.71.xxx.37)

    내리 열심히 하기 쉽지 않아요.성적과 별개로 대단한겁니다.그 의지만 쭈욱 이어진다면 크게
    성장해 있을거에요.
    서울대 입학하고 책 한권 안 읽던 사람의 20년 후랑
    인서울해서 꾸준히 노력한 사람 20년 후는 달라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6803 이제 알았어요ㅜ 왜 빌게이츠가 윈도우 만들었는지.... 7 ㅇ헉 2025/02/01 4,258
1676802 밥주는 아파트 속내는... 18 ㅇㅇ 2025/02/01 13,672
1676801 정리 지능이 0인 사람이 말끔한 집을 유지하는 방법 15 ㅇㅇ 2025/02/01 5,958
1676800 그럼 연대 문과는 타대학 공대 어디쯤 겹친가요 13 2025/02/01 3,060
1676799 K장녀들은 자기엄마를 불쌍히 여기더라구요. 23 ... 2025/02/01 3,571
1676798 저 금 투자 하고 있는데요. 왜 금 투자를 하냐면요. 48 원글이 2025/02/01 7,784
1676797 필리핀 가사도우미 대기수요 795가구…사업 확대 탄력 6 ... 2025/02/01 2,484
1676796 이런 사람은 뭔가요? 뭘까요? 2 의문 2025/02/01 1,564
1676795 돼지고기 냄새 나는 만두 4 방법 2025/02/01 1,337
1676794 아마존 태블릿 글 지울께요(유튜브 태블릿) 15 유튜브 2025/02/01 2,295
1676793 상가 가게세 질문이요 2 d 2025/02/01 863
1676792 수도물 파란거요 먹음 안되는거죠? 3 ... 2025/02/01 1,296
1676791 함익병은 상식은 있네요 43 0000 2025/02/01 17,322
1676790 가정혈압기로 140이상 나오면 고혈압이겠죠? 7 바다 2025/02/01 2,220
1676789 다진 소고기로 뭘 할까요? 13 ........ 2025/02/01 1,692
1676788 신축 수영장 사우나 밥 나오는거.. 유지하기 힘들듯 해요. 12 에구 2025/02/01 5,725
1676787 요즘 인스타 ㅎㅈㅁ 활동 안하나요? 8 ㅁㅁ 2025/02/01 5,112
1676786 거국중립내각 기획에 김경수가 끼어있을 가능성이 있음 60 ㅇㅇ 2025/02/01 2,762
1676785 아들 성격 좋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비결 공유해 주셔요^^ 15 힘내자 2025/02/01 2,780
1676784 방광염인거같은데 급해요 막 ㅠㅠ 22 어ㅜㅌ 2025/02/01 3,828
1676783 머리 매일 감으시나요? 51 .... 2025/02/01 7,288
1676782 전한길 최근에도 잘나가는 강사였나요?? 30 .... 2025/02/01 4,720
1676781 아이 태아보험 납입이 진작에 끝났는데요. 2025/02/01 1,315
1676780 부자에 미인이면 크리스천 15 asdgw 2025/02/01 4,576
1676779 극우 유툽은 죄다 개신교와 연결되어 있네요 9 개독시러 2025/02/01 1,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