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민자영의 일생은 대단히 흥미로웠네요?

역사공부 조회수 : 3,420
작성일 : 2024-12-01 15:37:26

이주혁 원장 페북 펌

 

민자영의 본관은 여흥 민씨. 경기도 여주 출생이었다. 
빈곤한 양반 집안의 자녀로 자랐지만 안동김씨의 세도정치를 끝내려 개혁정치를 시도하는 흥선대원군이 간택을 단행, 그를 고종의 왕후로 책봉했다.

 

민자영은 왕후가 됐지만 고종이 귀인 이씨만 좋아했기 때문에, 한동안 왕과 자리를 함께하지도 못했다. 그러나 이때부터 궁내의 여러 세력들간의 갈등관계를 이용, 자기 편을 만들고 세력 기반을 다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흥선대원군은 민자영의 여흥 민씨가 쇠락한 양반 가문이라 아무 위협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지만 완전한 오판이었다. 점점 자기 세력을 불려나간 민자영은 결국 대원군을 탄핵시키고 자기 일족들로 요직을 온통 채우기 시작한다.

 

대원군이 그토록 견제하려 했던 안동김씨의 세도정치는 그의 무수한 개혁정책이 아니라, 며느리가 끌어들인 여흥 민씨에 의해 끝났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폐해가 물론 많았다 하나, 부정부패로 본다면 여흥 민씨는 역사상 그 끝판왕이었다. 

 

민자영은 별기군이라는 신식부대를 창설해 놓지만 그 부대를 운용할 재정은 준비되지 않았었다. 밑에 돌을 빼서 위에 얹는 식으로 구 군영에 들어갈 곡식을 빼서 별기군에 지급하자 구식군의 폭동이 일어났다. 그게 임오군란이었고 민자영이 도망치자 대원군이 돌아온다. 간신히 목숨을 부지한 민자영은 청나라 군대를 불러들여 대원군을 끌어내고 다시 입궐했다. 

 

여흥 민씨 척족들의 부정부패는 지독해서 재정이 텅텅 비어 가니 녹이 나오지 않고 지방 수령들은 저마다 자기 고을을 쥐어짜서 생계를 해결하기 시작한다. 민란의 시작이었다.

 

동학 농민 전쟁이 고부에서 시작해 일파만파로 치닫자 민자영은 또 청나라를 끌어들인다. 뒤따라서 제물포로 입항한 일본군은 기관총을 들고 와 동학 혁명군을 학살하고 청나라도 몰아낸다. 


자기 나라 민중이 일으킨 민란을 진압하기 위해 외국 군대를 끌어들여 나라를 전쟁터로 만들고, 이제 조선은 일본에게 통째로 먹힐 일만 남도록 만든 책임에서 민자영이 절대 자유로울 수가 없다. 

 

갑신정변이 일어나고 또다시 청이 개입하자 급진 개화파들은 급히 일본으로 망명했고, 청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민자영이 이번엔 러시아를 끌어들이려 한다. 그리고 일본 공사는 일본인 낭인들을 동원해 민자영을 암살한다. 이 순간에 "나는 조선의 국모다"라고 외쳤다는 말은 환타지 드라마에서나 나오는 일이고 실제로 그는 목숨을 구걸하였다고들 한다. 

 

매천야록에 따르면 민자영은 대단히 사치스러웠다. 실제 논문상에도 명례궁 수입이 291만냥이었을 때, 궁의 지출은 444만냥에 달했다는 기록이 있다. 엄혹하던 시기 민씨는 무엇에 그리 돈을 많이 썼을까? 궁의 지출 중 대부분이 식료비였다. 이는 연회, 다례때문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더 큰 지출은 고사(굿, 제사) 탓이 더 컸다. 

 

민자영은 궁중에 신당을 짓고 무당과 중을 불러들여 허구헌날 고사를 지냈고 빈객들에게 선물을 잔뜩 쥐어 보냈다. 민자영 이전의 어떤 궁주들도 이렇게 큰 돈을 들여 풍성한 연회와 고사를 지낸 바가 없었다. 화폐가치가 폭락하고 물가는 천정부지이며 일본 등으로부터 차입금이 증가하고 세수는 중간에서 탈취하는 탐관오리들로 인해 증발하던, 위기의 시대였다. 그리고 그 꼭대기에 앉아 있던 민자영은 그나마 있는 세수조차 무속인들을 부르고 이사람 저사람 불러 연회를 베풀며 저렇게  탕진하고 있었다. 1880~1894년의 일이었다. 민자영같은 이가 정권을 쥐고 있는 이상, 이미 조선의 운명은 정해져 있었다. 

(후략)

IP : 61.39.xxx.16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12.1 3:39 PM (61.39.xxx.168)

    저는 그냥 일본 조폭에 의해 살해당한 여자로만 알고있었는데 와우!! 완전 이건 영화 몇편 만들 스토리네요?!?!!!

  • 2. 이런 걸
    '24.12.1 3:40 PM (217.149.xxx.249)

    명성황후라고 뮤지컬까지 만들어서 칭송 ㅋㅋ

  • 3. ㅇㅇ
    '24.12.1 3:41 PM (61.39.xxx.168)

    그러게요
    역사도 모르는 사람들이 일본에 시해당한 점 하나만으로 “훌륭한 사람이었겠거니” 라고 상상의 나래를 폈던 건가요?

  • 4. ...
    '24.12.1 3:43 PM (39.7.xxx.148) - 삭제된댓글

    저 여자 욕하면 친일매국노 취급 했죠

  • 5. 아하
    '24.12.1 3:43 PM (61.39.xxx.168)

    민자영의 생애에 대해 더 알고싶은데 혹시 추천해주실 책 아시는분 계실까요?

  • 6. 지금
    '24.12.1 3:57 PM (218.37.xxx.225)

    중년이상 나이대 사람들 어릴땐 민비로 배웠었어요
    어느 시점부터 명성황후로 불리게 됐는데 이유가 궁금하네요

  • 7. ㅇㅇ
    '24.12.1 3:57 PM (61.39.xxx.168)

    임오군란도, 동학농민운동도 민자영 쟤 책임이 엄청 컸군요?
    와.. 진짜 신기해요
    역사책에 나오던 사건들 여러개가 모두 무속중독자인 저여자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라는게..

  • 8. ㅇㅇ
    '24.12.1 4:00 PM (61.39.xxx.168)

    네, 저도 77년생인데 학교 다닐때 민비로 배웠거든요
    근데 국사교과서에 민비에 대해서는 그냥 “가난한 양반집 딸이었다, 안동김씨 세도정치를 끝낼려고 흥선대원군이 며느리감으로 점찍었다”고밖에 안나왔었어요.
    무속에 심취했다던가, 저여자 집안이 요직을 다 차지하고 부정축재를 했다는 서술은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엔 없었거든요.
    저는 진짜 역사 헛배웠네요

  • 9. 이주혁이
    '24.12.1 5:27 PM (211.205.xxx.145)

    누구죠?
    공신력있는 사람인지 뇌피셜인지 궁금해 찾아보니 역사관련 인물은 안 나오는데.
    역사관을 말할땐 좀 공신력있는 역사학자의 사료에 뒷받침된 글을 들고 왔으면

  • 10. 와....
    '24.12.1 6:26 PM (222.235.xxx.56)

    저도 덕분에 새로운거 알았네요.
    감사해요.

  • 11. ㄱㄴㄷ
    '24.12.1 6:46 PM (120.142.xxx.14)

    저도 뮤지컬 명성황후 유감예요. 쓸데없이 음악이 고퀄이라.

  • 12. 민비
    '24.12.1 11:49 PM (124.57.xxx.52)

    민비가 죽고 나서
    대한제국이 세워졌고
    고종이 황제가 됐어요
    그래서 사후에 명성황후로 추대된 거죠

    민비는
    우리나라 역사를 망친
    최악의 여자라고 하시는 역사 선생님도 계셔요
    저도 일정 부분 동의하구요
    일본 자객에 의한 죽음이 비극적이어서 포장되었을 뿐
    위에 써주신 부분 완전 다 사실이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7271 스타일러 사용법 좀 알려주세요. 3 .. 2025/02/03 2,076
1677270 17년 동결 대학등록금.. 윤석열 정부서 인상 시작! 8 이게뭐여 2025/02/03 1,518
1677269 2025년 입시는 다 끝난건가요 ? 12 입시가 2025/02/03 2,846
1677268 60이상 몸약한 50대도 독감조심하세요 7 ㄱㄱㄱ 2025/02/03 5,700
1677267 검찰 "윤 대통령, 이상민에게 언론사 단전·단수 직접 .. 9 속보 2025/02/03 2,743
1677266 실리콘 스푼 추천해주세요. 프리즈! 8 실리콘 2025/02/03 1,156
1677265 코팅이 너무 쩔어서 뭐든지 다 미끄러워질것 같은 냄비와 프라이팬.. 3 ... 2025/02/03 1,997
1677264 맛없는 어묵 회생법 좀 알려주세요 9 2025/02/03 1,803
1677263 각 간장 사용처(?) 이게 맞나요? 5 ㅇㅇ 2025/02/03 1,274
1677262 춘천지방 법원장에 김재호판사…나경원 배우자 4 ... 2025/02/03 2,988
1677261 연말정산 놓친경우 6 됐다야 2025/02/03 1,850
1677260 전세집 보러 갈건데...알고가면 좋은게 뭐가 있을까요? 4 샤무 2025/02/03 1,642
1677259 운전 경력이 꽤 오래되었는데 사고가 잦은분 8 .. 2025/02/03 1,842
1677258 밤새도록 일해보고 나서 적는 글 맞죠? 28 워라벨 2025/02/03 4,764
1677257 빵수기 방통위원장 법카 9 나는나나 2025/02/03 1,832
1677256 내후년 국제학교 진학예정 초6, 봄방학 한달 집중 영어공부 조언.. 7 영어영어 2025/02/03 1,318
1677255 참기름- 쿠ㅍ or 네이버 검색, 대기업 말고 어떤거 맛있나요?.. 9 저온압착? 2025/02/03 1,355
1677254 카톡온거 다른사람에게 전달할때 상대방이 아나요? 4 ㅋㅌ 2025/02/03 1,850
1677253 거실 전기매트 추천좀 해주세요 1 ... 2025/02/03 732
1677252 경찰 “전광훈, 내란선동 혐의 피의자 입건” 11 ... 2025/02/03 2,963
1677251 겨울이라 그런가 따뜻한 차를 마시니 좋아요 4 ㅇㅇ 2025/02/03 1,874
1677250 두피에 표피낭종 6 000 2025/02/03 2,826
1677249 2/3(월) 마감시황 2 나미옹 2025/02/03 788
1677248 광화문 광장 태극기 대신 6·25 조형물…오세훈의 '호국보훈' 14 슈킹슈킹 2025/02/03 2,353
1677247 지금도 계속 독감유행인가요? 4 ........ 2025/02/03 3,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