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장수재앙. 병원 안가면 죽는거죠

... 조회수 : 4,111
작성일 : 2024-11-29 13:23:56

20년전 이웃 60세 아저씨가 뇌종양에 걸렸는데

부인과 자식들이 병 없다고 아저씨를 속이고

치료 전혀 없이 집에서 돌아가셨어요

병명 나오고 6개월만에.

 

아저씨는 돌아가시는 날까지 자기 병을 몰랐고

마지막에 많이 고통스러워했다고 들었습니다. 

 

끝까지 병원에 안간 이유는 돈이 없어서. 

월세집에 부인과 살았는데,

큰아들은 백수

이혼하고 8세 4세 딸 데리고 얹혀살았고요. 

 

없는 형편이다보니

아저씨가 병원 다니며 큰돈 쓸까봐

비밀로 하고 집에서 돌아가신겁니다. 

장례도 집에서 했고. 

 

동네에서는 잘했다, 못했다 말이 많았어요. 

가족들 나쁘다, 치료도 안했으니 가족들이 죽인거다, 

아니다, 없는 형편에 월세 보증금까지 털어먹느니

그렇게 돌아가시는게 나았다.

 

한 사람의 목숨 앞에 할 말은 없는데, 

장수재앙이라는 글들 보면

가끔씩 그때가 생각납니다. 

 

아픈데 병원 안가고 치료 안받으면 

우리모두 죽은 목숨이겠죠. 

그 아저씨도 지금처럼 건강보험 혜택이 많은 시절이었으면

치료받을 수 있었겠죠?

 

우리나라 의료제도는 참 많이 좋아졌어요

예전같으면 죽을 사람도 

저렴한 금액으로 살려주니까요. 

 

장수재앙이라 어느정도 나이되면

아파도 병원 안가고 죽고 싶은 마음도 있지만, 

과연 그럴수 있을까요?

IP : 59.10.xxx.58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29 1:25 PM (219.241.xxx.152)

    지금까지는 좋았는데 ᆢ 앞으로는 모르죠
    의료보험비가 오를거고 나이들어 직장 없으면 상당한 부담될지도

  • 2.
    '24.11.29 1:26 PM (219.241.xxx.152)

    저는 적당히 살고 돌아가셔야 된다 싶어요
    살려두면 치매도 그렇고
    전 인간수명연장이 재앙 같아요

  • 3. ...
    '24.11.29 1:29 PM (59.10.xxx.58)

    그런데 저부터... 아픈데 병원 안가고 죽을 수 있을까... 싶어요.

    60세면 젊은 나이인데, 막판에 그렇게 고통스러워했다는데
    병원 데려가지 않은 식구들도 마음이 어땠을까.. 싶고요

    돈 없으면 그냥 죽었던 시절이었나봐요

  • 4. ㅇㅇ
    '24.11.29 1:30 PM (39.7.xxx.247)

    지금 노인들은 의료혜택 가장 많이
    받은 세대입니다.
    병원을 쇼핑하듯 가고
    자식들이 병원비, 수술비 다 대주고
    요양원 비용도 다 자식들이 부담하고

    지금 40-50대는 그렇게 병원 못가요
    자식들한테 손도 못벌리고요.

  • 5. 한국 초고령화
    '24.11.29 1:32 PM (223.38.xxx.221)

    한국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잖아요

    65세 노년층 비율은 2036년에 인구의 30%이상,
    2050년엔 인구의 40% 이상이나 차지한다는 통계 전망 나왔잖아요

  • 6.
    '24.11.29 1:34 PM (219.241.xxx.152)

    40~50대는 돈 없으면 이제 치료 못 받을지도
    초고령 사회라서 그 노인들 다 복지하기는 힘들듯
    청년들 세금으로 어찌해요

  • 7. 그럼
    '24.11.29 1:44 PM (59.10.xxx.58)

    우리세대는 아프고 돈 없으면
    병원 못가고 죽을지도 모르겠어요

  • 8. ..
    '24.11.29 1:45 PM (106.101.xxx.216)

    오래살까봐 걱정이에요

  • 9.
    '24.11.29 2:09 PM (118.32.xxx.104)

    그래도.. 가족들 잔인하네요

  • 10. 그게
    '24.11.29 2:14 PM (70.106.xxx.95)

    불과 수십년전만 해도 돈없으면 수술비 병원비없어 죽었어요
    최근들어 갑자기 너무 병원이용이 쉬워진거였죠
    근데 이제 지금 사오십대가 늙을땐 다시 옛날로 돌아갈겁니다
    돈없는 노인들은 집에서 자연사 하는거에요

  • 11. 그쵸
    '24.11.29 2:14 PM (59.10.xxx.58)

    아저씨가 마지막 한달 정도
    심한 두통과 구토 등등으로 고통스러워했다는데
    병원에 모시고 가서
    치료는 안해도 진통제라도 드렸어야 하는거 아닌가..
    어린 마음에 그런 생각을 했더랍니다.

    입밖으로 꺼내진 못했어요.
    그 가족도 오죽할까 싶어서.

    가난은 잔인한거예요

  • 12. 근데
    '24.11.29 2:27 PM (211.209.xxx.83) - 삭제된댓글

    뇌종양은 생긴위치에 따라서
    치료 불가 아직도

    다만 진통제는 아쉽네요

  • 13.
    '24.11.29 2:28 PM (219.241.xxx.152)

    가난은 잔인하죠
    그래서 전쟁겪은 아버지가 돈 없으면 죽어하며
    악작같이 돈 모았죠
    그래도 공무원이라 푼돈이지만
    젊은세대는 그들보고 비웃었지만
    앞으로 그런날이 올지도

  • 14. ...
    '24.11.29 2:33 PM (110.70.xxx.146)

    자식도 60이되면 자기 인생 살아아죠 현실은 퇴직후 75세까지 부모님을 케어해야하니....ㅠ 저도 그럴까봐 겁나지만 90세 부모님 조금만 아프고 점만 하나 생겨도 또 치과 진료도 동네 의원 못믿고 대학병원 데려다 달라고 합니다 제가 먼저 죽을 것 같아요 ㅠ

  • 15.
    '24.11.29 2:43 PM (61.74.xxx.175)

    일본은 병원에서 집으로 보내고 집에서 죽음을 맞이한대요
    인구구조상 우리나라도 그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죠
    사람 손 필요하니 요양원 갔다가 죽을 거 같으면 응급실 통해
    입원해서 살아나고 그걸 반복하면서 목숨줄만 붙어 있는데
    평균수명 높아졌다니 모두들 기대수명이 너무 길어요
    이런 분위기라 자식이 병원에 모시고 가서 계속 살려내지 않으면
    안되는 문화잖아요
    건강보험 고갈로 결국 예전으로 돌아가겠죠

  • 16. ㅇㅇ
    '24.11.29 3:17 PM (14.5.xxx.216) - 삭제된댓글

    뇌종양은 산정특례 대상이라 전체 병원비의 5%만 내서
    병원비 얼마 안들어요
    그가족이 너무 한거죠
    돈 몇푼에 사람을 죽게한거네요
    수술만 하면 살릴수 있었을텐데요

  • 17. 요즘은
    '24.11.29 3:33 PM (211.218.xxx.194)

    집에서 그렇게 모시지 않고
    병원에 던진다? 라고 표현까지 있는듯.

    집에서 돌아가시면 무섭잖아요.
    언제 돌아가실지도 모르는데 고통스러워하는거
    계속 지켜볼 독한 사람도 없고.
    반면에 119부르면 금방 달려오고.

    병원안가고 죽는 분들은 거의 고독사.

  • 18.
    '24.11.29 4:03 PM (1.235.xxx.154)

    투석받아야한다고 그러는데 퇴원하는거 봤어요
    마음이 아프더라구요
    가난은 참..

  • 19. 그러니
    '24.11.29 4:27 PM (14.55.xxx.141)

    자기 병원비는 꼭 갖고 있어야해요
    일생 모은돈 늙어 아프니 5년이내 다 쓰더라구요
    간병비 병원비 약값 기저귀
    집에서 산다면 관리비 재산세 식비
    수입없이 아프니 정말 몇억 순식간에 나가요
    자식에게 집 사준다.. 그건 집 사주고도 내 돈 몇억이 있을때 가능합니다
    아니면
    피눈물 나요(옆에서 지켜본 사람임)

  • 20. 20년전에도
    '24.11.29 5:49 PM (117.111.xxx.4) - 삭제된댓글

    의보 혜택 좋았어요.
    제가 25년 전에 치료받을때도 좋았고요.
    검사하고 결과는 본인 있는데서 말해주는데
    아마 60대가 아니셨을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0555 머리가 좋으면 의대말고 공대가야될것같아요 17 공대 2024/12/03 2,549
1650554 오피스텔 세대주가 회사와 개인공동이래요 2 월세 2024/12/03 591
1650553 삼성페이 질문요 3 몰겠어요 2024/12/03 725
1650552 이유식 너어무 안먹는 아기 어쩌나요 12 ㅇㅇ 2024/12/03 786
1650551 쿠팡 무료 체험단 2 ... 2024/12/03 793
1650550 가정에서 꿀은 어떻게 소비하나요? 9 어찌 2024/12/03 1,782
1650549 죽을때 사라지는 동물들 11 .... 2024/12/03 2,767
1650548 본인 돌이나 100일 때 받은 순금 40 ..... 2024/12/03 2,534
1650547 푸른바다의 전설 ㅋㅋㅋㅋㅋ 11 뒷북 2024/12/03 3,066
1650546 카카오에서 새 카드 발급되었다고 6 …. 2024/12/03 1,155
1650545 조용하고 가성비 좋은 가습기 찾아요 dma 2024/12/03 208
1650544 사주 공부하신 분들께 사주가 어떻다고 생각하셔요 10 인생뭔가 2024/12/03 2,206
1650543 두피 대상포진 경험 있으신가요 14 2024/12/03 1,464
1650542 보고싶은 우리딸 7 123 2024/12/03 3,713
1650541 저 네이버 양전했어요 7 ㅇㅇ 2024/12/03 2,624
1650540 뜨끈뜨끈한 전기장판 추천해주세요 14 .. 2024/12/03 1,698
1650539 축협회장 누가 될까요? 4 ㅁㅁ 2024/12/03 1,453
1650538 설화수 진설 아이크림쓰시는분 계실까요? 2 모모 2024/12/03 885
1650537 쿠팡체험단이 되었어요 갑자기 15 쿠리둥절 2024/12/03 4,317
1650536 엘레베이터 교체 비용 5 동원 2024/12/03 1,516
1650535 출연진 후덜덜하네요 9 ooo 2024/12/03 4,694
1650534 브리타 필터도 가품이 많은가봅니다 6 이런이런 2024/12/03 1,914
1650533 다이어트로 발250에서 240이 8 kj 2024/12/03 1,710
1650532 옛날에 방영했던 "환상특급"이라는 미드 기억하.. 20 추억 2024/12/03 2,071
1650531 외국인데 겉포장 파란색 초코파이 맛있어요 5 나나 2024/12/03 1,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