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달리기 막 시작했는데 다리에 힘이 너무 들어가요.

달리기 조회수 : 856
작성일 : 2024-11-29 10:36:03

런데이  막 시작했어요.

 

지금이 3주차입니다.

 

그런데  하면 할수록  다리에 힘이 쏠리는 느낌이 들면서  다리 들어올리는게 낮다고 하나요?

 

런데이 3주차이긴 하지만   슬로우조깅 거북이 달리기 속도로 하고 있어요.

 

보폭  폭도 엄청 좁게 하면서 거북이 달리기 하고 있습니다.

 

하다보니  온 몸이 다리에  쏠리는 느낌이 들면서   다른 사람들은  다리 들어올리는게  엄청 높더라

 

구요.  그에 반해 저는  다리 올리는게 낮구요.

 

다리에 힘도 엄청 들어가는거 같구요.

 

거북이 달리기  달리기 초보인데요.

 

뛸때 보폭 폭이 좁은거랑  다리에 거의 안 올리고  뛰는 자세

 

이렇게 해도 되나요? 

IP : 121.190.xxx.5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29 10:37 AM (112.216.xxx.18)

    괜찮아요
    다리를 많이 올리는 것보다 적당히 올리는게 훨씬 에너지 면에서도 좋아요

  • 2. ...
    '24.11.29 10:45 AM (175.223.xxx.155)

    조급하게 무리해서 하지 말고 내 페이스에 맞춰서 멀리 보고 하세요. 어차피 달리기는 인간이 본능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이고 지금은 많이 긴장하고 힘이 딸려서 자세가 부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것 같네요.

  • 3. ...
    '24.11.29 10:45 AM (223.39.xxx.230)

    저도 다리가 무거워서 속도가 잘 안나요.
    땅바닥에 늘러붙어 뛰는 겨우 기분.
    무리해서 속도를 올리면 몸에 무리가 가서
    대신 시간과 거리 늘리고 있어요.
    하체 근력이 부실해서 그런거 같아요.

  • 4. ...
    '24.11.29 11:03 AM (121.177.xxx.84)

    대회를 목표로 속도를 올리려면 통통 뛰면서 치고 나갈수 있어야겠지만
    건강을 위한 달리기라면 천천히 낮게 뛰어도 아무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낮은 높이로 뛰면 관절에 무리가 덜 가서 부상의 위험이 줄일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 5. 천천히
    '24.11.29 11:13 AM (59.6.xxx.225)

    당연합니다
    달리기를 처음 하는데 오랫동안 달려온 사람들과 모든 게 다를 수밖에 없어요
    어떤 운동이든 아마추어는 선수들 폼이랑 비교하면 형편 없잖아요

    달리기가 단순해 보이지만 온 몸을 쓰는 거라 처음엔 자세가 엉성하거든요
    무리하지 말고 본인이 편한 자세로 계속 달리다 보면
    달리기 근육이 발달하고, 자세도 점점 좋아져요

    저도 초보 때는 발목을 많이 써서 정강이가 아프곤 했는데요
    달린 거리가 늘수록, 무릎이나 발목이 아니라 엉덩이, 허벅지 힘을 이용하게 돼요
    초조해 하지 마시고 천천히 달리시면서
    유투브애서 올바른 달리기 자세를 계속 보시면 도움이 되실 거예요

  • 6. ㅇㅎㅎ
    '24.11.29 12:52 PM (221.150.xxx.170)

    속도에 맞는 무릎 올리기가 중요해요. 빠르게 뛰는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 납니다.
    허벅지 근육으로만(무릎, 발목 힘 빼기) 올린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몸의 무게 중심으로 착지하구요.
    보폭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빠르게 달리게 되면 무릎 올리기랑 마찬가지로 보폭도 늘어나가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0075 만성 가려움증 있는 분들 어디가 먼저 가렵나요 5 .. 2024/12/03 1,049
1650074 클래식 듣는 분들 어떻게 들으세요? 17 000 2024/12/03 1,536
1650073 초과 주유하면 기계가 알아서 멈추나요? 7 ㅇㅇ 2024/12/03 1,482
1650072 국민연금 200만원 이상 수급자가 4만명정도 밖에 안되나 봅니다.. 13 ... 2024/12/03 3,428
1650071 아이가 잘하는게 아무것도 없는것 같아요 3 aa 2024/12/03 1,542
1650070 유튜브 공동구매가 싸기는 하네요 7 ㅇㅇ 2024/12/03 1,333
1650069 실비보험금받을때 내가낸의료보험비를 공제 한다는데요 8 모모 2024/12/03 1,289
1650068 주식....몇몇 종목은 손절쳤어요 4 ,,,,, 2024/12/03 2,082
1650067 응급실 찾다가 16세 사망 42 이래도언론은.. 2024/12/03 7,485
1650066 방문 수업 가는데.. 10 ㅇㅇ 2024/12/03 1,319
1650065 코인 물려있었는데 드뎌 빨간불이네요 .... 2024/12/03 1,258
1650064 혹시 반고흐전 다녀오신분 계실까요? 7 반고흐전 2024/12/03 1,785
1650063 나이들수륵 시간이 짧아질까요? 9 ㄱㄴ 2024/12/03 1,410
1650062 스트레스로 생기는 몸의 이상 증세 27 ㅡㅡ 2024/12/03 4,197
1650061 ISA계좌에서 3년후 연금저축으로 옮겨야 세제혜택이 있다는데 6 ... 2024/12/03 1,402
1650060 tv 수신료 다시 전기요금 합산... 2 ... 2024/12/03 1,580
1650059 자식때문에 너무 힘들어요 16 겨울 2024/12/03 6,182
1650058 특활비삭감 16 82고인물 2024/12/03 1,238
1650057 나이 듦 3 나이듦 2024/12/03 1,447
1650056 동생이 망해서 이사가야하는 상황인데 37 ㅇㅇ 2024/12/03 7,403
1650055 왜 인생은 고민은 연속해서 생기나요 7 삶.. 2024/12/03 1,701
1650054 왜 나이들수록 다리가 말라가죠? 15 ㅇㅇ 2024/12/03 3,716
1650053 특활비삭감에 기레기가 발악하는이유 9 검찰특활비 2024/12/03 1,253
1650052 인덕션 어디꺼 살까요? 8 .. 2024/12/03 1,240
1650051 국회 특활비, 홍준표 때문에 이미 90% 삭감했음 10 뭘알고나 2024/12/03 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