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몸을 움직이기 어려울 때 갈 수 있는 시설 경험기

펌글 조회수 : 1,290
작성일 : 2024-11-28 10:18:05

좋은 내용이라 퍼왓습니다.

바쁘시면 굵은 글씨만 읽으셔도 됩니다.

 

글쓴이 : 벨기에 자립지원주택-어시스티드 리빙 입주자 변재원
 
1. 넷플릭스 신작 가운데 <스파이가 된 남자>라는 드라마가 있다.
오피스, 브루클린 99, 굿플레이스 등을 쓴 마이클 슈어가 굿플레이스 몇몇 출연진과 오랜만에 합을 맞추어 만든 드라마다. 줄거리는 아내 사별 후 무기력해진 남성이 우연히 탐정 사무소에 취업하여 도난물품을 찾기 위해 '어시스티드 리빙'에 잠입하는 내용이다.
 
2. 드라마는 그 어떤 노인도 '시설'에 들어가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 점에서 노인들이 가장 경계하는 건 치매인데, 치매에 걸릴 경우 더 이상 '어시스티드 리빙'에 머물지 못하고 별도의 시설로 입원조치 되기 때문이다.
 
3. 한국어 자막에 버젓이 "실버타운"이라고 써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계속해서 '어시스티드 리빙'이라고 쓰는 이유는 탈시설에 대한 상상력의 빈곤함을 지적하기 위해서다.
 
나는 벨기에 어시스티드 리빙 입주자다.
드라마 속 주인공이 잠입한 샌프란시스코 '어시스티드 리빙'과 마찬가지로, 벨기에 루벤의 '어시스티드 리빙'에서 살고 있다. (내가 사는 벨기에의 어시스티드 리빙은 미국처럼 럭셔리한 곳은 아니지만) 한국의 탈시설 장애인권활동가들이 추진하는 자립지원주택과 유사한 구조다.
장애인을 비롯한 신체적 불편함을 가진 이들이 비장애인과 함께 머물고,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고, 내 명의로 계약한 개별적인 방을 가지고 있는 곳은 집단 거주시설도, 실버타운도 아니다.
 
4. 실버타운이라는 단어는 입주민을 '노인'으로 한정시킬 뿐만 아니라, 경제적 여유를 전제로 입주하는 곳을 지칭하는 문화적 용어다.
다시 말해, 부동산 또는 연금이 충분한 노인들이 집에서 사는 게 불편해서 대안으로 선택하는 안정적인 주거처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곳에 입주할 수 없는 노인들은 요양원, 재활병원, 요양병원으로 차례차례 밀려난다.
 
5. 한국에서 탈시설 운동을 할 때면 늘 '대안'이 없지 않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정말 그럴까?
벨기에에서의 지금 나의 삶은 무엇일까.
나는 혼자서 무엇도 들 수 없다. 휠체어로 출입도 자유롭지 않다.
플래미쉬를 하지 못해 공과금을 내지도 못하고, 아직 내 명의의 휴대폰과 계좌도 없다.
요리도 제대로 못한다.
무엇하나 혼자 할 줄 모르지만, 나는 격리되지 않은 채 어시스티드 리빙에 입주한 다양한 입주민의 도움을 통해 살아가고 있다. 
모든 입주민 친구들이 도와준다. 서로의 스케줄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3주마다 1번씩 회의를 하고, 매주 나의 장보기와 청소 도우미 당번을 정해서 함께 일을 해나간다.
그 덕에 나는 말하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고, 걷지 못하고, 옮기지 못하지만 이 곳에서 존엄을 지키며 안락하게 살아가고 있다.
정말 냉정하게 말해 벨기에 사회에서 나라는 사람은 국민으로 인정조차 되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에 어느날 소리없이 죽거나 사라져도 슬퍼할 이유가 없음에도, 누구도 그것을 바라지 않으며 서로의 삶을 지탱해주고 있다.
 
6. 탈시설 이후의 삶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어시스티드 리빙(자립지원주택)이 강력한 대안 중 하나다.
지금은 벨기에에서 오직 나만 누리고 있지만, 이것을 한국의 모든 중증 장애인들이 누리기를 꿈꾸는 것이 과연 그토록 급진적이고, 좌파적이고, 선동적인 주장인가.
벨기에에서는 외국인인 나에게도 이 기회가 주어지는데, 한국에서는 왜 장애시민에게 같은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가.
노인은 또 어떻고, 아동은 또 어떤가.
왜 지금 우리 사회는 어시스티드 리빙과 통합된 공동체의 삶을 꿈꾸는 이들에게 '터무니없다' 또는 '돈이 많이 든다'는 평가만으로 좌절시키고 마는가.
 
7. 넷플릭스에서 '어시스티드 리빙'을 '실버타운'으로 일괄 번역하는 것을 보며, 한국 사회에 몸이 불편한 이들이 함께 살아가는 대안적 주거 공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지금 우리에게 존재하는 건 아프고 가난한 사람들끼리 가두어져야 할 시설, 돈있는 사람들끼리 살아갈만한 실버타운. 두개의 선택지밖에 없다.
제발 시설에만 들어가지 않게 해달라는 주인공 아내의 간절한 바람(유언)의 무게를 한국 사람들이 과연 공감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는 장애인의 문제였지만, 이제부터 노인의 문제가 될텐데,
지역사회에서의 통합된 삶을 대안에서 삭제한 채
나는 돈많은 사람들이 실버타운 가고, 돈없는 사람들을 대형 시설에 두는 이분법적 문제만을
한국사회의 영속적인 대안으로 제시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IP : 14.38.xxx.24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출처
    '24.11.28 10:18 AM (14.38.xxx.243)

    https://www.facebook.com/HobbitJ1/posts/pfbid02DPCKKi6ixFMA8SN3rEmwXyp1Yaghfp7...

  • 2. 이기적이고
    '24.11.28 10:22 AM (121.162.xxx.190)

    돈 밖에 모르는 현재의 대부분의 서민, 중산층 한국인의 의식이
    과거의 서로 돕고 살던 두레와 부조의 정신을 회복할 때야 가능한 일이겠죠.

    지금은 서로 서로 서로 가두고 의심하고
    많이 갖고 있으면서 가진 것을 제대로 쓰지를 못하고 사는 꼴이죠.

  • 3. ..
    '24.11.28 10:24 AM (202.128.xxx.100)

    요즘 한국사람들은
    한국이 세계 최고라고 믿고 싶어하기때문에
    다른나라의 의료복지 시스템의 장점들을 알고싶어하지 않더라고요.
    한국보다 좋은점이 있을리가 없다고 믿던데요

  • 4. 원글
    '24.11.28 10:27 AM (14.38.xxx.243)

    저는, 우리가 시야를 좀 더 많이 넓히면 좋겠기에 이런 글들 퍼와 봅니다.정답은 아닐지라도 그래도 해외에선 이런 저런 제도들이 있고 수혜자들이 있고, 그런 정도 복지를 마련하려면 어떤 준비와 투자를 해야 하는지 정말 진지하게 논의하는 분위기가 마련되면 좋겠어요.
    늙어서 시설 가느니 자살할 거라는 각오들만 말하지 말고요.
    해외 사례들이 단점도 있다면 우리가 그런 단점들 최소화한 우리에게 맞는 제도를 만들면 되잖아요.
    국민들의 시야가 넓고 눈높이와 기대치가 크면 정책 입안자들도 움직이겠지요..

  • 5. ㅇㅇ
    '24.11.28 10:33 AM (180.69.xxx.156)

    생각해 볼만한 내용이네요 좋은 글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넷플 영화도 찾아볼게요

  • 6. 좋은글이긴 하나
    '24.11.28 10:42 AM (112.149.xxx.140)

    한국에선 불가능 할거라고 생각해요
    더불어 살자 최저임금 높여주자 하는 민주당이 싫고
    부자세금 줄여주고 상속세 줄여주고에 열광하는
    국민들이 더 많아서요
    우리나라는 정글이고
    벨기에는 사람사는곳이고
    그 차이 입니다
    부모라 해도 서로 돌보지 않으려 하는게
    지금의 한국의 상황입니다

  • 7. 한국인들은
    '24.11.28 11:18 AM (220.117.xxx.100)

    과정은 안 좋아해요
    내가 나서서 내가 아닌 남들이 뭔가를 누리기를 바라며 자신이 뭔가를 할 생각도 없어요
    그러자고 하면 “내가 왜?”라고 할걸요
    이미 존재하는 좋은 것들을 남들 제끼고 나만 누릴 생각은 있어도요
    이기주의의 극을 달리는 중이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6112 옷걸이에 걸어둔 옷이 색이 바랜경험있으신가요? 6 모모 2025/03/03 1,915
1686111 몰튼브라운 바디로션 왜이리 건조해요? ;; 11 .. 2025/03/03 1,789
1686110 오늘 추위는 또 다른 느낌이네요 6 .. 2025/03/03 5,696
1686109 강아지가 급체로 죽을수도 있네요 6 .. 2025/03/03 4,981
1686108 질투심 많은 인간 멀리해야돼요 9 2025/03/03 3,570
1686107 부침개레시피 -요리초보분들께 7 방금 2025/03/03 2,436
1686106 남편들은 부인이 오래 아프면 못버티나요? 41 부인 2025/03/03 10,345
1686105 미키17 보신분들만요 19 2025/03/03 3,731
1686104 계엄 국무회의록, 참석도 안 한 강의구 부속실장이 작성 5 한겨레 2025/03/03 1,753
1686103 와 소름 돋아요 유전자가 아렇게나 무섭네오 24 2025/03/03 23,849
1686102 gpt 지금 쓰시는 분들 속도 괜찮은가요? 9 fg 2025/03/03 1,197
1686101 김용현을 찾아보세요. 4 . . 2025/03/03 2,348
1686100 립스틱 몇개나 쓰시나요? 14 2025/03/03 3,120
1686099 결혼식 옷차림 질문 입니다 3 민들레 2025/03/03 1,667
1686098 펀샵 완전 문닫았네요 4 ........ 2025/03/03 3,002
1686097 초등1학년이 학원 7개 10 .. 2025/03/03 1,951
1686096 강진여행후기요(반값여행) 14 ㅎㅎㅎ 2025/03/03 3,275
1686095 가톨릭)성지가지를 못냈는데 8 ㄱㄴ 2025/03/03 1,265
1686094 저녁 메뉴 뭐 하세요? 15 이제는고딩엄.. 2025/03/03 2,490
1686093 민주당은 왜 목소리를 안내나요 26 ... 2025/03/03 3,953
1686092 서강준이란 배우요 19 언더커버 하.. 2025/03/03 5,581
1686091 왜 웃는거지? 했었네요.gif 3 ㅎㅎㅎ 2025/03/03 2,680
1686090 63 ㅇㅇ 2025/03/03 16,915
1686089 응급실 글보고 저도 연휴 응급실 경험 써봐요. 4 ... 2025/03/03 1,919
1686088 영등포 포레나 센트럴 오피스텔 아시는 분? 3 ... 2025/03/03 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