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담낭절제후 식이장애(특히 기름진 것)

ㅇㅇ 조회수 : 2,017
작성일 : 2024-11-27 21:54:44

담낭 절제한 지 일년 반이 됐는데

아직 좀 기름진 음식을 먹으면

그 날 저녁은 화장질 세번은 기본입니다.

병원에서는 육개월, 길어도 일년이면

기름진 것 섭취도 무난할 거라 했는데

현실은 아직도 수월하지가 않아요

생일이라고 샤브샤브 식당에 갈까 하다가

이것도 소화해 낼 수  있을까 싶고

일상에서도 무슨 음식(특히 단백질 섭취 - 닭가슴살,두부 말고요)을 먹어야 할  지 뚜렷한 식단리스트를

 만들기가 쉽지 않아요

경험 있으신 분들윽 많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 드릴게요.

IP : 106.102.xxx.4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24.11.27 10:01 PM (118.219.xxx.224)

    작년 12월 말에 담낭제거술 했어요
    7개의 담석이 나왔구요
    근데 저는 수술 후 음료에 들어가는 크림을 먹으니
    화장실 직행이였는데
    원래 자주먹는 음료는 아니여서 다행이였어요
    저는 치킨을 수술 후 3주인가 지나서
    먹기 시작해서
    수술후 기름진걸 빨리 먹은거죠^^;;;;
    기름칠을 빨리 해서 그런지
    그렇게 큰탈을 없었어요
    사람마다 다른가봐요

  • 2. @@
    '24.11.27 10:05 PM (14.56.xxx.81)

    저랑 반대시네요
    저는 수술한지 이제 딱 두달인데 설사는 커녕 오히려 예전보다 변비가....
    그랗다고 심각한 변비는 아니구요
    설사는 초기에 두세번?정도 소화가 좀 안되면 바로 다음날 설사를 하더라구요
    저도 설사를 각오하고 있었는데 안해서 요즘은 호기심에 일주일에 한번씩 삼겹살을 먹어봤는데역시 설사없어요 원글님 혹시 우루사는 드시나요? 저는 혹시몰라 기름진 음식먹을때 먹으려고 빋아놨는데 거의 안먹고있어요

  • 3. 음.
    '24.11.27 10:06 PM (115.86.xxx.8)

    저는 한 일년 걸렸어요.
    처음엔 모든걸 다 소화 못시켜서 몇달 빼빼 마른 난민처럼 살았었어요.
    일년 정도 지나니까 거의 원래처럼 됐어요.
    지금은 고기를 많이 먹으면 그 전보다 소화 속도는 좀 느린거 같지만 아예 힘들고 그러진 않아요.
    사람마다 회복속도가 좀 다를순 있을텐데
    병원에 다시 가셔서 진료받아 보세요.
    담낭문제보다 위의 문제일수도 있을거 같아요.
    저는 초기에 화장실 자주가고 그러진 않았어요.

  • 4.
    '24.11.28 12:58 AM (211.205.xxx.145)

    몇년됐는데 아직도 주기적으로 그래요.
    요즘은 주기가 좀길어지긴 했어요.
    전 유지방이 특히 안 받아요.
    빈속에 아침에 우유나 요거트 먹으면 지방변 보구요.
    잘 먹던 식단도 가끔 삐끗하면 길면 한달도 설사해요.
    몸에 젤 거부감 없는 식단은 제사 음식 식단이에요
    수술후 몇달 설사하다가 괜찮아진 것도 제사후 제사 음식 며칠 먹으니 좋아지더라구요.손님도 없고 식구도 없어서 제사지내면 음식이 삼일은 가거든요.
    제사밥 같은 식단 드셔보세요.
    양식이나 햄버거 피자 페스트푸드는 입이 못 참지만 먹고나면 후회해요.치킨도 당연히 별로 안 좋고
    강제 다이어트 되기는 해요.
    참 생선회같은 기름기 없는 생선도 괜찮아요.
    샤브샤브는 살코기로 먹고 기름기 빠져서 괜찮을거에요.
    기름둥둥뜬 꼬리곰탕 진짜 안 좋았어요.
    암튼 살코기 튀기지 않은 생선 나물류로 드셔보세요.
    쇠고기도 기름 많은 갈비살은 안 좋고 다른 부위는 괜찮고.

  • 5. ..
    '24.11.28 7:20 AM (118.235.xxx.177)

    담낭절제 카페 들어가시면 식단 경험 공유받으실 수 있을 거예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5147 책 서문에 작가의 글 읽고 정뚝떨 13 책을 2025/01/28 5,289
1675146 로보락 물걸레말에요 3 질문있습니다.. 2025/01/28 1,985
1675145 결국 혁신은 미국에서 나오던데 4 jgfd 2025/01/28 2,002
1675144 경기 남부인데 눈이 계속 와요 5 ㅇㅇ 2025/01/28 2,601
1675143 동그랑땡에 면보 작은 실조각이 들어갔어요 7 어쩔 2025/01/28 1,792
1675142 20대 남자 여행 크로스백 추천좀 해주세요 2 .. 2025/01/28 996
1675141 윗집에 꼬맹이들이 놀러왔는지 29 아랫집 2025/01/28 3,970
1675140 무당딸과 결혼에 찬성하는 사람들 24 무당 2025/01/28 4,401
1675139 중국의 딥시크 대단하네요 17 하늘 2025/01/28 5,905
1675138 일제 강제동원 피해 승소 이끌어 낸 이춘식 옹 별세...&quo.. 2 ... 2025/01/28 558
1675137 김광규씨 영어 연수 2주 7 눈꽈당조심 2025/01/28 5,217
1675136 Deepseek이 무서운 게-펌 6 AI 패권 2025/01/28 3,892
1675135 아들이 잠수이별 당했어요. 52 ㅜㅜ 2025/01/28 18,741
1675134 대습상속 문의드려요 17 judy 2025/01/28 2,894
1675133 20대 MZ재테크는 생존이라 생각하더군요. 8 요즘 2025/01/28 2,809
1675132 18k귀걸이인데도 알러지가 있으면 방법이 없을까요? 3 ㅇㅇ 2025/01/28 1,201
1675131 8월에 동남아 간다면 어딜 추천하시나요? 6 2025/01/28 1,386
1675130 우리나라는 쇼트트랙을 잘하는 이유가 뭘까요.? 6 ... 2025/01/28 1,898
1675129 시댁공주 친정공주 되는법 26 ㅇㅇ 2025/01/28 6,608
1675128 82쿡의 정보력에 감동한 둘째 3 라면먹자 2025/01/28 3,535
1675127 5억 은행에 넣어두면 15 ..... 2025/01/28 7,002
1675126 딥시크가 무서운거겠죠..? 2025/01/28 1,568
1675125 지금 진도 날씨 행복 2025/01/28 669
1675124 다들 싱크대 걸레받이에 발안닿죠? 5 질문 2025/01/28 1,225
1675123 러바오 좀 보세요 ㅎㅎㅎ 7 dd 2025/01/28 1,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