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엄마집에 오랫동안 있던 나비장 고가구 가져와도 될까요?

미니미 조회수 : 2,897
작성일 : 2024-11-25 13:56:16

친정엄마가 젊을적부터 고가구 모으는게 취미였어서.

여럿 있었는데 몇년전 다 파시고 나비장 3개정도 세트로 있는데요.

얼마전 갑자기 돌아가셔서 집을 정리하게 되었네요.

헌데 나비장 자체가 정교하고 이쁘긴한데.

제가 아주 어릴때부터 있었던 가구예요.

그런데 미신적으로 특히 나무로 된 가구는 가져오면 안 좋다고 다들 이야기해서.

막상 가져올려니 찝찝하네요.

미신을 딱히 믿진 않는데.엄마가 오랫동안 가지고 계셨고 이쁘기도 해서 콘솔로 쓰면 딱 이쁠꺼 같은데.

특히 무당들이 가져오면 안된다고 하더라구요.엄마가 가지고 계신것도 그럴까요?

또 엄마가 갑자기 집안에서 급사하셔서.그것도 안좋은 일이니.찝찝한것도 있어요.

20여년전 아버지가 돌아가시기전 많이 아프셔서 고모가 용하다는 무당을 데리고 왔었는데.

고가구를 보고 함부러 이런거 가져오는거 아니다라며 온갖 잡귀신이 있네.라고 말씀하신게 걸립니다.

외국에선 앤티크가구 비싸고 아무렇치 않던데.

마음이 양가적입니다.

신랑도 정 가져오고 싶으면 성수 뿌려줄테니 가져오라는데 고민입니다.

IP : 118.38.xxx.200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1.25 1:58 PM (220.65.xxx.42)

    남의 꺼가 문제지 엄마껀데 문제없을걸요 가져오세요

  • 2. ..
    '24.11.25 1:59 PM (220.65.xxx.42)

    아 그럼 가져와서 성당에서 성수 가져와서 뿌리고 소금 뿌리고 팥도 뿌리세요

  • 3. ...
    '24.11.25 2:01 PM (121.168.xxx.139)

    엄마 유품이고 맘에 들면 가져오는게. 당연한데..

    님 마음 속에 무당 말때문에 불안이 이미 자리잡고 있군요..살다보면 좋은일만 있는게 아닌데...나쁜일이 조금이라도 생기면..그 가구탓할 기미가 보여요.

    미신따위에 연연하지 않았으면 이런 글도 올리지 않았을텐데...안타깝네요.

  • 4. 에고
    '24.11.25 2:02 PM (211.114.xxx.55) - 삭제된댓글

    남쓰던것도 아니고 엄마 쓰던건데 뭘 어떤가요
    울 조카는 엄마집에 놀러갔다가 엄마 씽크대 찬장을 보더니 엔틱이라고 컵이랑 접시 등을
    가져갔다고 남편이랑 신문에 돌돌 말아 가더니 엄마 쓰는 자개장 돌아가시면 자기가 가져 간다고 했단 말도 하던데 참 별걸 다 믿으시네요

  • 5. 작성자
    '24.11.25 2:02 PM (118.38.xxx.200) - 삭제된댓글

    진정한 엄마꺼면 고민이 없겠는데 고가구니 엄마가 사기전 누군가의 것인게.좀 찝찝하네요.그래도 긍정적인 답변이여서 가져와야겠다싶네요.

  • 6. 작성자
    '24.11.25 2:03 PM (118.38.xxx.200)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맘 가볍게 가져올랍니다.^^

  • 7. ㄱㄴㄷ
    '24.11.25 2:13 PM (120.142.xxx.14)

    전 엄마방에 있던 삼층장 가져와서 제방에 뒀어요. 저도 어려서부터 봐온거라 맘이 편해요.

  • 8. ....
    '24.11.25 2:13 PM (106.247.xxx.105)

    나비장 너무 멋질것 같아요~
    엄마가 쓰시던거니 기분좋게 가져오세요

  • 9. 엄마껀데
    '24.11.25 2:16 PM (180.229.xxx.164)

    갖고오셔도 되지요.
    모르는 사람이 쓰던거 갖고오든게 찝찝한거지
    엄마쓰시던거는 저라면 너무 소중할것 같아요

    방 하나를 한옥집 같은 느낌으로꾸미면 좋을것 같아요!

  • 10. ..
    '24.11.25 2:19 PM (211.208.xxx.199)

    저도 외할머니 결혼할때 혼수로 마련하신 2층장을
    엄마 돌아가시고나면 저희 집에 가져올거에요.
    (이건 엄마랑 얘기 다 된것임)

  • 11. 시어머니
    '24.11.25 2:20 PM (59.7.xxx.113) - 삭제된댓글

    쓰시던거 안방에 두고 쓰고 입으시던 극세사 상의는 지금 입고 있어요

  • 12. 모르는 사람께
    '24.11.25 2:34 PM (175.208.xxx.213)

    무슨 이력인지 모르니 찜찜하지
    엄마 계속 써서 익숙한 가구가 먼 문제예요.
    엄마 유품으로 챙겨도 너무 좋구만요.

    전 나무 재봉틀도 가져왔는데

  • 13.
    '24.11.25 2:44 PM (58.140.xxx.20)

    엄마껀데 당연히 보전해야죠

  • 14. 익숙한
    '24.11.25 2:53 PM (14.4.xxx.191)

    가구가 주는 위안도 있어요
    가져오세요
    어릴때부터 우리꺼 였고 엄마껀데 어때서요

  • 15. 입력
    '24.11.25 3:01 PM (211.245.xxx.245) - 삭제된댓글

    성수 뿌리면 괜찮아요
    가장 신빨 쎈분이 잡귀신 싹 쫓아주심다~

    가져와서 어머니와 기억 오래오래 누리세요
    어머니도 기뻐하실거에요
    아끼던 나비장을 가장 사랑하는 딸이 아끼며 보니까요

  • 16.
    '24.11.25 3:09 PM (121.167.xxx.120)

    무당에게 배운 방법인데 팥을 10알쯤 비닐봉지에 넣어서 장 밑바닥 안보이는곳에 테프로 붙이세요

  • 17. 부러라도 가져옴
    '24.11.25 3:16 PM (118.218.xxx.85)

    내 사랑하는 어머니건데.

  • 18. 가능하면
    '24.11.25 6:05 PM (39.7.xxx.37)

    가져오지 마세요.
    제가 시이모님 혼수 이층장을 가져왔는데
    가정적으로 경제적으로 노년이 힘들어요.
    벌써 20여년 전에 가져왔는데
    얼마 안 있어 힘들어지기 시작했어요.
    장 때문이라고는 당시에 생각도 못했습니다.
    100년 정도 된 장입니다.

    그땐 나무로 된 가구나 형상을 집에 들이는게
    아니라는 것도 몰랐어요.
    시이모님은 결혼 후 얼마 안되어 시가에서
    쫒겨나신듯 하고 젊어서 돌아가셨어요.

    고가구에 관심이 있던 시절이라
    아무 생각없이 가져왔는데
    지금 같았으면 집에 안들였죠.
    어떤 이유로든 불행한 일이 생기면
    그 물건에서 자유롭지 못 할테니까요.

  • 19. 놀라워요
    '24.11.25 6:59 PM (125.130.xxx.18)

    2024년을 살면서 이렇게 미신을 믿는 사람이 많은게
    놀라워요. 이 정도면 남이 살던 나무문이 여럿 달린 집엔 어떻게 살지 싶네요. 본인들의 망상이 문제지 물건이 뭔 죄예요?

  • 20. 엄마도
    '24.11.25 8:51 PM (59.8.xxx.68) - 삭제된댓글

    새거를 산게 아닌거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3644 오늘 시상식 프로들은 안했나요?? 16 ... 2024/12/31 4,118
1663643 최상목 2명 임명한거 똑같이 되돌려 주는법. 20 .. 2024/12/31 6,256
1663642 자신의 눈을 파낸 오이디푸스, 박구용 교수의 성찰 7 성찰 2024/12/31 2,894
1663641 저는 이 가족의 일부분이어서 정말 기뻐요 6 2024년 .. 2024/12/31 4,377
1663640 진짜 오늘이 2024 마지막 날이네요 2 ... 2024/12/31 1,053
1663639 경호원들이 미쳤다고 윤석열을 지킨답니까 10 ㄱㄴㄷ 2024/12/31 4,896
1663638 국내공항 15개. 11개 적자. 10개 더 건설 5 .... 2024/12/31 1,974
1663637 지금 프리퀀시 구걸하는 사람들은 7 111 2024/12/31 2,737
1663636 지미 카터 대통령의 명언 2 참고 2024/12/31 2,720
1663635 10시 화살기도 같이 드려요 5 Sd 2024/12/31 1,950
1663634 "같이 일할 수 없다" 방심위 간부 절대 다수.. 3 2024/12/31 4,019
1663633 일상글-마트 식품배송 도난 당했어요 14 2024/12/31 6,148
1663632 (애도와 탄핵) 힘든 시기 위로가 되는 넷플 영화 1 위로 2024/12/31 2,028
1663631 한은총재 이창용 비상계엄 연루 의혹 17 ........ 2024/12/31 7,174
1663630 급질 죄송) 대한한공 마일리지몰 되나요? 3 2024/12/31 1,379
1663629 국무위원들 다 노답인 이유 1 .... 2024/12/31 1,946
1663628 권한쟁의심판 들어가면 헌재에서 곧바로 1명 임명한다는 뜻이요? 6 //////.. 2024/12/31 2,574
1663627 법적으로 윤석열 다시 돌아오는 시나리오라고 합니다. 4 ... 2024/12/31 3,962
1663626 개신교 스타목사님들은 다 국힘인가요? 14 ... 2024/12/31 2,611
1663625 세계공항에는 활주로에 이마스가 있다 10 .... 2024/12/31 3,115
1663624 지금 카페 4 ㅇㅇ 2024/12/31 3,131
1663623 경호처 500명, '3겹 경호' 관저 요새화 32 ㅇㅇㅇ 2024/12/31 7,812
1663622 역대 헌재 유명한 사건들 판례들 좀 봤는데 1 .... 2024/12/31 1,348
1663621 최상목의 2명 임명받으면 윤석열한테 되치기 당할 거예요 9 되치기 2024/12/31 5,526
1663620 내일 새벽 체포 될 것 같지 않나요? 19 즉각체포 2024/12/31 5,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