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사가는집 방이 작아요

어떻게할지요 조회수 : 2,094
작성일 : 2024-11-24 17:02:58

중간방에   애방인데요

 

작은애 침대와 책상만들어가요

여기서  제가 지금 고민하는건

 

1번 방이 작아도  침대가  일룸 슈퍼싱글인데요

 

창가로놓고  침대발밑으로

 

70센티가 남아요   침대놓고  슬라이딩 옷장놓으면

6센티정도의 공간만남아요.

 

그래도 110싸이즈 옷장있음  애옷 패딩등등

다 걸수있을것같아요

 

 

타이트하지만    깊이60정도의  

가로 110싸이즈 슬라이딩 옷장을 넣는다.

 

 

2번  기존  로이침대의 침대 헤드를버리고

 

기존은 다리있는침대 청소가 용이함

저는 가구살때  청소기 들어가는게 중요하더라구요

다리없고 몸판이면 먼지가 말도 못하게 있더라구요.

 

버리고

 

일룸  수납형 침대를 새로산다  기존침대 산지 2년정도 된것같은데  어쩔수없죠.

 

침대매트리스는기존꺼사용

 

좁은방에 애옷을 조금이라도 더 수납할려면

 

둘중 뭐가 더 현명할까요,

이사가서 최소 4년은 산다고 생각중입니다

 

제집인데

 

제가 들어가서 팔고 나올려구요

신축인데 작아서 인기가없네요.

IP : 118.235.xxx.195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24 5:10 PM (220.117.xxx.26)

    애가 몇살인지 사춘기 가까우면 1번 아니면 수납형

  • 2. 침대
    '24.11.24 5:13 PM (220.78.xxx.213)

    아래 서랍깊은걸로 바꾸세요
    어마무시 들어가더라구요

  • 3. 원글
    '24.11.24 5:13 PM (118.235.xxx.195)

    애는 고1이예요

    큰애는 지금 고3인데

    입구방은 붙박이가 있어서 작아요 세칸 그 방엔
    침대 책장만 넣을계획요

    둘째방에도 옷을 넣을 공간이 필요해서
    지금고민중입니다.

  • 4. .....
    '24.11.24 5:18 PM (175.117.xxx.126)

    가구 방향을 잘 바꿔서 테트리스해도 안 들어가려나요?
    제가 작은 집 여럿 살아본 경험에 의하면
    들어가기만 한다면,
    침대 발치가 문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게 제일 그나마 방을 넓게 쓸 수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문 열자마자 침대 발치고 정면 벽에 침대 헤드가 위치하는 방식이요.
    일단 침대를 그렇게 넣고 나면 ( 침대발치에서 문짝 열린 끝까지는 문짝만 간신히 열릴 정도가 되면 되거든요. 아니면 문이 방 밖으로 열리게끔 문짝만 바꿔주셔도 들어갈 거예요... 대신 문 열 때 조심)
    침대 헤드옆쪽으로 작은 협탁, 그 옆에 작은 책장을 협탁방향을 향하게 돌려세우고 그 책장 딋판에 붙게끔 해서 옷장 넣고요.
    (그러니까 문 연 쪽에서 보면 옷장, 옆으로 돌려세운 책장, 협탁, 침대)
    그 반대방향 벽면, 그러니까 문 있는 쪽에 책상 넣으면 되더라고요...
    가구들이 다닥다닥하게 들어가고
    심지어 책장 하부는 협탁에 가려지지만
    협탁 빼내면 책장 하부에 자주 안 보는 책들 넣을 수 있는 구조.
    더 작으면 책장, 협탁 생략하고 침대, 옷장, 책상만 넣고요.

  • 5. .....
    '24.11.24 5:20 PM (175.117.xxx.126)

    만약에 인테리어를 하신다면
    그 방은 문짝을 좀더 복도쪽으로 나오게끔, 벽이 좀더 길어지게끔 하시면
    문짝 열리는 공간이 기존에는 복도였던 공간이 되면서
    문 열리는 공간까지 침대 발치가 좀더 나와도 되어서
    방을 한결 넓게 쓸 수 있게 되더라고요..
    그것도 고려해보세요...

  • 6. 점다섯개님
    '24.11.24 5:22 PM (118.235.xxx.195)

    작은집 몇평정도 사신거예요?
    저는 곧50인데 사실충격

    제가 살꺼라고는 전혀 생각안하고
    분양받았어요
    전세주고 집값오르면 판다고

    근데 집값도 안오르고 제집 전세놓고 들어가야되요
    25평인데 애방이 2700정도예요

    다 작아요
    진짜 죽겠어요
    괴롭습니다.

  • 7. 저는
    '24.11.24 5:32 PM (61.39.xxx.172) - 삭제된댓글

    안방을 아이줬어요. 어쩔수 없었어요.
    저같으면 사용중인 침대 버리고 수납형으로 살래요.
    은근히 많이 들어가요. 대학생 아이도 수납형 썼어요.

  • 8. 옷을
    '24.11.24 5:53 PM (118.235.xxx.13)

    거실로 빼거나 책상을 거실로 빼면 안되나요? 꽉차있으면 갑갑할것같은데.

  • 9. .....
    '24.11.24 8:10 PM (175.117.xxx.126)

    둘째 아이방이 작아서 2700 × 3300 이네요..
    가로 길이는 좀 나와요..
    그 긴 가로에다가 옷장 1080, 돌려세운 책장 옆면 길이 400, 협탁 가로 500, 침대폭 1200 들어갔어요..
    반대편 방문 있는 쪽에 1400 전면책상장 + 책상 붙였고요.
    책상 의자 집어넣으면 옷장 문짝 열리고 그 앞에 설 수 있어요.
    의외로 아늑하고 공부에 집중 잘 되요.
    대신 저렇게 집어넣기 위해 방문짝을 좀 방 바깥으로 뽑았어요..
    방이 기역자 모양이 된 거죠..
    그 기역자 꼬리 부분에 문짝이 열리는 공간이 생겨서
    방을 최대치로 활용 가능합니다.
    서랍 침대 길이가 2200 이라서, 침대 발치부터 반대쪽 벽까지는 400정도 나오는데 (침대 헤드 쪽에 커튼 공간 100 두니까 400 남더라고요) 침대쪽이 높이가 낮기 때문에.. 그럭저럭 방 드나들 때 막 엄청 힘들거나 하진 않아요..

    만약 2700 아닌 벽면이 3300 보다 작으시면
    저 구조에서 책장, 협탁을 빼시고 옷장, 침대만 넣으시고.. (1080 1200 = 2280)
    책상 가로 폭을 좀 작은 것으로 하시면 될 것 같아요..
    1200이라든가..
    1000 이라든가....

    만약 2700 아닌 벽면이 2700보다 작다면..
    책상을 침대 옆으로 바로 붙이시고 (1200 + 1200 = 2400, 기능하시면 1400폭 책상이 좋긴 합니다. 그러면 의자 1개 놓고 과외 가능, 책상 폭을 확보하기 위해 제 원래 안에서 옷장과 책상 위치를 바꾸는 겁니다..)
    책상 반대편에 옷장을 가능한 사이즈로 놓으시면 될 것 같아요.
    2400 길이 방이라면 1200 침대폭이랑 지나갈 통로 500 빼고 대략 600폭 옷장 들어갈 수 있을 듯요. ㅠ
    이런 상황이면 전면책상장이 유리합니다.. 책수납과 여차하면 의류 수납을 위해..

  • 10. .....
    '24.11.24 8:11 PM (175.117.xxx.126)

    의자 1개 놓고 과외가 아니라 의지 2개 놓고 과외요 ㅠ
    오타네요 ㅠ

  • 11. ...
    '24.11.24 8:30 PM (106.101.xxx.38) - 삭제된댓글

    일단 이사해보시고 일주일이라도 살아보시고 가구 넣어주시는것도 방법일거예요..

    10년전 구축 국평사서 들어갔는데 작은방 하나가 너무 작아서 올 리모델링 하면서 그방에 수납장을 짜넣고보니 딱 침대랑 책상이 정말 간당간당 들어가서...
    침대랑 책상 넣고보니 가뜩이나 좁은 방이 더 좁아보여서 갑갑해보일정도더라구요..

    다행히 아들애가 별로 예민하지않기도했고 고딩때라 아지트처럼 쿡~박혀서 잘 안나오던 시절이라...ㅋㅋ...방 들여다볼때마다 제가 갑갑해서 미치는줄 알았어요...

    침대, 책상 넣고 딱 일주일 지나고 차라리 벙커침대를 넣어줄껄...했었네요..

    https://www.coupang.com/vp/products/7697565638?src=1139000&spec=10799999&addta...

    최근에 제가 우연히 링크타고 들어갔다 본 원룸 인테리어인데 꿀팁이 많더라구요..

    그중 벙커침대인데 수납이 엄청 많이 되는 침대라...

    타지역 원룸하나 얻어서 이사가게 되어 눈여겨 봐둔건데요...한번 봐보세요...

    https://youtu.be/phB50XZ6DSg?feature=shared

  • 12. ...
    '24.11.24 8:34 PM (106.101.xxx.38)

    일단 이사해보시고 일주일이라도 살아보시고 가구 넣어주시는것도 방법일거예요..

    10년전 구축 국평사서 들어갔는데 작은방 하나가 너무 작아서 올 리모델링 하면서 그방에 수납장을 짜넣고보니 딱 침대랑 책상이 정말 간당간당 들어가서...
    침대랑 책상 넣고보니 가뜩이나 좁은 방이 더 좁아보여서 갑갑해보일정도더라구요..

    다행히 아들애가 별로 예민하지않기도했고 고딩때라 아지트처럼 쿡~박혀서 잘 안나오던 시절이라...ㅋㅋ...방 들여다볼때마다 제가 갑갑해서 미치는줄 알았어요...

    침대, 책상 넣고 딱 일주일 지나고 차라리 벙커침대를 넣어줄껄...했었네요..

    https://link.coupang.com/a/bYWwWP


    최근에 제가 우연히 링크타고 들어갔다 본 원룸 인테리어인데 꿀팁이 많더라구요..

    그중 벙커침대인데 수납이 엄청 많이 되는 침대라...

    타지역 원룸하나 얻어서 이사가게 되어 눈여겨 봐둔건데요...한번 봐보세요...

    https://youtu.be/phB50XZ6DSg?feature=shared

  • 13. .....
    '24.11.24 8:55 PM (175.117.xxx.126)

    죄송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벙커침대는 비추요..
    수납은 될 지언정 옷장도 불편하고(허리를 숙이고 기어들어가서 옷 꺼내야하는 구조) 침대도 불편하고 방은 더 좁아보이고 (높이가 높은 대형 가구라 방이 극적으로 좁아보여요) 방이 어두워져요 (넢이가 높은 대형가구가 천정 조명을 가림)
    저는 직장 숙소에서 이층침대 자본 적 있는데
    너무 불편해요..
    밤에 화장실 갈 때 굴러떨어질 것 같아서 신경 써서 내려오다보면 잠이 홀딱 깨서 화장실 다녀와서는 잠이 안 오고요..
    윗층은 여름에 덥고 (따뜻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서) 겨울에 추워요..(바닥난방하는 집인 경우)
    윗층 침대 위에서 앉으면 머리를 천정이 찧는 높이인 경우가 많고요 (천정고가 낮은 집의 경우)
    윗층이 머리 안 찧으면 아래층에서 머리 찧습니다..
    (주택 천정고가 대개 거기서 거기라..)
    윗층이든 아랫층이든 서서 걸어다닐 수가 없고 기어다녀야합니다 ㅠ

    그냥 매트리스만 놓고 자고 책상, 옷장 따로 사는 게 벙커침대보다 훨씬 편해요 ㅠ

  • 14.
    '24.12.12 12:30 PM (219.241.xxx.66)

    저는 신축 34평 살다가 구축 31평으로 이사왔는데요
    방이 너무너무너무 작아서 진짜 테트리스 하느라 고생했어요
    옷장은 슬라이드 형으로 넣어서 침대발치랑 5~10 cm 정도 간격으로 두었구요
    침대, 책상 겨우 넣었는데 책상앞에 의자 놓을 간격이 너무 좁아서 팔걸이 없는
    바퀴의자 놓았어요. (팔걸이 때문에 의자넣기가 힘들정도로 좁음)
    저는 전세집이라 이렇게 겨우겨우 구겨 넣었는데
    자가시면, 저라면 방사이즈에 맞게 제작가구 사용할거 같아요.
    좁은 공간에 맞추어서 침대, 옷장, 책상 짜서 넣는거요.
    좁은공간에는 그나마 제작가구가 답인것 같더라구요.
    그렇게라도 해야 그나마 방처럼 쓸수있을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2854 끔찍한 괴물 윤석열 4 ㄱㄴ 2024/12/06 962
1652853 아이돌봄하는 분들께 질문 좀요~ 2 출근시간 2024/12/06 537
1652852 토요일 여의도 산책 추천하는 김상욱 물리학자 7 2024/12/06 1,962
1652851 윤이 계엄을 국회에 즉각 통고 안한 이유가 7 .. 2024/12/06 2,567
1652850 4일 일했는데 ,돈 받을수 있나요? 4 취업 2024/12/06 918
1652849 뉴공에 법무부 감찰관 나왔네요 4 뉴공 2024/12/06 1,776
1652848 펌)연 3억(세후) 남편과 이혼하고 싶습니다. 20 이혼 2024/12/06 5,254
1652847 김건희를 이후에 10 김건희 2024/12/06 1,715
1652846 왜?보직해임 안하나요?못하나요? 1 ... 2024/12/06 482
1652845 벌써 부정선거 프레임으로 기사 송출 14 이뻐 2024/12/06 2,055
1652844 여러분 국민이면 이거 꼭 보셔야 됩니다!! 4 휴휴 2024/12/06 1,431
1652843 ktx 맨 앞자리 별로인가요? 3 ㅇㅇ 2024/12/06 1,081
1652842 국힘세력 자멸하길 4 이찍도 2024/12/06 470
1652841 밤사이 불안해서 잠을 설쳤어요 10 ㅠㅠ 2024/12/06 1,531
1652840 잘마무리하고 국민의 권한을 넓혀야 4 -- 2024/12/06 365
1652839 그날 새벽‥"대통령 '계엄 상황실'에 있었다".. 5 내란수괴윤석.. 2024/12/06 2,488
1652838 뉴스공장 동접 38만명 8 동접 2024/12/06 1,398
1652837 미국 왈 곱게 하야하고 미국은 오지 마라 알간? 5 ******.. 2024/12/06 2,353
1652836 매번 탄해당할맛한 대통령 배출하는 국힘당 22 이뻐 2024/12/06 1,553
1652835 나, 2찍이다 47 솔직히 2024/12/06 4,121
1652834 (윗글포함)제발 의도가 보이는 비정상 글에 조회 댓글 주지 맙시.. 8 여러분 2024/12/06 479
1652833 유머-윤석열이 김건희랑 커뮤니케이션이 잘못되서 계엄 일어 났다고.. 2 유머임 2024/12/06 1,740
1652832 여론조사 조작 명태균 게이트 폭로되니 쿠테타 일으킨 듯 .. ... 2024/12/06 692
1652831 탄핵 찬성 안하면 국민의힘도 내란 공범 9 579 2024/12/06 990
1652830 내일 집회 참석! 11 내일 2024/12/06 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