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큰돈은 인생에서 몇살때쯤 생기는게 좋을까요?

.. 조회수 : 3,450
작성일 : 2024-11-20 18:22:56

어느정도의 큰돈은 (10억이상) 

인생에서 어느나이대에 생기는게 가장 좋은것 같나요?

돈의 가치를 알고 지킬수 있으면서 또 충분히 누릴수 있는 연령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너무 어릴때 받음 못지킬 가능성이 높고

너무 나이먹었을때 받음 없는 것보단 좋으나 돈이 있어도 체력때문에 여행다니기도 힘들고 귀찮아지고 누릴수 있는것에 한계가 생기고요

 

제가 20년전 20살때 상속분 제 몫으로 10억 이상 받았는데 가까운 친인척들한테 속수무책으로 뺏기고 사기 당하고.. 그땐 사람 의심도 안하고 너무 순진했었어요 

그 결과 마음에 상처가 크고 안좋은 여러사건을 겪으며 사람에게 질려버리게 되고, 지금 40대인데 그닥 여유롭지 않네요 ㅜㅜ

IP : 39.7.xxx.14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
    '24.11.20 6:23 PM (172.226.xxx.43)

    빨리 받아서 집이라도 사놓는게 좋겠죠
    10억 아깝네요 원글님

  • 2. ..
    '24.11.20 6:28 PM (211.234.xxx.67)

    40대가 좋은거 같아요.
    아버지가 40대에 돈을 많이 버셨는데
    자식들 가르치고 싶은대로 다 가르치고
    힘 좋으니 여행도 잘 다니고 정말 좋은 시절이었어요.
    말년에 그 재산 다 흩어져 남은게 없긴했지만
    그 당시 잘 가르쳐 주신 덕분으로
    저희 형제들이 잘 컸어요.

  • 3. 4-50대
    '24.11.20 6:33 PM (118.235.xxx.154)

    아무래도 중년의 나이에 자식들이 있다면
    대부분 학령기 아이들이니 교육비 비중이 크죠.
    그때 큰돈이 생기면 뭔가 여유로울 거 같아요.
    집 문제도 해결되면 더 좋구요.
    막상 애들 중고등되면 교육비 단가가 다르니..
    국장 못 받는 집에선 대학등록금도 부담이 크니.

  • 4. 40대쯤
    '24.11.20 6:36 PM (106.102.xxx.230)

    애들 중고등때 사교육비가 워낙 대단하게 들어 가잖아요
    집도 애들 클때가 학원가 학군지에, 각자 방도 큼직한 큰집이 필요 하고요

  • 5. ...
    '24.11.20 6:36 PM (219.255.xxx.142) - 삭제된댓글

    저도 40대쯤요.
    가장 유용하게 잘 쓸 나이 같아요.

  • 6. ㅇㅇ
    '24.11.20 6:41 PM (58.234.xxx.21)

    20살은 너무 어렸네요
    주위 나쁜 어른들 말에 휘둘리면 지키기 어렵죠
    그래도 30대만 되도 이건 내꺼라는 개념이 강할테고
    주위 사람도 함부로 덤비지 못했을텐데
    어떻게 그렇게 일찍 상속을 받게 되셨는지 안타깝네요
    부모님이 상속 해줄때 단도리 단단하게 시켜줄
    여유가 없으셨나봐요

  • 7. 4050대
    '24.11.20 6:41 PM (76.168.xxx.21)

    이때가 좋다 봅니다.
    50대가 되면 실패하고 다시 일어서기가 힘든 나이라..
    근데 10대나 20대 유산이나 큰돈 받고 거의 많이 날려요.
    아버지 돌아가시고 수십억을 엄마란 사람이 애들 유산까지 도장찍어 날려먹은 경우를 직접 봐서.. 그떄 그 엄마란 사람이 40대였는데 아직도 힘들게 삽니다. 결국 애들은 대학도 돈없어 못가고 생활전선에서 20대 보내야하고요.

  • 8. 영통
    '24.11.20 6:44 PM (104.28.xxx.10)

    65세 이후..
    큰 돈 생겨도 다른 일 벌이지 않을 나이에...

    그 전에는 적당히 벌며 꿈을 키우고 성실히 사는 게
    인생을 돌아볼 때 보람도 있는 듯 해요

    나이 들어보니 그런 거 같아요

  • 9. ..
    '24.11.20 6:45 PM (180.70.xxx.73) - 삭제된댓글

    40대초반이요.
    10대20대에 거액상속받을 상황이 생긴다면 제일먼저 끊어야할 관계가 친척.

  • 10.
    '24.11.20 7:01 PM (49.163.xxx.3)

    지인이 40대 초반에 백억이 생겼어요.
    은퇴하고 여유롭게 공부도 하고 여행도 다니고 잘 삽니다.
    물론 사소하게 떼이기도 했지만 그러고도 그 사람들과 잘 지낼 정도의 금액이었고요.
    그런데 40대에 은퇴하니까 좀 심심해 하긴 했어요.
    한창 일할 나이라 그런가봐요.

  • 11. ...
    '24.11.20 7:49 PM (220.120.xxx.16) - 삭제된댓글

    40대 50대 큰손들어오면 좋죠..

  • 12. 의미없다
    '24.11.20 8:00 PM (121.183.xxx.159)

    지금이요오오

  • 13. ㅇㅇ
    '24.11.20 8:12 PM (49.175.xxx.61)

    50초요. 그때가 노후에 대해 절실하고, 세상돌아가는것도 젤잘아는듯요

  • 14.
    '24.11.20 8:55 PM (123.111.xxx.225)

    50대가 좋은 것 같아요
    40대에 생겨서 알차게 잘 쓰면 인생 재미있고 최고긴 한데 그때는 젊은 혈기에 큰돈을 유지하려면 현명해야하더라구요. 40대에 큰 돈 벌었다가 욕심부려 다 날린 경우를 봤거든요.
    도박이나 나쁜 짓을 한게 아니라 더 잘해보려다가 날린거여서 안타까웠어요.
    좀 더 노련해진 50대에 들어왔다면 잘 지킬 수 있었을텐데

  • 15. 40대 중반
    '24.11.20 10:15 PM (121.168.xxx.246)

    40대 중반에서 50대 초반 큰 돈이 생기면 대부분 사람들이 잘 지킬 수 있을거 같아요.
    어려서는 경험이 적어 떼이거나 사기 당하고 막 쓸 수도 있고.
    적당히 세상도 알고 힘도 있을때 돈도 있다면 좋을거 같아요.

  • 16. 60
    '24.11.20 10:55 PM (59.8.xxx.68) - 삭제된댓글

    그때까진 내가 열심히 내 인생 살고
    60에 보너스 10억 받음 좋지요
    더 이상 열심히 안살아도 되고
    젊어선 치열하게 살아봐야지요
    60부터 내인생입니다

  • 17. ...
    '24.11.21 1:20 AM (1.235.xxx.28)

    저도 지금이요 50대 초반
    이제 그만 돈 걱정하고파요 ㅎ

  • 18. ...
    '24.11.21 8:28 AM (202.20.xxx.210)

    40대 정도면 좋을 듯.
    저는 딱 30대 후반에 증여 받았어요. 우선 심적으로 회사 일에 거리를 두게 되서 좋았고요. 스트레스가 사라지더라구요. 회사 생활 10년 넘고 회사에서 중간 관리자에 좀 일에 치였는데 거리두기 되니 좋았고. 아이 키우면서 몸 힘든데 돈으로 어느 정도 처리가 되니까.. 아이 영유 다 보내고 아이 교육비 맘껏 써서 좋았고. 지금 40되니 이제는 정말 맘이 푸근해서 좋아요. 언제든. 그냥 내가 떠나고 싶은 때에 회사 관두고 그냥 쉬거나 다른 일 할 수 있어서.. (이렇게 되면 회사 그냥 다니게 됩니다. 회사에서 뭐라건 넌 말해라 난 내 할일 해줄께 모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9839 남태령 집회 행진 대단하네요 11 .... 2024/12/22 6,919
1659838 조국은 왜 감옥갔나요?? 19 ㄱㄴ 2024/12/22 3,762
1659837 패딩에서 여우털만 빠져도 훨싸질텐데 10 여우 2024/12/22 2,195
1659836 전농tv보면서 울고 있어요. 진격 중입니다. 진짜 감동!!! 9 대각 2024/12/22 3,131
1659835 트랙터 길 만들어주는 시민들.gif 15 ... 2024/12/22 15,829
1659834 우리가 이겼습니다! 사당역으로 행진합니다! 4 전봉준투쟁단.. 2024/12/22 2,474
1659833 다이어트 할때 언제부터 운동 빡쎄게 하셨어요? 1 ㅇㅇ 2024/12/22 899
1659832 박치욱교수에게 Cia에 신고한다고 협박함. 5 2024/12/22 2,083
1659831 판고데기 살까요 말까요 (펴는 용도 아닌 웨이브 용도) 8 곰손 2024/12/22 1,102
1659830 남태령 장난 아닙니다 43 와우 2024/12/22 19,851
1659829 "그놈이 그놈"이면 돌려가면서라도 찍으세요 11 ㅅㅅ 2024/12/22 1,914
1659828 적당히 먹고 적당히 운동하기 1 2024/12/22 1,257
1659827 정말 남태령 봉쇠해제 된건가요? 시민들의 힘으로 17 ... 2024/12/22 3,693
1659826 비누꽃다발 괜찮은 꽃집 있을까요? 2 비누 2024/12/22 783
1659825 남태령의 젊은이들 덕분에 이제 농민은 외롭지 않다 3 ..... 2024/12/22 2,188
1659824 시동생네 (원글 펑) 34 2024/12/22 7,082
1659823 인터넷 파김치 저렴하고 맛있는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3 비싸네요 2024/12/22 1,013
1659822 16년 박근혜탄핵때 생각나네요 그때도 7 울컥 2024/12/22 2,066
1659821 관저 앞(한강진역) 집회 18시입니다 1 집회 2024/12/22 1,166
1659820 강원랜드 합격은 누구에게 4 나나나나 2024/12/22 1,804
1659819 트랙터 시위의 상징성 18 ........ 2024/12/22 3,921
1659818 김성회 의원 페북 7 좋아요 2024/12/22 2,554
1659817 더쿠와 참여청년들과 참가자 분들께 19 남태령열사들.. 2024/12/22 2,876
1659816 검진 후 대장에 점막하 종양이 있다는데요.. .. 2024/12/22 1,316
1659815 우보농장, 언니네텃밭 1 …. 2024/12/22 1,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