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단식에 관해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고민 조회수 : 610
작성일 : 2024-11-19 13:45:12

정확히는 단식과 당뇨의 관계이구요.

 

전쟁통에 기아에 시달린적이 있는 사람이 이후에 정상적인 식사를 할수 있게 돌아가게되면 굉장히 높은 비율로 당뇨에 걸린다고 하는 의학적 정보처럼 본 다큐가 있었는데요. 혹시 이런것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계실까 해서요.

아래에도 글이 올라왔는데 물론 극단적으로 단식을 통해서 살을 뺐음에도 당뇨가 왔다라는 글을 보니 생각이 나서요. 간헐적 단식과 이미 현대사회는 많고 넘치는 영양으로 몸이 망가지기 시작했음에 자각을 하고 다들 단식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해서요. 좋은 현상이라고도 볼수는 있겠지만 정작 정확한 자신의 몸상태를 모르는 상태에서는 무리하게 단식을 하는게 좋은것은 아니고 운동이 병행되며 근육손실을 최대한 막아야하는 것도 배워왔구요.

 

과체중으로 인한 단식이 요구된다면, 스위치온 같은 다이어트 프로그램처럼 인슐린 저항성등을 바꾸기위해서라도 단식이 요구되는게 맞다면 단식은 분명 몸에 나쁜것 같지는 않은데 너무 조심스러워서요. 집안 식구중 당뇨로 오래 고생한사람이 있는데 지금이라도 자꾸 단식을 하라 하기도 무모해보이구요.

 

아시는 분들 계시면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IP : 172.56.xxx.134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1.19 1:55 PM (223.38.xxx.187) - 삭제된댓글

    과체중으로 인한 단식은 괜찮다고 하지만
    소량으로 3끼 먹는 게 더 낫지 않나요?
    운동 1시간이상 해주고

    간헐적 단식하면 다음식사 때 탄수화물
    민감도가 높아져서 3끼 먹을 때보다 생각외로 혈당 올라요

    단식이 신장과 간에 무리를 주기도 하고

  • 2. ...
    '24.11.19 2:54 PM (211.36.xxx.190)

    부모님이 농촌 출신이신데 식구 많고 어려운 집이라 계란 1알도 맘대로 먹지 못하고 크셨대요.
    전쟁 후 정상적인 식사로 돌아왔대도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이었을 거예요. 그런 영향으로 당뇨 비율이 높지 않았을까 추측해 봅니다.

    섣불리 단식을 강행하는 것은 위험하고 담당의사와 상의 후에 시도해 보셨야 할 것 같아요.
    공복 후에 첫끼가 매우 중요하다고 하니, 식단이나 먹는 순서에 신경을 좀 써 보시면 어떨까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2199 연말정산 결정세액 계산 알려주세요 ㅠㅠ 11 ... 2025/02/20 1,142
1682198 박보영 이미지 미인들이 진짜 프리패스던데요. 26 .... 2025/02/20 5,477
1682197 명태균 "잔칫날 돼지 잡는다, 조기대선 확정시 오세훈·.. 10 응원해 2025/02/20 3,561
1682196 치실하다가 치아파손 보험? 7 치아 2025/02/20 1,695
1682195 중학생 이용한 피싱 사례 있다네요 16 ㅇㅇ 2025/02/20 2,392
1682194 "의원 막아라" 지도 띄웠다…그날밤의 단체방.. 6 sbs 2025/02/20 1,661
1682193 병원 가봐야겠죠? 3 스트레스 눈.. 2025/02/20 1,184
1682192 센스 지렸던 노무현의 자학개그 7 이뻐 2025/02/20 1,765
1682191 손현보 목사 "한국을 아시아 최초 기독교 국가로 만들겠.. 23 얼척없네탈레.. 2025/02/20 2,934
1682190 김상욱은 그냥 당을 잘못 알고 들어간거 아닌가요? 15 ..... 2025/02/20 2,768
1682189 각 지역에 좋은대학과 병원을 만들고 3 ㄱㄴ 2025/02/20 1,562
1682188 윤여정씨가 들었던 보테가 가방이요 8 ㅇㅇ 2025/02/20 3,797
1682187 가스차단 군고구마 어찌하세요 ? 5 dfp30 2025/02/20 1,250
1682186 춘천에 부페식당 괜찮은 곳 있나요? 3 .. 2025/02/20 586
1682185 빈부격차가 점점 더 심해지면 18 …… 2025/02/20 3,811
1682184 자살 암시하는 동료 어떻게 해야 할까요 55 문의 2025/02/20 6,844
1682183 가방 크기 어떤거 선호하세요? 12 동원 2025/02/20 2,112
1682182 부천 옥길신도시 3 ... 2025/02/20 1,158
1682181 초등학교 기초학력 학생지원 5 구인 2025/02/20 1,092
1682180 악하게 사는 것과 인과응보 받는 것은 별개더라고요. 10 지나다 2025/02/20 1,972
1682179 저도 발레 시작했어요~ 운동 되네요 3 초보발레 2025/02/20 2,121
1682178 82쿡 당부의 말씀 리마인드 5 .... 2025/02/20 1,003
1682177 연속혈당기에 대해 여쭙니다. 5 ㅠㅠ 2025/02/20 959
1682176 부부 합쳐 월소득 1000..저축 얼마나 하세요? 9 .. 2025/02/20 3,838
1682175 대학생 아이 턱비대칭 5 고민맘 2025/02/20 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