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식이 뭘까요

00 조회수 : 4,535
작성일 : 2024-11-19 10:30:49

대학집착하는 부모들이 아직도 좀 많이 보여서 궁금하네요.

 

제 주변을 봐도 자산은 대학순이 아니던데.. 왜 그리 집착할까요

 

좋은 대학출신은 아닌데 잘사는 자식 vs 서울대 나왔으나  평생 부모에게 손벌리는 자식. 

 후자의  부모가 평생 주변에 서울대 나왔다고 자랑하는 재미가 있겠죠? 

반면 전자의 경우엔 밥벌이 잘하는 자식이라 당신들 노후자금 나눠줄 일 없으니 걱정없겠고요. 

 

한가지만 선택해야 한다면 어떤쪽 택하시겠어요?

IP : 122.36.xxx.152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긷ㄴㅁㅂㅈ우
    '24.11.19 10:35 AM (121.162.xxx.158)

    당시에는 부모의 훈장이 되어서?
    자식사랑보단 내 체면 세워달란 것 같아요
    정말 자식이 행복한 것에는 관심없지요

  • 2.
    '24.11.19 10:35 AM (114.206.xxx.139) - 삭제된댓글

    그런 양 극단 보다는
    서울대 나와서 앞가림 잘 하는 애들이 더 많고
    학벌 딸리면 취직 결혼 등등 허들이 많은 게 현실이니
    거기 맞춰서 기르고 가르치는 거죠.
    집착이 아니라 기준선에 맞춰 기르는 거고, 하다가 안되면 마는 거예요.

  • 3. 미래를
    '24.11.19 10:36 AM (112.149.xxx.140)

    미래가 어떻게 펼쳐질지 아무도 모르니까요
    일단 안전한 길로 보내고 싶어 하는게
    인지상정 아닐까요?

  • 4. less
    '24.11.19 10:36 AM (182.217.xxx.206)

    일단 좋은대학이라도 나와야.. 취업이든 뭐든.. 내가 선택할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잖아요..

    선택권에 있어서요..`~~

    나중에.. 자식이 본인밥벌이를 잘하든.. 부모한테 효도하든. 그건 나중문제죠..

  • 5. .....
    '24.11.19 10:37 AM (121.157.xxx.171)

    너무 극단적인 비교예요. 대체로 좋은 대학 출신들이 직업도 좋고, 결혼도 비슷하게 잘 하고, 자산도 훨씬 많고, 기회도 많아요. 그러니 그런거죠. 원글님 주변의 극단적인 사례만 보지 마시고, 대학 출신들의 평균 아웃풋을 보면 그래요.

  • 6.
    '24.11.19 10:38 AM (58.225.xxx.208)

    대학에 집착하는 이유는 과정이기 때문이에요.
    자식을 키우는 과정.
    대학이 끝나면 취업이겠죠.
    순간순간 노력하는거죠.
    행복이 성적순 아니라는 말 다 알죠.
    하지만 최선을 다해보는거 아니겠어요?

  • 7. ㅇㅇ
    '24.11.19 10:40 AM (61.78.xxx.69)

    미안하지만 이런 가정 의미없네요..
    대학 집착이라기 보단 유리한 출발선상에 서야 앞으로의 선택의 폭이 넒어지는 건 사실이니까요. 그냥 공부할 머리와, 공부 아닌쪽으로 성공할 머리를 나눠서 생각하고 지원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데, 부모 마음에 그게 잘 안될 뿐..

  • 8. ...
    '24.11.19 10:41 AM (1.235.xxx.154)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준비인데
    언제나 과하거나 부족하거나 그런거 아닐까요

  • 9. 우리
    '24.11.19 10:44 AM (211.206.xxx.191)

    사회가 지나친 경쟁사회니까 그렇죠.
    그런 극단적인 비교는 의미 없네요.
    아무 대학 나와도 먹고 살 거 걱정 없으면
    부모가 왜 자녀 대학에 연연해 할까요?

  • 10. 자식인생
    '24.11.19 10:50 AM (218.48.xxx.143)

    원글님은 무조건 부모에게 자랑이고 기쁨이고 싶은 자식인가요?
    아님 부모님이 원하는 자식은 상관없고, 내가 원하는거 하고픈거 내맘대로 하며 사는 인생을 살고 싶으신가요?
    나를 보면 내 자식의 인생도 보이지 않을까요?
    저는 적어도 내 자식은 부모인 나보다 편하게 살고 더 누리고 하고 싶은거 하며 살았으면 합니다.

  • 11. ...
    '24.11.19 11:05 AM (180.70.xxx.141)

    우리나라 교육이 입시 위주인걸
    모두 아는데도 이런 말씀을 하시는군요
    일단 고등 졸업할 땐
    좋은 대학이 그 아이의 증명서가 되는겁니다
    일단 20세 까지는요
    그러니 전국민 모두들 수능날에 집중하는거구요

    원글님 아이 대입때는 안그러셨어요?
    지금 나이 많이 더 드시니 아니라는게 보이는거잖아요

    고등 학부모는 매달릴 수 밖에 없어요
    그런 시기라서요

  • 12. 아줌마
    '24.11.19 11:18 AM (211.213.xxx.119)

    50이 넘어도 배움에 목마른 분들은 대학도 들어가고 계속 배워요~

  • 13. ㅎㅎ
    '24.11.19 11:26 AM (222.237.xxx.25)

    학벌이 좋으면 타인에게 구구절절 나를 증명할일이 많이 줄죠.

  • 14. ..
    '24.11.19 11:31 AM (112.223.xxx.58)

    좋은 대학출신은 아닌데 잘사는 자식 vs 서울대 나왔으나 평생 부모에게 손벌리는 자식

    누가 미래를 알겠어요? 좋은대학 안나와도 잘산다고 하는 확신만 있다면 대학 경쟁률이 이렇게 쎄지도 않겠지요
    대체로 좋은대학 나오는 사람들이 대체로 좋은 회사 들어가서 잘 사니 서로 좋은 대학 가려고 하는거죠

  • 15. 똑똑한 자식을
    '24.11.19 11:31 AM (49.164.xxx.115)

    보는 즐거움을 모르시는구나.
    크는 동안 똑똑한 자녀가 보여주는 즐거움은 살아가는 원천이에요.
    돈은 나도 벌어요.

  • 16. 하늘에
    '24.11.19 11:34 AM (175.211.xxx.92)

    저는 90년대 학번 서성한 졸업했고
    아이는 22학번 카이 다니는데요.

    저도 나름 재미난 대학생활하고 이런 저런 기회가 많았다고 생각했는데...
    아이가 대학생활하고 그 안에서 누리는 것들을 보면 놀라워요. 시대가 달라진 것도 크겠지만, 학교의 차이도 크다는 걸 느낍니다. 다른 아이들 학교 다니는 얘기도 들으니까요.

  • 17. ㅇㅇ
    '24.11.19 11:46 AM (223.38.xxx.103) - 삭제된댓글

    원글 읽고 생각드는거는 자식은 사랑이 아니라 트로피

  • 18. ㅇㅇ
    '24.11.19 11:47 AM (223.38.xxx.103) - 삭제된댓글

    똑똑한 자식은 10에 하나는 될까. 똑똑하지 못한 자식 둔 대다수의 부모는 삶의 즐거움이 없겠네요?

  • 19.
    '24.11.19 11:51 AM (118.235.xxx.215)

    더울때 더운데서 추울때 추운데서 일할까봐 그래요
    어릴때 큰수술도 해서 몸도안좋아서요
    아플때 병가내고 쉬고 앉아서 적정온도에서 일하라구요
    몸갈아서 월2000벌어도 너무 맘이안좋을거같아요
    서울대연고대보내려고 공부하는게아니라
    몸도약하고 빠릿하지못하니 공부라도하라고시켜요

  • 20. ---
    '24.11.19 11:56 AM (175.199.xxx.125)

    자식걱정은 끝이 없어요....대학 보내보세요 .

    더 큰산는 취직입니다.....그보다 더 큰 산은 결혼...

  • 21. ...
    '24.11.19 12:01 PM (223.38.xxx.42) - 삭제된댓글

    아이들 대학보낸이후 주위를 보며 생각이 바뀌네요.
    입학할때만큼 그리 대단치 않아요.
    대학가서 방황중이라 졸업이 계속 늦어지거나 안 풀리는 아이들도 있고 대학이 무색하게 입학이후 자기길을 잘 찾아가는 아이들도 보여요.
    똑똑한 자식 보는 즐거움도 있지만 자기인생 잘 찾아가서 독립적으로 잘 사는 자식이 최고죠. 인생은 성적순이 아니네요.
    벌써 조금씩 보이니 그아이들 40대이후는 어떨지도 궁금해집니다.

  • 22. 12345
    '24.11.19 12:56 PM (175.118.xxx.70)

    서울 4년제 나와서
    대기업 다니면서 느끼는 건
    정말 학벌은 그때뿐이라는 거에요.
    카이스트 나오면 뭐해요.. 카이스트 나온 일못하는 사람으로 찍히면 더 골아파요.
    처음엔 유리할 수도 있지만 그만큼 끊임없이 증명하지 못하면 더 불리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53531 부르르 떠는 인간들 3 여기여기 2024/12/07 775
1653530 최소한 투표한것은 칭찬해줍시다. 9 ... 2024/12/07 732
1653529 김상욱...다음엔 찬성 찍겠다 20 .... 2024/12/07 6,010
1653528 내란 공범당 내란 2024/12/07 331
1653527 아무나 와라 제발 일단 박수쳐줄게 1 혹시 2024/12/07 509
1653526 김상욱 너무 욕하지 맙시다 20 ㅇㅇ 2024/12/07 3,801
1653525 윤석렬 한남동 관저앞 경찰이 어마어마하네요. 9 아오 2024/12/07 3,085
1653524 반대해도 5명만 더 오면 되는거죠? 9 요거트 2024/12/07 3,221
1653523 집회 참여자 위한 선결제 ‘경찰’이 먹고 있더라 목격담 3 이런ㄱㅅㄲ 2024/12/07 1,572
1653522 여의도역 탄핵 2024/12/07 453
1653521 공개 투표 만들어놓고 자유투표라니 1 웃긴다 2024/12/07 709
1653520 김상욱 저 새로운 ㅂㅅ은 뭐죠? 19 ... 2024/12/07 4,049
1653519 인요한 더이상 광주팔이하지마라 7 ㅋㅋㅋ 2024/12/07 2,080
1653518 [호명릴레이] 강대식 의원 탄핵 찬성하십시오! 3 호명 릴레이.. 2024/12/07 905
1653517 국힘당 감금이면 이 투표 무효아님? 6 ㄷㄹ 2024/12/07 1,385
1653516 국힘당 의원에게 탄핵찬성하라는 문자보내기해요. 6 ... 2024/12/07 989
1653515 탄핵 반대 했대요 2 2024/12/07 1,169
1653514 김상욱 탄핵 반대했음 31 2024/12/07 4,947
1653513 생각하기 싫지만 탄핵 부결되면 어떻게 되나요?ㅠ 5 ㅇㅇ 2024/12/07 2,055
1653512 한명한명 호명 다시 했으면 좋겠어요 6 .. 2024/12/07 654
1653511 국민의 힘 의원님들 Gfjff 2024/12/07 351
1653510 안철수, 김예지도 반대표? 5 그럼 2024/12/07 5,558
1653509 이 분은 세달전 어찌 이리 선경지명을...? 6 ㅇㅇ 2024/12/07 3,945
1653508 지금 누구라도 뛰쳐나오면 스타될텐데 1 ㅎㅎ 2024/12/07 658
1653507 김예지 의원 인터뷰해라 4 ... 2024/12/07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