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학생 고학년, 중학생 자녀 있는 학군지 엄마들 달리시나요?

.. 조회수 : 2,084
작성일 : 2024-11-14 10:33:48

어떻게들 달리시는지 궁금해요~~

 

주말에 만날 사람(가족,친척,친구)다 만나고~

놀 거 다 놀고~ 

그래도 교육시키는데 시간이 안부족하신가요?

 

 

제 친구는 학원 여기저기 보내고..

학년 부회장 됐다고 또 바쁘고..

악기 연주회 한다고 콩쿨 참가한다고 바쁘고..

아주 시간이 없어보이더라구요.

 

IP : 220.94.xxx.236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1.14 10:35 AM (202.20.xxx.210)

    영어학원, 수학 학원 보내면서 과외 선생까지 붙이는 게 이 세계...
    주말에도 안 놀아요.

  • 2. ㅇㅇ
    '24.11.14 10:36 AM (220.94.xxx.236)

    초등 고학년부터 달리는 건가요? 학군지 아닌 엄마는 주말에 애를 팽팽 놀리더라구요.

  • 3. ㅇㅇ
    '24.11.14 10:39 AM (222.108.xxx.29)

    학군지인데 애 공부 안시켜요 ㅋㅋㅋㅋㅋㅋ 나만안시키나보네 ㅜ
    애도 할생각 없고 저도 시킬생각 없고~ 나란히 놉니다

  • 4. ㅇㅇ
    '24.11.14 10:41 AM (220.94.xxx.236)

    윗님은 애가 몇 학년이에요?

  • 5. ......
    '24.11.14 10:41 AM (61.255.xxx.6)

    학군지 아니더라도
    특목자사고 결심하는 순간
    초4부터 주말 없는 삶입니다.
    주말에 보통 영재반들이 달리거든요.
    그런 애들이 의대도 가고 서울대도 가요

  • 6. ㅇㅇ
    '24.11.14 10:42 AM (222.108.xxx.29) - 삭제된댓글

    저 애 초 고학년이요... 5,6학년중 하나
    주중에 동네 상가에 작은 영어학원 수학학원 다니는거 외엔 없어요
    쉬라고 있는게 주말아닌가요....?
    태어나서 한번도 집에와서 책펴본적이 없는앤데 이제와서 주말에도 공부 하라고 하면 경끼할듯요 ㅋㅋㅋ
    전 목동인데 대치엄마들은 이런 엄마 없을수도 있겠네요

  • 7. ㅇㅇ
    '24.11.14 10:43 AM (222.108.xxx.29)

    저 애 초 고학년이요... 5,6학년중 하나
    주중에 동네 상가에 작은 영어학원 수학학원 다니는거 외엔 없어요
    쉬라고 있는게 주말아닌가요....?
    태어나서 한번도 집에와서 책펴본적이 없는앤데 이제와서 주말에도 공부 하라고 하면 경끼할듯요 ㅋㅋㅋ

  • 8.
    '24.11.14 10:43 AM (112.216.xxx.18)

    저는 아니고 이전 직장 동료가 그렇게 달렸어요
    애가 중학교 들어가기 전부터 무지무지 달린데다가 중학교 들어가고는 거의 매일 학원이 2개씩있고 그 와중에 하루 학원이 하나인데 그걸 결국 못 보고 또 학원 하나를 더 넣더란.
    근데 그 엄마는 미국에서 애를 낳고 들어와서 얘를 미국 보낼 수도 있다면서 선행에 미국 수업까지 한 거였긴 해요.

  • 9. ㅇㅇ
    '24.11.14 10:46 AM (220.94.xxx.236)

    아... 의대, 서울대 목표로 하는 엄마들이 주말에도 그렇게들 달리는 거군요... ㄷㄷㄷ

    음님. 직장동료분은 아이 대학교 어디 보냈나요? 궁금하네요~

  • 10. ㅡㅡㅡ
    '24.11.14 10:47 AM (58.148.xxx.3) - 삭제된댓글

    달리기 언제하냐는줄

  • 11. ㅇㅇ
    '24.11.14 10:56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중학생 엄마입니다. 저희 아이는 주말에 특별한 행사 있거나 몇 달에 한번 여행 제외하고 학원(학습, 예체능) 다니고 개인 공부합니다. 어려서부터의 루틴이라 아이들이 잘 따르고 쉬는 시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에 스트레스 없이 지내고 있어요. 대신 특이하게 저희집은 평일에 학원 수업이 없어요. (다니던 학원의 경우 목표치 완료하면 그만두기 때문에) 평일에는 자기주도학습과 학교생활 충실이 목표이고 저는 공부 시간만 관리해줘요. 주요 과목 선행 및 특기로 키우는 예체능 모두 무난하게 잘 하고 있답니다. 학군지 아이들이 바쁘다고 해서 모두 행복도가 떨어지는 건 아니에요. 오히려 시간관리가 엉망이 되고 게임이나 유튜브에 빠진 경우 작은 학습 추가에도 민감도,예민도가 올라가는 듯해요. 어릴 때부터 시간 관리하는 훈련이 되어 열심히 지내면 습관처럼 공부하더군요.

  • 12. ㅇㅇ
    '24.11.14 10:58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저희 아이는 목표가 의대, 서울대이고(예체능도 잘 하고 싶어해서 유지중) 일요일 공부 시간이 최대 12~13시간도 나와요.

  • 13. ㅇㅇ
    '24.11.14 11:00 AM (220.94.xxx.236) - 삭제된댓글

    목표가 의대, 서울대인 맘님은 아이가 몇학년인가요? 대단하네요~~

  • 14. ㅇㅇ
    '24.11.14 11:01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중1입니다. ^^

  • 15. ㅇㅇ
    '24.11.14 11:01 AM (220.94.xxx.236)

    아 중학생 아이군요~!! 대단하네요~ 어려서부터 루틴이라면 몇살부터 그 루틴을 유지해오신 건가요?

  • 16. ㅇㅇ
    '24.11.14 11:04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5세 영어 공부부터 시작해서 서서히 공부 시간을 늘려 왔기 때문에 현재는 평일 새벽 공부 1~2시간, 오후 공부 시간까지 완벽하게 체화된 상태입니다. 일주일에 하루는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울 수 있게 인정해주고 쉬는 시간도 철저하게 확보해줘요. 대신에 매우!! 규칙적으로 지내서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 17. ㅇㅇ
    '24.11.14 11:09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저희는 학원 수로 보면 달리는 게 아닐 수도 있지만 자기주도학습 시간으로는 압도적으로 달리는 거라 봅니다. ^^

  • 18. ㅋㅋ
    '24.11.14 11:39 AM (211.234.xxx.56)

    대학 보내고 얘기하자

  • 19. ㅇㅇ
    '24.11.14 11:40 AM (119.66.xxx.120)

    이제 실컷 놀리다가 초고 되는데 엄마부터 우왕좌왕하고 있어요.

  • 20. ㅇㅇ
    '24.11.14 11:59 A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대학 보내고 얘기하자는 분!
    저는 수능 잘 봐서 스카이 간 케이스인데 요즘 입시는 일회성 대박이 힘든 체계라 잘 하던 애들이 계속 잘 합니다. (일부 사춘기 강하게 온 경우 제외) 고등에 정신차려서 역전하기 불가능한 구조예요.
    제 주위에 초등 때 신나게 놀게 한 케이스들 보면 많이 후회한답니다.

  • 21. ...
    '24.11.14 11:59 AM (152.99.xxx.167)

    아이 역량부터 파악하세요
    저도 대치동에서 아이키웠는데 유치원부터 온갖 사교육 다한 아이, 집에서 인강한 아니, 놀다가 나중에 정시공부만 한 아이 참 다양합니다.
    입시결과로만 보자면..그냥 아이 역량대로 가요
    그걸 일찍 파악하느냐 못하느냐는 엄마의 역량

  • 22. 엄마아자
    '24.11.14 12:02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대학 보내고 얘기하자는 분!
    저는 수능 잘 봐서 스카이 간 케이스인데 요즘 입시는 일회성 대박이 힘든 체계라 잘 하던 애들이 계속 잘 합니다. (일부 사춘기 강하게 온 경우 제외) 고등에 정신차려서 역전하기 불가능한 구조예요.
    제 주위에 초등 때 신나게 놀게 한 케이스들 보면 많이 후회한답니다.
    이제 시작될 고교학점제의 기형적 구조를 보면 선행없이 얼마나 힘들지
    (학기 중에 수능 공부할 시간 거의 없으나 수능 최저는 늘어나고 과목은 심화까지 들어야 생기부 차별화 가능함, 정시에도 내신들어감) 눈에 보이는데 장기적으로 준비하는 게 합리적인 선택이지요.

  • 23. 대학보내고
    '24.11.14 2:49 PM (211.234.xxx.56)

    이야기하자..


    몇년후애 꼭 서울대 혹은 의대보냈다고
    결과 올려주길 기대합니다.

  • 24. 211님
    '24.11.14 3:46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그럴게요 ^^ 후후
    님도 다른집 아이에게 두고보자 하는 마음은 좀 버리세요.

  • 25. 211님
    '24.11.14 3:47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그럴게요 ^^ 후후
    님도 다른집 아이에게 두고보자 하는 마음은 좀 버리세요.
    인생도 짧은데 덕담하고 살아야지요. ^^

  • 26. 211님
    '24.11.14 3:50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지금 잘한다고 잘난체 하는 게 아니라 열심히 하자는 것도 비꼬시면
    좋은선배맘이 될 수 없어요.
    열심히 하라고 응원하고 현상황을 날카롭게 분석해주며 조언해주는 게 진정한 선매맘이 아닐까 합니다.
    서울대 의대 못가면 인생 끝장나는 것도 아닌데 뭘요 ㅋㅋㅋ

  • 27. 211님
    '24.11.14 3:52 PM (220.74.xxx.189) - 삭제된댓글

    후배맘들은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결과에만 집착하시는 접근은 아니되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0161 남원시 및 지리산 실상사 가는 방법 6 마고딸 2024/12/24 813
1660160 추합 질문있는데요 5 ㅜㅜㅜ 2024/12/24 925
1660159 말린 생강차 마시는데 식욕이 떨어집니다. 4 뜻밖의 효능.. 2024/12/24 2,096
1660158 압구정 과학학원 중 소수 정예 혹은 1:1 현대고 과학 전문 소.. 2 ... 2024/12/24 881
1660157 美 타임스퀘어에 ‘서울은 안전’ 광고 띄운다 31 ㅇㅇ 2024/12/24 2,238
1660156 전복껍데기 4 정숙한 2024/12/24 990
1660155 이재명 싫어합니다 42 저는 2024/12/24 2,331
1660154 복귀안한 내란군인 복귀 촉구 6 시급 2024/12/24 1,465
1660153 CIA신고 수신거부 기사도 떴네요, 창피한 인간들 11 아야어여오요.. 2024/12/24 1,907
1660152 선거운동도 달라질것같아요 7 앞으로 2024/12/24 1,455
1660151 나이드니 사람들 이기심이 11 asdge 2024/12/24 3,311
1660150 딸들 유치원가면 다 이럼? 8 지나가다가 2024/12/24 2,307
1660149 포토] '수취 거절' 대통령 관저 앞에서 우편물 들고 있는 우체.. 10 에휴 2024/12/24 4,034
1660148 겉머리 상하는거 타고 올라가나요 4 머리상함 2024/12/24 1,137
1660147 상지대 vs 가톨릭 관동대 3 추합 2024/12/24 1,128
1660146 윤상현, 명태균에 ‘외교장관 청탁’ 의혹…김건희 만난다니 “니만.. 10 ... 2024/12/24 2,591
1660145 튀어나온 점 제거요 1 ... 2024/12/24 1,230
1660144 일상글)비염있는 경우 커튼보다는 블라인드(롤스크린) 하는게 나을.. 4 ㅇㅇ 2024/12/24 1,083
1660143 썰전을 특집으로 다시 한다고 그래요 11 ㅁㅁ 2024/12/24 2,255
1660142 남태령 시위 아니라 난동... 트랙터에 붙은 구호, 종북인가 16 그 놈의 종.. 2024/12/24 2,181
1660141 “김용현, 나라 위한 결단했다”…위문편지 보내는 육사 동기들 22 .... 2024/12/24 4,174
1660140 카레에 두유넣어도 되나요? 3 ... 2024/12/24 927
1660139 2pm 준호는 공익 성실히 했네요 12 .. 2024/12/24 3,164
1660138 남태령 대첩 날 저체온증 환자 사연.JPG 5 글과그림 2024/12/24 2,648
1660137 헌법재판관 청문회에서의 박지원과 정계선 후보자 8 정치9단 2024/12/24 1,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