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술 전공자들께 여쭙니다

bb 조회수 : 1,795
작성일 : 2024-11-14 09:34:19

제가 어릴 때 그림을 좋아했는데 배우질 못했어요. 

제대로 배운 적 없는데 혼자서 집에서 잡지 보고

인물 따라 그리는 취미가 있었고 

대학 교양 수업으로 미술 관련 수업 들으면 A+ 나오고

그랬는데 문제는 제가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서 

체계적인 미술 지도법을 하나도 몰라요. 

 

아이가 어릴 때부터 그림 좋아해서

미술관 많이 데리고 다니고

집에서 그림 놀이 많이 시켜줬는데

대부분 잘 그리는 것과는 거리가 먼 창의 미술 놀이요. 

 

그러다가 초등 되고 혼자 열심히 그리더니 

교육청 미술 수업을 1년 들었는데 너무 재밌다 하고

선생님도 재능이 있어 보인다 하시네요. 

 

초등학교 고학년 올라가는 아이에게 어떤 미술 교육이

좋은가요? 

정형화된 고입 미술 같는 드로잉을 배워야 하는지

저학년들 주로 다니는 창의 미술을 먼저 보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일단 아이가 더 배우고 싶어 하는 부분은 세심한 스킬인 것 같기는 해요. 

IP : 121.153.xxx.193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ㄹㅇ
    '24.11.14 9:35 AM (1.239.xxx.246) - 삭제된댓글

    전공할거냐
    취미냐에 따라
    답이 너무 달라지죠.

    전공할거면 정형화된 입시미술 해야하고
    취미로 할거면 입시스타일이건 창의미술이건 내 애가 하고 싶은걸로요

  • 2. 현대미술은
    '24.11.14 9:37 AM (211.186.xxx.7)

    공부입니다. 공부 쭉하다가 미술 전공 하고 싶으면..
    중고등때 그때가서 입시미술 배우면 되요.

  • 3. ...
    '24.11.14 9:41 AM (219.255.xxx.142) - 삭제된댓글

    예비중 아이인데 아예 취미용 과정이 아니라면 창의미술 과정이 있을까요? ㅎ
    근처 큰 미술학원 몇군데 상담 받아보시면 대충 어떻게 되는지 감이 올거에요.
    제 지인이 미술 하고 싶었는데 부모님이 반대하셔서 못한 케이스에요. 그 자녀가 미술학원도 안보냈는데 혼자 습작처럼 열심히 그리더니 미술 전공 하고 싶다고 해서 중학교 때부터 미술 시작 예고 미대 진학했어요.

  • 4. bb
    '24.11.14 9:41 AM (121.153.xxx.193)

    네 저도 그래서 여태 미술학원에 보내지 않은 이유가
    철학과 사유가 없이 기계적인 그림은 아무 쓸모가 없다
    생각했거든요.

    아이가 책 좋아하고 감수성도 풍부해서
    미술 연극 여행 책으로 내면을 깊이 채워야
    밖으로 쏟아낼 것이 많아진다고 생각했어요.

    중고등 전까진 그냥 지금처럼 예술교육원 수업 정도로
    접하게 하고 미술 학원은 다니지 않아도 될까요?

  • 5. ~~
    '24.11.14 9:41 AM (218.53.xxx.117) - 삭제된댓글

    전공할거면 정형화된 입시미술 해야하고
    취미로 할거면 입시스타일이건 창의미술이건 내 애가 하고 싶은걸로요22222

    전공아니면 즐겁게 해야하는데 학원가서 명암단계 반사광 원근 등등 이론과 실기의 갭이 느껴지고 흥미 뚝떨 일수있어요.
    오히려 손에 브레이크 걸릴수도.
    저는 전공자 석사입니다.오래그렸지만 학원 학교가 그닥 제 재능에 날개를 달아준건 아니라서요.

  • 6. ....
    '24.11.14 9:43 AM (58.224.xxx.94)

    초등학교때부터 입시 미술을 왜해요.
    같은 또래 아이들 그리는것들도 보고
    협동작업도 해보고 하면서 경험치도 높이고 해야죠.
    그게 얼마나 중요한데요.
    211.186님 말씀처럼 지금은 공부해야죠.
    단, 학원 선택에 신중을 기하셔야해요.
    그냥 동네 고만고만한 맨날 따라그리기나 가르치는
    그런 학원은 안됩니다.

  • 7. bb
    '24.11.14 9:43 AM (121.153.xxx.193)

    아 지금 고학년 예비중이 아니라
    내년에 고학년이 되는 아니예요. 중등 입학은 3년 후

    윗님 말씀대로 될 아이는 그냥 둬도 혼자서 그리도 터득하는군요

  • 8. 오히려
    '24.11.14 9:51 AM (211.234.xxx.74) - 삭제된댓글

    독이 된다고 해요
    대한민국 입시미술은 창의성을 오히려 막는 결과라
    교수들도 고개를 절래절래 ㅠ
    이제는 잘그리는게 미술이 아니라
    독창적이어야 해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잘그린다는 아이들이
    외국에서 오히려 고생합니다

  • 9. bb
    '24.11.14 9:52 AM (121.153.xxx.193)

    아 따라그리기나 가르치는 학원이 아님
    어떤 식의 학원이 좋은 건가요.

    가르쳐주셔서 감사해요.

  • 10. ㅇㅇ
    '24.11.14 10:11 AM (223.62.xxx.49)

    잘찾아보면 입시아닌데 좋은 화실같은 미술학원이 있어요 저라면 그런데 보낼듯요

  • 11.
    '24.11.14 10:14 AM (125.189.xxx.41)

    목적이 뭔가요..
    그리는게 취미면 배우지않고 창의껏
    혼자 놀듯이 취미생활 해나가면 되고요.
    일찍한다고 더 잘해지고 그렇지는 않아요.
    즉,쌓여서 더 잘하고 그런거 아니고요.
    미대를 갈거면 나중에해도 됩니다.
    소질있음 금방해내요..
    오히려 너무 일찍 시작하면 부작용도있고
    시간뺏겨 공부 등 다른걸 놓치죠..

  • 12. bb
    '24.11.14 12:39 PM (121.153.xxx.193)

    다들 말씀 감사해요.

    전공 입시 이런 걸 목적으로 두진 않구요.

    다만 아이가 좀더 잘 그리고 싶다고 스스로 배우겠다 하니
    이 나이엔 어떤 걸 중점으로 하는 곳이 좋을까 궁금했어요.

    화실 찾아볼게요

  • 13. 먼저 키워 본 사람
    '24.11.14 12:58 PM (39.7.xxx.113)

    미술 전공했습니다만
    그렇다고 뭘 더 잘 알지는 못해요.
    그러나 제가 원글이라면 저 아이를 위해 무엇을 해주는게 좋을까 생각해봤어요.
    우선 사물을 정확하게 관찰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겠어요.
    잘 보고 잘 그리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그리고 좋은 드로잉북과 다양한 펜이나 연필 아니면 그릴 수있는 도구 무엇이든지 사주고 뭐든 그리게 하겠습니다.
    다른 사람의 드로잉 스킬을 배우는게 중요한지는 잘 모르겠어요.
    그러나 자기가 좋아하는 작품을 보고 따라해보는거는 괜찮을거예요. 그러면서 자기가 원하는 화법도 찾아갈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여행을 갔을때 도시의 낮이나 밤, 뮤지엄이나 갤러리도 많이 데리고 다녀 많은 것을 보여주겠어요.
    많이 봐야 보는 눈도 키우고 자기 생각도 확장되니까요.
    그리고 무엇보다 책을 읽고 읽고나서 쓰고 이야기를 만들 수 있는 힘을 키우는 연습을 하도록 하겠어요.
    잘 그리는것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그리는지가 중요하니까요.
    미술학원은 가는게 좋은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어요.
    그러나 길게 봤을때 저런 습관이 도움이 될수있을거라 생각되서 써 봅니다

  • 14. bb
    '24.11.14 2:07 PM (121.153.xxx.193)

    먼저 키워 본.. 님 댓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마치 저희 아이 성향을 알고 계신 듯 좋은 조언 해주셨어요.
    아이가 관찰과 책을 좋아하고 글 쓰는 것도 좋아해요.
    동시 써서 상도 받았고
    글을 더 쓰고 싶다 하여 글쓰기 창작 수업을
    듣게 해주는데 그 시간을 정말 좋아하더라구요.


    그래서 그림을 좋아하고 잘 그리고 싶다고 하니
    제가 어떤 길을 터주어야 한다는 생각에 학원부터 생각했는데
    님 말씀처럼 지금은 자신만의 시선으로 관찰하고
    그려보는 게 우선이겠네요.

    안 그래도 여행과 미술관, 자연을 좋아하는 아이입니다.
    조언대로 키워보도록 할게요.

    제가 원했지만 못 가본 길이라
    아이가 그 길을 갈지 아닐지 본인의 선택이지만
    살짝 설레네요.

    감사합니다.

  • 15. ...
    '24.11.14 3:45 PM (118.235.xxx.196) - 삭제된댓글

    어후 저는 미술전공자 엄마인데 댓글만 봐도 좋아서 떨리네요 ㅎㅎㅎ 딱 제가 받고 싶은 교육(뮤지엄 투어, 지방 미술관..) 제 귀여운 어린딸은 저런곳 데려가면 유행템. 기프트샵. 솜사탕같은 달다구리들만 좋다네요 TTT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1044 김건희고모가 유튜버 돈으로 관리 4 ㄱㄴ 2024/12/26 2,138
1661043 이승환 팬카페 가입했어요 7 92 2024/12/26 1,356
1661042 냉동꽃게 요즘것도 상태가 괜찮을까요 5 지혜 2024/12/26 821
1661041 당근마켓에 코렐들... 3 ₩&.. 2024/12/26 2,599
1661040 이재명 “일본에 깊은 애정” 42 ... 2024/12/26 5,087
1661039 근데 왜 통치라는 단어를 쓴거에요? 8 ㅆㄹㄱ 2024/12/26 1,125
1661038 김용현 응원 화환은 김명신 고모가 보낸 화환 같으니 2 영통 2024/12/26 2,177
1661037 소형냉장고 성에 4 ㅣㅣ 2024/12/26 866
1661036 체력 많이 후달려요 ㅠㅠ pt? 필라테스? 9 ... 2024/12/26 2,028
1661035 너도 한번 법의 심판 받자 1 비겁한 자 2024/12/26 870
1661034 검색어- 한덕수는 재판관 임명하라 1 한독소조항 2024/12/26 1,072
1661033 유난히 싱겁게 먹어요.^^ 13 유난히 2024/12/26 2,568
1661032 [뉴스타파] 검찰 특활비⋅특경비 587억 전액 삭감 10 ㅇㅇㅇ 2024/12/26 2,529
1661031 김용현 응원 화환 200개, 특히 육사 동문들의... 20 그해겨울 2024/12/26 3,753
1661030 김용현 변호인단의 정체래요. 5 .. 2024/12/26 4,998
1661029 신세계, 중국 알리바바와 손잡는다… 지마켓·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 17 ... 2024/12/26 2,851
1661028 법무부, 김용현 변호 법인에 인가 취소 통보...변호사 3명 요.. 9 ㅅㅅ 2024/12/26 3,149
1661027 전 베트남 음식이 잘맞는거 같아요 19 ㅇㅇ 2024/12/26 3,457
1661026 친위 쿠데타가 진짜 무서운 거네요 20 .. 2024/12/26 3,795
1661025 나이가 들수록 자기 얼굴의 책임지라는 말 10 2024/12/26 3,542
1661024 조선과 국짐친일 기득귄은 또 이재명 죽이기 시작할겁니다.. 4 미리내77 2024/12/26 671
1661023 남자 승무원 궁금합니다. 24 승무원 2024/12/26 3,409
1661022 봉지욱 기자 페북)현재 대한민국 권력순위 6 개판이네요 2024/12/26 3,570
1661021 미국 주식 추천해주세요. 8 내란수괴퇴치.. 2024/12/26 2,214
1661020 김용현 "계엄,한덕수에 사전보고"..총리실&q.. 8 ... 2024/12/26 2,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