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젓이 형체 거의 없이 몇 년 삭은 것과 형체 그대로 있는 생젓...

멸치젓 조회수 : 1,415
작성일 : 2024-11-11 17:40:17

멸치젓이 멸치의 형체도 없이 다 풀어진 채로 몇 년 삭은 것 과

멸치 형체가 그대로 있으면서 국물도 있는 멸치젓의 차이점이 무엇 일까요?

둘다 모두 끓이지 않은 멸치젓인데,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맑은 멸치액젓과 함께 넣으려고 하는데

김장에는  둘중에 어떤 멸치젓을 넣어야 맛있을까요?

위에 두가지 모두 김장에 넣었을때 비린맛이 없는 건가요?

김장 망칠까봐 확실하게 알아 보려고 합니다.

 

멸치젓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211.203.xxx.24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11 6:05 PM (106.101.xxx.165)

    젓갈냄새 나고 양념이 진한 남도쪽 김치 좋아하시면 진젓 넣으시구요 섞어서 넣으면 괜찮을꺼에요
    생선이 덜 삭은건 담근지 오래되지 않은 젓갈인데
    이걸로는 담궈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푹 삭은걸로만 해봐서요

  • 2. ,,,,,
    '24.11.11 6:21 PM (14.42.xxx.186)

    덜 삭으면 비린 맛이 나지 싶어요.그건 건지 뼈추리고
    양념에 묻혀 먹음 맛있어요.김장은 잘 삭은걸로 하는게 낫지 싶네요.
    아니면 푹달여서 걸러서 먹던가 하는게,,,,

  • 3. ...
    '24.11.11 6:49 PM (220.75.xxx.108)

    건더기 있는 건 건져서 무쳐먹는 게 나을거에요. 아직
    덜 삭은 거 같은데...

  • 4. 잘 모르지만 ..
    '24.11.11 7:50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결론은 김장에 쓰는건 형체없이 잘 삭은 거라는 말이지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5. ^^
    '24.11.11 7:52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6.
    '24.11.12 1:54 AM (116.37.xxx.236)

    창호지에 받쳐서 액젓만 걸러 쓰면 고급스러운 깔끔하고 달큰 고소한 맛이에요. 끓이지말고 걸르기만요. 전천후 액젓이에요. 나물도 무치고 국도 끓이고…
    혹시 진젓을 쓰면 쿰쿰해서…폭 익으면 맛은 좋아지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3139 연락끊긴 친구찾기.. 8 ,,, 2025/06/08 2,717
1723138 아 진짜 뭐하냐 너네 ... 4 풋풋 2025/06/08 2,104
1723137 크림색 소파 때 많이 탈ㄲ요? 2 소파 2025/06/08 1,150
1723136 조국혁신당, 이해민, SKT 해킹 사건을 계속해서 추적하는 입법.. 7 ../.. 2025/06/08 1,266
1723135 마늘을 오래 갈면 쓴맛 난다네요 2 2025/06/08 952
1723134 카드 취소 관련 아시는 분 계실까요. 3 .. 2025/06/08 819
1723133 이재명 대통령 G7 주인공 될듯 54 o o 2025/06/08 8,483
1723132 돈은 풀면서 세금으로 집값 잡지 않겠다 하니 5 ... 2025/06/08 1,725
1723131 남의 집에 와서 이러쿵저러쿵 4 .. 2025/06/08 2,210
1723130 김건희가 관저에 설치한 광주비엔날레 작품 2 ooo 2025/06/08 4,912
1723129 옷을 기워입을줄이야 9 .. 2025/06/08 3,157
1723128 자녀 유학보내신 분 조언구합니다 18 하루 2025/06/08 3,355
1723127 어반스케치 1년정도 배우다보니 10 . . . 2025/06/08 3,183
1723126 경동맥초음파 해보신분~ 8 궁금 2025/06/08 2,526
1723125 결막낭종 치료? 5 걱정 2025/06/08 844
1723124 타이거 이뮨 nanyou.. 2025/06/08 345
1723123 극심한 복통 식은땀 화장실 세번... ㅜ 6 응급조치 2025/06/08 2,527
1723122 제미나이 음성 비활성화 못하나요? 3 ... 2025/06/08 777
1723121 귀궁 여주요 8 누구 2025/06/08 2,350
1723120 이준석 득표수보다 더 많은 제명청구 희망합니다. 5 ㅇㅇ 2025/06/08 1,636
1723119 50대 메리제인 스타일 운동화 신어도 될까요? 14 ... 2025/06/08 4,301
1723118 이준석 의원제명에 동의 한 이유 7 봄날처럼 2025/06/08 1,681
1723117 리박 스쿨에 이어 군 댓글 공작 수사 7 영통 2025/06/08 1,793
1723116 헉 전율돋는 이재명 연설이 있었네요! 8 대박 2025/06/08 2,624
1723115 물류센터 로봇 보세요 15 ㅇㅇ 2025/06/08 3,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