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젓이 형체 거의 없이 몇 년 삭은 것과 형체 그대로 있는 생젓...

멸치젓 조회수 : 1,329
작성일 : 2024-11-11 17:40:17

멸치젓이 멸치의 형체도 없이 다 풀어진 채로 몇 년 삭은 것 과

멸치 형체가 그대로 있으면서 국물도 있는 멸치젓의 차이점이 무엇 일까요?

둘다 모두 끓이지 않은 멸치젓인데,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맑은 멸치액젓과 함께 넣으려고 하는데

김장에는  둘중에 어떤 멸치젓을 넣어야 맛있을까요?

위에 두가지 모두 김장에 넣었을때 비린맛이 없는 건가요?

김장 망칠까봐 확실하게 알아 보려고 합니다.

 

멸치젓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211.203.xxx.24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11 6:05 PM (106.101.xxx.165)

    젓갈냄새 나고 양념이 진한 남도쪽 김치 좋아하시면 진젓 넣으시구요 섞어서 넣으면 괜찮을꺼에요
    생선이 덜 삭은건 담근지 오래되지 않은 젓갈인데
    이걸로는 담궈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푹 삭은걸로만 해봐서요

  • 2. ,,,,,
    '24.11.11 6:21 PM (14.42.xxx.186)

    덜 삭으면 비린 맛이 나지 싶어요.그건 건지 뼈추리고
    양념에 묻혀 먹음 맛있어요.김장은 잘 삭은걸로 하는게 낫지 싶네요.
    아니면 푹달여서 걸러서 먹던가 하는게,,,,

  • 3. ...
    '24.11.11 6:49 PM (220.75.xxx.108)

    건더기 있는 건 건져서 무쳐먹는 게 나을거에요. 아직
    덜 삭은 거 같은데...

  • 4. 잘 모르지만 ..
    '24.11.11 7:50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결론은 김장에 쓰는건 형체없이 잘 삭은 거라는 말이지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5. ^^
    '24.11.11 7:52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6.
    '24.11.12 1:54 AM (116.37.xxx.236)

    창호지에 받쳐서 액젓만 걸러 쓰면 고급스러운 깔끔하고 달큰 고소한 맛이에요. 끓이지말고 걸르기만요. 전천후 액젓이에요. 나물도 무치고 국도 끓이고…
    혹시 진젓을 쓰면 쿰쿰해서…폭 익으면 맛은 좋아지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1198 전 MBC 기상캐스터 박은지 SNS.jpg 35 ... 2025/02/01 22,929
1681197 이때다싶어 mbc 흔들려는 세력이 있네요 28 ..... 2025/02/01 1,705
1681196 채권추심업체 통해서 돈 받아보신분? 3 2025/02/01 651
1681195 ‘법의 힘’을 믿는다 ㅅㅅ 2025/02/01 273
1681194 김경수가 뭐라고... 웃김 37 근데 2025/02/01 2,555
1681193 저도 금 얘기 3 금금 2025/02/01 1,735
1681192 오늘점심은 5 ... 2025/02/01 1,071
1681191 저두 금 얘기. 금값이 계속 오르네요 6 .... 2025/02/01 3,539
1681190 최근에 금 얼마에 파셨어요? 6 .... 2025/02/01 2,792
1681189 수족냉증에 한약 도움될까요 경험담 좀 나눠주세요 4 ㅇㅇ 2025/02/01 510
1681188 실내자전거 처음 타고 뻗었어요.. 8 .. 2025/02/01 1,941
1681187 이혼숙려캠프보고 18 ㅇㅇ 2025/02/01 5,085
1681186 내가 가난하구나싶은 생각이 든게 31 2025/02/01 26,494
1681185 별 생각 없이 보다가 울컥 ㅇㅇ 2025/02/01 902
1681184 서향집 겨울엔 어떤가요? 16 궁금 2025/02/01 2,373
1681183 헌재 8명으로 갈경우 15 미미 2025/02/01 3,010
1681182 대체 뭘 먹고 살아야할지.. 15 ㅇㅇ 2025/02/01 4,697
1681181 어제 오늘 반지 2 반지 2025/02/01 1,311
1681180 집회 오늘도 4시 경복궁역이죠? 3 O,,o 2025/02/01 614
1681179 로봇청소기 추천해주세요. 4 ..... 2025/02/01 1,053
1681178 극성 지지자들 때문에 그 사람이 싫어지네 39 싫다싫어 2025/02/01 1,953
1681177 축의금 문의요 2 2025/02/01 846
1681176 갱년기 관절 통증 8 이유 2025/02/01 1,630
1681175 혈압약 하루만 다른사람 것 먹어도 될까요? 5 ........ 2025/02/01 1,479
1681174 수박이 무슨 뜻이에요? 18 궁금 2025/02/01 3,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