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젓이 형체 거의 없이 몇 년 삭은 것과 형체 그대로 있는 생젓...

멸치젓 조회수 : 1,401
작성일 : 2024-11-11 17:40:17

멸치젓이 멸치의 형체도 없이 다 풀어진 채로 몇 년 삭은 것 과

멸치 형체가 그대로 있으면서 국물도 있는 멸치젓의 차이점이 무엇 일까요?

둘다 모두 끓이지 않은 멸치젓인데,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맑은 멸치액젓과 함께 넣으려고 하는데

김장에는  둘중에 어떤 멸치젓을 넣어야 맛있을까요?

위에 두가지 모두 김장에 넣었을때 비린맛이 없는 건가요?

김장 망칠까봐 확실하게 알아 보려고 합니다.

 

멸치젓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211.203.xxx.24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11 6:05 PM (106.101.xxx.165)

    젓갈냄새 나고 양념이 진한 남도쪽 김치 좋아하시면 진젓 넣으시구요 섞어서 넣으면 괜찮을꺼에요
    생선이 덜 삭은건 담근지 오래되지 않은 젓갈인데
    이걸로는 담궈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푹 삭은걸로만 해봐서요

  • 2. ,,,,,
    '24.11.11 6:21 PM (14.42.xxx.186)

    덜 삭으면 비린 맛이 나지 싶어요.그건 건지 뼈추리고
    양념에 묻혀 먹음 맛있어요.김장은 잘 삭은걸로 하는게 낫지 싶네요.
    아니면 푹달여서 걸러서 먹던가 하는게,,,,

  • 3. ...
    '24.11.11 6:49 PM (220.75.xxx.108)

    건더기 있는 건 건져서 무쳐먹는 게 나을거에요. 아직
    덜 삭은 거 같은데...

  • 4. 잘 모르지만 ..
    '24.11.11 7:50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결론은 김장에 쓰는건 형체없이 잘 삭은 거라는 말이지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5. ^^
    '24.11.11 7:52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6.
    '24.11.12 1:54 AM (116.37.xxx.236)

    창호지에 받쳐서 액젓만 걸러 쓰면 고급스러운 깔끔하고 달큰 고소한 맛이에요. 끓이지말고 걸르기만요. 전천후 액젓이에요. 나물도 무치고 국도 끓이고…
    혹시 진젓을 쓰면 쿰쿰해서…폭 익으면 맛은 좋아지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3277 고관절 골절로 요양병원에 있는 고령 아버지의 거취문제 15 .. 2025/02/24 3,113
1683276 어제 동탄을 처음 갔었는데요(수정) 10 ㄷㅌ 2025/02/24 3,624
1683275 네이버페이 3 . . ... 2025/02/24 1,177
1683274 멜로무비에서 형 이야기 땜에 먹먹 6 멜로 2025/02/24 1,740
1683273 앞니 레진 치료 치아색 맞추기? 6 ... 2025/02/24 1,119
1683272 지방 '악성 미분양' 3000가구 LH가 직접 매입 19 .. 2025/02/24 2,239
1683271 그래 니 x 굵다 1 11 2025/02/24 1,000
1683270 요즘 욕실장 어떤 스타일 많이 하나요? 2 주니 2025/02/24 1,102
1683269 주유할 때 고급유 넣으시는 분 계신가요? 8 드라이버 2025/02/24 1,585
1683268 尹, 계엄 아니었어도 명태균-김건희 때문에도...?  12 ,, 2025/02/24 2,949
1683267 애딸린 이혼녀도 애딸린돌싱남은 싫어요 19 ... 2025/02/24 2,550
1683266 정들었을때 상황 얘기하는 남자요. 13 ........ 2025/02/24 3,847
1683265 24기 옥순 수업 했던 베드걸라이프 입장문이라네요 13 2025/02/24 5,466
1683264 진영논리를 무너뜨려야 5 반윤이다 2025/02/24 579
1683263 근데 홍장윈이 윤이랑 통화한거 5 ㄱㄴ 2025/02/24 2,770
1683262 친정엄마가 아들 며느리한테 화가 많이 나셨어요. 135 ... 2025/02/24 15,765
1683261 매일 큐티 하시는 분 계신가요? 6 성경 2025/02/24 1,267
1683260 푸드프로세서 질문이요~ 1 베이킹 2025/02/24 660
1683259 밤10시에 문두드리는 이웃할머니. 노인문제 심각 15 ... 2025/02/24 5,190
1683258 독일 선거 결과, 독일진보당 16 juu 2025/02/24 1,806
1683257 영어책 무료로 읽으려면 6 asdw 2025/02/24 1,042
1683256 식탁 좋은 브랜드가 어디예요? 10 ... 2025/02/24 2,091
1683255 팔자도망은 안 되나 봅니다. 상반기에 몸수가 있다더니 2 아오 2025/02/24 1,895
1683254 주요 쌀 품종 특징 비교 5 ... 2025/02/24 1,048
1683253 미분양 LH가 사는 거 공공임대용이에요 29 .. 2025/02/24 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