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멸치젓이 형체 거의 없이 몇 년 삭은 것과 형체 그대로 있는 생젓...

멸치젓 조회수 : 1,401
작성일 : 2024-11-11 17:40:17

멸치젓이 멸치의 형체도 없이 다 풀어진 채로 몇 년 삭은 것 과

멸치 형체가 그대로 있으면서 국물도 있는 멸치젓의 차이점이 무엇 일까요?

둘다 모두 끓이지 않은 멸치젓인데,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맑은 멸치액젓과 함께 넣으려고 하는데

김장에는  둘중에 어떤 멸치젓을 넣어야 맛있을까요?

위에 두가지 모두 김장에 넣었을때 비린맛이 없는 건가요?

김장 망칠까봐 확실하게 알아 보려고 합니다.

 

멸치젓 잘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211.203.xxx.240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1.11 6:05 PM (106.101.xxx.165)

    젓갈냄새 나고 양념이 진한 남도쪽 김치 좋아하시면 진젓 넣으시구요 섞어서 넣으면 괜찮을꺼에요
    생선이 덜 삭은건 담근지 오래되지 않은 젓갈인데
    이걸로는 담궈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푹 삭은걸로만 해봐서요

  • 2. ,,,,,
    '24.11.11 6:21 PM (14.42.xxx.186)

    덜 삭으면 비린 맛이 나지 싶어요.그건 건지 뼈추리고
    양념에 묻혀 먹음 맛있어요.김장은 잘 삭은걸로 하는게 낫지 싶네요.
    아니면 푹달여서 걸러서 먹던가 하는게,,,,

  • 3. ...
    '24.11.11 6:49 PM (220.75.xxx.108)

    건더기 있는 건 건져서 무쳐먹는 게 나을거에요. 아직
    덜 삭은 거 같은데...

  • 4. 잘 모르지만 ..
    '24.11.11 7:50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결론은 김장에 쓰는건 형체없이 잘 삭은 거라는 말이지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5. ^^
    '24.11.11 7:52 PM (1.245.xxx.39) - 삭제된댓글

    김장에 쓰는거면 삭아서 형체가 없어진걸 써야지요
    그런데 그걸 진젓이라고 하는데, 옛날에 전라도 시어머님
    김장하시는것 보면 많이 쓰시지는 않더라고요
    젓갈 맛이 진하게 나는데다 김치 색이 검어져서 곱지 않다고요
    그걸 걸러서 (끓이지 않고) 쓰면 맑은 액젓이 되는 거지요
    그런데 이건 개취입니다 꼭 끓여서 쓰는 분들도 있고요
    형체가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젓은 마리젓?이라고 하나봐요
    특히 경상도 분들은 이걸 맛있게 양념해서 드시더라고요

    참고로 네이*쇼핑에 멸치젓 검색해서 산지에서 통으로 절여서 파는 분들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시면 감이 올것 같아요

  • 6.
    '24.11.12 1:54 AM (116.37.xxx.236)

    창호지에 받쳐서 액젓만 걸러 쓰면 고급스러운 깔끔하고 달큰 고소한 맛이에요. 끓이지말고 걸르기만요. 전천후 액젓이에요. 나물도 무치고 국도 끓이고…
    혹시 진젓을 쓰면 쿰쿰해서…폭 익으면 맛은 좋아지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84548 조갑제, 한동훈 책읽기 '휴대폰 든 시민들이 총을 든 계엄군을 .. 49 스포 2025/02/28 3,689
1684547 윤 임기내내 국장은 내리막이네요. 4 국장 2025/02/28 1,056
1684546 전에 수원구경 시켜주고 싶다던 정조러버님 ~계신가요 6 .... 2025/02/28 1,108
1684545 가슴 아래 통증 별거 아닐까요? 1 ㅜㅜ 2025/02/28 920
1684544 묵주기도 응답 받으신분 7 Darius.. 2025/02/28 1,338
1684543 단무지를 놓쳐서 터졌는데요 6 이해 2025/02/28 1,876
1684542 요즘 자식들 부모에게 돈 안 쓰잖아요? 34 2025/02/28 6,675
1684541 실손보험 가입 문의드려요~ 1 ... 2025/02/28 855
1684540 개별진도도 괜찮은 학원 많아요 27 직접 가봐야.. 2025/02/28 1,524
1684539 나이 많은 초등 영어 강사라면 좀 무시하게 되나요? 9 직업귀천 2025/02/28 1,893
1684538 별 시덥잖은 얘기 하나 하자면 5 .. 2025/02/28 2,320
1684537 꼬르륵 소리가 유난히 커요 10 배고픈여인 2025/02/28 1,588
1684536 오븐안에 간장을 쏟았어요.ㅜㅜ 2 올리버 2025/02/28 1,066
1684535 오늘 주가 왜이러나요 ㅠㅠ 9 .... 2025/02/28 3,558
1684534 계속업뎃중) 핫딜. 쿠팡 라면15개 8700원(개당 580원) 28 쇼핑 2025/02/28 3,289
1684533 지금 대만 날씨가 어떤가요?? 7 내일가요 2025/02/28 1,633
1684532 신경치료 했는대 실손보험 되나요? 3 실손보험 2025/02/28 1,352
1684531 한동훈 인터뷰~ 별 ㅁㅊ 이네요. 18 2025/02/28 4,864
1684530 봉준호 신작 미키17 조조로 봤어요( 스포없음) 10 ㅇㅂ 2025/02/28 4,244
1684529 신축 하자보수 질문 3 .. 2025/02/28 691
1684528 고1 수학학원 조언좀 부탁드려요 8 ㅇㅇㅇ 2025/02/28 895
1684527 부모님 살아 계시고 아직 건강할 때 한풀이를 어떻게 하나요 16 이상 2025/02/28 3,381
1684526 여론조사 해석 보고 가세요 3 2025/02/28 1,011
1684525 실리콘 빗자루 저는 대만족이네요 5 살림팁 2025/02/28 2,056
1684524 머리 묶었을때 볼륨살리는 방법 4 ... 2025/02/28 2,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