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우리나라 중위자산은 3억이 안됨ㅡ누적백분위로 보는 자산, 대학

느림 조회수 : 4,381
작성일 : 2024-11-09 19:06:50

퍼온글

 

누적백분위 기준입니다.

0.01%~1%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 포공 ,카이스트 , 의치한약수 .순자산 30억 이상.

1~2% -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2~3% - 중앙대 (*평균백분위 96%정도)

3~4% - 경희대, 한국외대,

4~5% - 동국대, 건국대, 홍익대 (*평균백분위 93%정도)가구당 순자산 15억정도 .

5~7% - 국민대, 숭실대, 세종대, 단국대

7~10% - 광운대, 명지대, 상명대, 가톨릭대 가구당 순자산 11억 정도.

과마다 다르고 학교도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대강 잡았읍니다..

인서울 대학 나오신분 대단한겁니다.

순자산이 10억 이신분은 정말

대단한 분들 입니다.

인서울 대학생 흔한거 같지만 상위 10%입니다.

반에서 30명중 3등 이내 입니다.

순자산 10억 일반인들 평생 벌수 없는 상위10%입니다.

부자들이십니다.

강남 서초 송파 아파트가 약 35만채 입니다.

상위 2%입니다.

강남 서초 송파 아파트를 가지려면 2%안에 들어야 합니다.

강남 3구 아파트를 사는게 쉽지 않습니다.

인서울 아파트 사려면 10%정도는 되야 합니다.

인서울 대학 들어 가는거 많큼 어렵습니다.

우리나라 가구당 중위 자산이 3억이 안됩니다.(약 2억 4천정도)

순자산이 10억 이면 상위 10%입니다.

서울대 연대 고대 흔한거 같지만

실제로 그런 사람은 100명중에 2명 이내 입니다.

순자산 30억 흔한거 같지만 200명 1명 입니다.(가구당 이기에)

위를 보고 살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

우리 사회가 너무 상향적이서

비교하다 보면 숨이 막힙니다.

실제로 순자산 10억이면 세계적으로 보면

상위 1% 백만장자 입니다.

인서울대학만 나와도 상위 10%이고요.

상위 10%정도에 들어도 대단한겁니다.

인서울 대학만 나와도 공부정말 열심히한 수재 입니다.

순자산 15억이면 백만장자 시구요.

상위 5% 입니다.

20억 아파트 가지고 있어도 은행부채

전월세 공제하면

실제로 순자산 10억은 100가구 중에 10명 입니다.

서연고 나오신분 흔한거 같지만

드문 케이스이고

순자산 10억도 드문거 입니다.

너무 위만 쳐다보면

피곤할거 같아서

그냥 현실에 만족하잔 취지로

써보았 습니다.

제생각에 붇옹산에서 지금 가입하신분들은

상위층이 실거 같습니다.

먹고 살기 힘드신분들은

붇옹산 사이트에 접속하실

시간이 없을 겁니다.

제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부자시구요.

특히 부동산 하락논자

그분들이 미래의

집을 사실 분들 입니다.

특히 폭락논자

그분들이 집을 사실 분들 입니다.

IP : 58.120.xxx.117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24.11.9 7:09 PM (118.221.xxx.12)

    인서울 학생은 절대 10%가 아닙니다.

    정시 기준 45%까지도 내려갑니다. 한서삼 하위과는요.

    인서울만 대학이 아니라서 그래요.

  • 2. 서울집값
    '24.11.9 7:15 PM (172.224.xxx.17)

    만 올라서 저런거겠죠
    인서울학생이 다 저런게 아니라 저 출신에 서울에 살고 있는 사람 수준아닌가요

  • 3. ㅇㅇ
    '24.11.9 7:17 PM (118.221.xxx.12)

    마찬가지로 가구당 자산도 왜곡이 좀 심합니다.
    대한민국 아파트 그렇게 많은데 평균적으로 2억4천일까요?

    아니예요. 이건 가구당 자산을 볼게 아니라 1인당 순자산으로 봐야됩니다.
    20살 자녀가 대학간다고 독립해서 1인가구 되면 평균 자산 0원 있는 가구 되어 평균 다깎아먹습니다.
    이런건 진정한 경제력 지표가 아니죠.

    그런거 보면 안되고, 1인당 순자산을 봐야해요.

    1인당 순자산도 2억 4천입니다.

    4인가족이면 곱하기 4 하시구요, 5인이면 곱하기 5하시면 됩니다.
    4인가구면 8억정도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약 본인도 애들도 어리면 이거보다는 적게 가져도 평균이상이고,
    애들 다컸는데 이거보다 적다 그러면 평균 이하인거죠.

  • 4. ...
    '24.11.9 7:19 PM (211.234.xxx.111)

    서울에 사는게 그렇게 됐어요
    분당 일산 신도시 보면
    출발은 비슷했어요
    근데 지금 국민평형32평 가격차이 3배난다고 기사났어요
    광화문인근직장인 일산에 집 마련하고 후회하더라구요
    강남직장이어서 분당집샀고...차이나던데
    이게 심리적으로 참 다운되는 모양이에요

  • 5. ㅇㅇ님 공감해요
    '24.11.9 7:31 PM (110.10.xxx.120)

    아니예요. 이건 가구당 자산을 볼게 아니라 1인당 순자산으로 봐야됩니다.
    20살 자녀가 대학간다고 독립해서 1인가구 되면 평균 자산 0원 있는 가구 되어 평균 다깎아먹습니다.
    이런건 진정한 경제력 지표가 아니죠.

    그런거 보면 안되고, 1인당 순자산을 봐야해요.
    ==========================================================
    20대 대학생이 독립해도 1가구로 계산되니 가구당 평균 소득을 다 깍아먹네요

  • 6. ㄴㄴ
    '24.11.9 7:32 PM (210.179.xxx.245) - 삭제된댓글

    가구수가 2천2백만이 넘어요
    1인 가구가 많아져서요
    지방사는 4인가족 친구네는 20대 딸 2명이 모두 서울 수도권에서
    학교 다니고 취업을 해서 각각 회사 근처에서 자취해요
    그럼 인구수는 4명인데 가구수는 3가구에요
    만약 가구당 평균 순자산이 3억이라 치면 수치상으로
    이집은 9억이 돼야 평균인거에요
    가구당 2억5천이라 하면 7억5천은 돼야 평균인거고요

  • 7. 2천2백만 가구
    '24.11.9 7:41 PM (210.179.xxx.245)

    윗님들 댓글이 맞아요
    우리나라 가구수가 2천2백만이 넘어요
    1인 가구 급증해서요
    이런 사람들이 평균 다 낮추고 있는 거에요
    50대 부모에 딸이 2명인데 모두 취업해서 회사 근처에서
    자취해요
    그럼 인구수는 4명인데 가구수는 3가구에요
    50대 부모에 아들 2명인데 모두 취업해서 똑같이 회사
    근처에서 자취해요
    이집도 인구수는 4명인데 가구수는 3가구에요
    이런 경우들이 많아 가구수가 2천2백만 가구가 넘는거에요
    저는 가족이 다섯명이라 가구당 평균 순자산에
    곱하기 2 를 해요
    그게 제 평균값이에요

  • 8. ㅇㅇ
    '24.11.9 7:42 PM (172.224.xxx.20)

    지방은 1억짜리 2억짜리 집 많아요. 서울에 사는 게 정말 상위10플로 이내는들꺼예요

  • 9. ...
    '24.11.9 7:48 PM (223.62.xxx.239) - 삭제된댓글

    저런 통계 낼때 솔직히 노숙자 신용불량자 수급자 등은 빼야지 그런 사람들까지 다 넣으니 순자산 상위가 낮게 나오는거 같음...
    정상적으로 경제활동하는 사람들만 포험햐서 통계 다시 돌려봤으면

  • 10.
    '24.11.10 9:42 AM (116.32.xxx.155)

    4인가구면 8억정도 있다

    끄덕

  • 11. ㅇㅇ님 댓글이
    '24.11.10 10:19 AM (122.254.xxx.87)

    맞는것 같아요ᆢ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5854 저는 주는 돈 넙죽넙죽 잘 받습니다. 21 2025/01/31 6,373
1675853 이케아 소파, 혹은 리클라이너 소파 추천해주세요. 4 ... 2025/01/31 1,293
1675852 돈관리 5 ㅁㅁ 2025/01/31 2,109
1675851 얄미운 시어머니 12 2025/01/31 5,511
1675850 수원 영통 파스타맛집 추천 부탁합니다 7 추천부탁 2025/01/31 939
1675849 제일 부러운 사람, 멋져보이는 사람은 어떤사람이에요? 12 2025/01/31 3,471
1675848 맨날 식당 비싸고 드럽다고 하면서 밥은 안하는 친정엄마 9 2025/01/31 3,135
1675847 사골분말로 닭곰탕 끓였더니 11 .. 2025/01/31 3,036
1675846 델피늄 꽃이 진짜 키우기 어려운거 같아요. 6 델피늄 2025/01/31 1,132
1675845 오피스텔 시세대로 월세인상요구하는경우 10 .. 2025/01/31 1,531
1675844 조국혁신당 의원 검찰,사법출신 의원 몇프로에요? 5 ........ 2025/01/31 1,014
1675843 일반 사과 씻어서 껍질째 먹는 분 보세요 21 ㅇㅇ 2025/01/31 7,522
1675842 권영세 좀 보세요 ㅋㅋㅋㅋㅋㅋㅋ 8 ... 2025/01/31 3,947
1675841 차영옥, 남자에게 6억 전재산 다잃고 현재 고깃집 알바 중 12 너무안됬어요.. 2025/01/31 6,804
1675840 너무 어이없고 화나는데 말할까요 말까요 1 언니 2025/01/31 2,175
1675839 이재명이 너무 싫습니다. 50 .. 2025/01/31 3,975
1675838 최상위권 중학생의 고등입시 고민입니다 17 고입고민 2025/01/31 2,515
1675837 강남에서 라식해보신분(본인이나 자녀) 15 ... 2025/01/31 1,558
1675836 인생 가장 큰 깨달음게 날 믿고 내가 능력있어야 되더라고요. 19 지나다 2025/01/31 5,116
1675835 전반적으로 사람들 업무 능력이 떨어진 것 같아요. 26 000 2025/01/31 3,558
1675834 역사학자 심용환, 12.3 게엄이 성공했다면? 2 하늘에 2025/01/31 2,188
1675833 정관장 오배송 일까요? 2 2025/01/31 1,268
1675832 곰국 질문이요!! 5 엄마가 2025/01/31 732
1675831 닥스 가방은 좀 나이든 이미지인가요? 21 ㅇㅇ 2025/01/31 2,933
1675830 부모님카톡에 전광훈티비 5 ㄱㄴ 2025/01/31 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