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후에 부동산 보다 현금 유동성이 중요

조회수 : 4,796
작성일 : 2024-11-07 18:29:43

여기는 부동산 세대가 많은것 같은데

노후에 깔고 앉은 부동산 보다 현금 유동성이 더 중요하지 않나요?

자녀에게 물려줄것 아닌 미혼,비혼인 경우예요.

한국은 기형적으로 부동산 자산이 80프로 가까이 된다는데.

 중국도 부동산 비중이 60프로 가까이구요.

일본도 잃어버린 30년 하면서 부동산 버블 다 털어내고나서 주식 시장으로 돈이 이동했다는데.

한국 수준으로 부동산 자산 비중이 높은 곳은 

세계적으로 거의 없대요. 그래서 부동산으로 인한 가계 부채로 더욱 취약한 구조라네요.

 

 

IP : 223.38.xxx.171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24.11.7 6:31 PM (118.235.xxx.253) - 삭제된댓글

    그러고 싶어서 그러나요
    집값이 너무 비싸니까 그렇죠

  • 2. 하늘에
    '24.11.7 6:32 PM (183.97.xxx.102) - 삭제된댓글

    저희는 아이가 있지만 미국 etf, 채권 위주로 준비 중입니다.
    부동산보다는 관리하는 번거로움 적으면서 현금이 들아오고, 어차피 상속은 되고요.

  • 3. 하늘에
    '24.11.7 6:37 PM (118.235.xxx.21) - 삭제된댓글

    저희는 아이가 있지만 배당되는 미국 etf, 채권 위주로 준비 중입니다.
    부동산보다는 관리하는 번거로움 적으면서 현금이 들아오고, 어차피 상속은 되고요.

  • 4. 하늘에
    '24.11.7 6:49 PM (118.235.xxx.21)

    저희는 아이가 있지만 3층연금과 배당되는 미국 etf, 채권 위주로 준비 중입니다.
    부동산보다는 관리하는 번거로움 적으면서 현금이 들아오고, 어차피 상속은 되고요.

  • 5. 빙그레
    '24.11.7 7:01 PM (115.92.xxx.27)

    저는 노후에 부동산보단 현금.
    현금보단 연금이라 생각되네요.
    저는 그래서 연금 부자랍니다.

  • 6. ...
    '24.11.7 7:02 PM (58.234.xxx.222)

    얼마전 8억 집 있으면서 생활고 겪다 돌아가셨다는 노인 생각 나네요.

  • 7. Cash
    '24.11.7 7:24 PM (106.101.xxx.102)

    맞습니다. 현금이 부족하면 그 부동산 유지하지도 못하고 생활비가 부족해서 자식들에게 손 내밀게 되어 있습니다. 자식이 있든 없든 은퇴후에는 현금 유동성이 효자 노릇을 한다네요. 50대 중반인 저는 현재 부동산: 현금을 3:7 정도로 유지하고 있는데 몇 년 안에 2:8 정도의 비율로 현금을 더 늘리여고 합니다. 굳이 강남에 살 필요가 없어서 서울 근교 공기 좋은 신도시에 살면서 충분한 현금을 갖고 있으니 마음이 든든합니다.

  • 8. ㅇㅇ
    '24.11.7 7:35 PM (110.15.xxx.22)

    정말 맞는말이에요
    저희 부모님 건물만 달랑 하나 가지고 계시는데
    갈수록 건물은 노후해지고
    대단한 역세권 아님 앞으로 집값 어찌될지 모르고
    당장 생활비 쪼들려서
    사는게 정말 궁핍해요
    부동산 팔고 현금확보하라해도 나이드셔서
    그거라도 없음 허전하다고 고집 안꺾고
    생활비 병원비 자식들만 힘들게 해요
    전 부모님 보니 절대 부동산 올인 안하고
    현금 갖고 살려구요

  • 9. 딩크라
    '24.11.7 7:38 PM (172.56.xxx.142) - 삭제된댓글

    부동산은 12억짜리 거주하는 아파트 뿐이고 나머지 재산은 전부 유동성 자산인 주식과 예금이에요.
    결혼하고 20대 후반부터 부동산과 유동자산 비율을 3:7 목표로 계획했어요.
    노후생활비는 연금과 배당금으로 충분하지만 주택연금도 받아서 최대한 재산을 조금 남기는게 목표에요.
    50세에 30억 목표로 달려왔는데 3년 빨리 이루어져서 50전에 은퇴가 가능해졌어요.

  • 10. 애들엄마들
    '24.11.7 7:39 PM (222.110.xxx.211)

    저도 부동산 현금 비율이 거의 50:50이예요. 얼마전에 가지고 있던 작은 아파트 하나는 정리해서 돈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아무리 현금 가치가 떨어진다고 우선은 돈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11. 딩크라
    '24.11.7 7:39 PM (172.56.xxx.142) - 삭제된댓글

    부동산은 12억짜리 거주하는 아파트 뿐이고 나머지 재산은 전부 유동성 자산인 주식과 예금이에요.
    결혼하고 20대 후반부터 부동산과 유동자산 비율을 3:7 목표로 계획했어요.
    노후생활비는 연금과 배당금으로 충분하지만 주택연금도 받아서 최대한 재산을 조금 남기는게 목표에요.
    50세에 40억 목표로 달려왔는데 3년 빨리 이루어져서 50전에 은퇴가 가능해졌어요.

  • 12. ...
    '24.11.7 7:54 PM (118.235.xxx.65) - 삭제된댓글

    뭔가 댓글들이 ai가 적은듯한 느낌들 ㅎ
    엊그제부터 좀 그러네요
    나 연금 부자야 이런글이 갑자기

  • 13.
    '24.11.7 8:47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저는 모르겠어요
    여지껏 현금은 가치 떨어지는것만 봤고 부동산은 오르는것만 봐서
    70넘어 힘이 없는 노인이고 살 날이 십몇년 남았으면 편하게 현금으로 정리하겠지만 아직은 글쎄요

  • 14.
    '24.11.7 8:49 P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저는 모르겠어요
    여지껏 현금은 가치 떨어지는것만 봤고 부동산은 오르는것만 봐서
    현금 가치가 오를까요
    주식도 아무나하는게 아닌데
    70넘어 힘이 없는 노인이고 살 날이 십몇년 남았으면 편하게 현금으로 정리하겠지만 아직은 글쎄요

  • 15.
    '24.11.7 8:51 PM (1.237.xxx.38)

    저는 모르겠어요
    여지껏 현금은 가치 떨어지는것만 봤고 부동산은 오르는것만 봐서
    현금 가치가 오를까요
    몇년전엔 팔천원이면 고등어 두손 샀는데
    이제 한손만 살 수 있어요
    물가 올라 돈 가치가 딱 절반으로 가치가 떨어진 느낌?
    주식도 아무나하고 불리는게 아닌데
    70넘어 힘이 없는 노인이고 살 날이 십몇년 남았으면 편하게 현금으로 정리하겠지만 아직은 글쎄요

  • 16. ㅡ,ㅡ
    '24.11.7 9:29 PM (124.80.xxx.38)

    얼마전에 8억짜리 아파트 가진 할아버지 굶어서 돌아가신일있었잖아요.
    현금이 하나도없어서.....

  • 17. . .
    '24.11.7 9:48 PM (222.237.xxx.106)

    주택연금있잖아요.

  • 18. 그냥 제 생각
    '24.11.8 6:34 AM (1.242.xxx.8)

    노인인구 증가로 역세권 오피스텔이나 소형아파트가 대새가 될듯. 1인가구가 늘어나고 병원도 자주 다녀야 되니까.. 오래살아서 개발이익까지 생각한다면 큰집. 돈으로 스트레스 받고 싶지 않으면 수익형부동산. 신경쓰는게 힘들다 하시면 은행상품 모두아시는 얘기지만 복습요

  • 19. ...
    '24.11.8 8:22 AM (39.7.xxx.143) - 삭제된댓글

    일본에서 어떤 남자가 현금 10억이 목표라서 몇년간 열심히 모으고
    달려왔는데, 지금 생각하면 후회한대요. 왜냐 그 새 물가가 올라서
    10억의 돈 가치가 떨어져서요. 차라리 중간에 작은 부동산이나 금 사놨으면 인플레 방어가 됐을텐데..
    저만 해도 현금이 녹는 것 같아 올초 산 금이 팔 때 가격으로 해도
    20프로는 넘는지라, 또 7년전 예금 유지할까 하다 일부 빼서 투자해놓은 부동산 이번에 수익보고 팔았거든요. 그래서 65세이상이 아니라면 100프로 현금보유는 자산증식에 도움은 안되고 현금 60 부동산 40 정도가 좋을 것 같아요. 나이들면 다 현금화하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0970 김건희가 저지경이 된거 8 ㄱㄴ 2024/12/26 3,714
1660969 헌재 "尹 대통령 측, 서류 미제출"... 2.. 9 헌재화이팅!.. 2024/12/26 4,525
1660968 한덕수때문에 열받아서 배가 하나도 안고프네요. 7 ㄷㄹ 2024/12/26 1,456
1660967 성북구 김영배의원 3 처음 알았어.. 2024/12/26 1,430
1660966 내란은 내란임 2 .. 2024/12/26 944
1660965 인간관계, 연애가 다 상처에요 6 d 2024/12/26 2,579
1660964 남편들 상갓집 갈때 입을 옷 어떤 것으로 구비해 놓으시나요? 5 레몬 2024/12/26 1,129
1660963 지금 mbc 여성패널 누군가요? 1 알사탕 2024/12/26 1,825
1660962 치마 입는게 소원이었어요 8 .. 2024/12/26 1,920
1660961 내란수괴 옹호만 하는 권성동 4 ㅁㄴㅁㄴ 2024/12/26 1,000
1660960 헌법재판관 마은혁,정계선,조한창 선출안 투표종료및개표시작 10 ... 2024/12/26 3,744
1660959 한덕수 탄핵안 발의, 보고까지 끝났어요 4 ㅅㅅ 2024/12/26 2,166
1660958 은행이 3시반에 문닫나요? 5 ... 2024/12/26 1,764
1660957 쌀 밀가루 좀 사뒀는데 괜찮겠죠 10 ㄴㄷㅅ 2024/12/26 2,054
1660956 부산 분들 구별로 여당 규탄 집회 있어요 4 ㅈㄴㄱㄷ 2024/12/26 677
1660955 이게 다 헌재 정형식 때문인 요인이 크죠 11 ㅇㅇ 2024/12/26 2,102
1660954 먹고살기힘들다 빨리 끝내자. 한덕수 무능 보신주의 2 ... 2024/12/26 942
1660953 Irp,연금저축펀드 궁금해요 16 ㄹㅇ 2024/12/26 1,916
1660952 예비 18번 4 수시 2024/12/26 1,499
1660951 아메리카노를 초코롤케이크 먹으니 맛있네요 1 ㅁㅁ 2024/12/26 931
1660950 문정부때 잘 나가던 총경들, 노상원 수첩의 대상이었다 2 이게나라냐 2024/12/26 1,274
1660949 S24 플러스 쓰시는 분들 어때요??? 4 123 2024/12/26 951
1660948 불공정 여론조사의 비밀 7 000 2024/12/26 916
1660947 그랜저는 대체 언제 예뻐질까요. 27 ... 2024/12/26 2,956
1660946 민주당이 뭘 질질 끌어요? 17 ... 2024/12/26 1,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