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1 수학

d 조회수 : 927
작성일 : 2024-10-27 18:58:06

 

수(하)를 지난 겨울 방학에 한번 돌리고

내신대비 하고 중간고사 망치고 기말고사를 학원을 옮겼어요

 

기존 학원 많이 널널하게 다니다가 아이가 원해서 빡쎈곳으로 갔어요

 

개념 한번은 돌린 아이들이니 과제하고 (경우의 수)학원가서 테스트 (경우의 수)한 후에  

과제 틀린것 설명 듣는데 같은 반 남자애들이 질문을 하나도 안하고 숙제도 안해와서

숙제 다 해가고 질문 잘하는 우리 아이와 거의 1:1로 수업을 한다고 하네요

너무 좋다네요

 

그러나 일단 처음 과제 받아올때 아이도 작년에 배운거라 기억이 거의 안난대요

숙제하다가 짜증 짜증..거의 울다시피 숙제하고 학원을 갔어요

.함수는 괜찮았는데 경우의 수 정말 많이 못풀어갔어요 선생님은 이제 배우면 된다고

격려해주셨다고 하셨고

 

생각해오던 대학생 과외 시범과외를 지금 하고 있어요

저는 학교 기출이 모의고사 형이라 자이스토리 한권 이렇게 정했는데 수업 마치면

상담해봐야할것 같구요

일단 지금 학원 수업 방식이... 아이가 과제를 하면서 너무 힘들어하니

차라리 개별진도가 나은건가 싶은 생각을 하다가도

당장 12월 초에 기말고사라 시간이 급한데 개념 공부를 다시 하기엔 시간이

부족한것 같아서 걱정이에요

개별진도 학원가서 개념 공부 다시+과외

기존대로+학생 과외

어떤게 좋을까요?

 

IP : 125.178.xxx.144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11
    '24.10.27 7:13 PM (106.101.xxx.114) - 삭제된댓글

    저는 수학학원 원장인데요
    대학생과외도 별로고 지금 다니는 학원도 별로네요
    이왕 과외 시키실거면 전문선생님께 하는게 나을거고
    현재 학원은 애들이 과제를 안해오는 분위기인데 아이에게 득될거없는듯 하고요
    현재 학원도 중간고사 끝나고 옮기신건데 또 옮기는것도 만만치않을듯요

  • 2. gi
    '24.10.27 11:18 PM (118.216.xxx.117)

    과외가 맞는 아이면 전문과외가 나을듯요.
    위에 수학원장님께 저도 한 가지 여쭈어요.
    저희집 고1은 작년에 수1,수2 한 번씩 수박 겉 핥기 정도로만 보고 고등왔는데 이번 겨울방학에는 죽어라 수1만 팔까요? 아님 두 개 다 해야 할까요? 수학 아주 못 하는 아이는 아니고 모고는 아직 겨우 1등급 나오긴 합니다.

  • 3. 111
    '24.10.28 1:04 AM (106.101.xxx.114) - 삭제된댓글

    모고 1등급은 좀 애매해요
    내신 2~3일듯한데 수1만 시키는게 낫다싶네요
    가능하다면 2월쯤에는 모의기출이랑 킬러까지 보게하고요
    심화 안하면 내신이든 모의든 등급유지도 쉽지는 않을거에요

  • 4. fg
    '24.10.28 8:12 AM (223.62.xxx.30)

    조언 감사드립니다

  • 5. 강사는 아니고
    '24.10.28 11:30 AM (211.251.xxx.37) - 삭제된댓글

    고딩수학교사로 한마디 하자면 고1이고 수1,2를 수박겉핥기 정도고 하고 고등 왔다는 말씀이신데, 그럼 기억이 안나서 긴가 민가 할 가능성이 높고 수학 선택은 뭘로 한건지 모르니 겨울방학에 할게 많군요 수1,2 말고 선택할 수학 과목이 무엇인지요? 학교마다 다를 수 있어서 뭐라고 말은 못드리겠지만 1학년이고 모고 1등급이면 겨울방학동안 애 상황을 보고 수1빡세게 심화, 수2 기본다시 그리고 선택한 수학은 뭔지 언제 하는지 모르니 2학기에 선택과목할거면 2학년 여름방학에 심화 빡세게..할게 많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5959 달아난 폭도 "카키맨" 체포 성공 3 308동 2025/02/03 1,843
1675958 우리나라 10년 후 의료붕괴 6 .... 2025/02/03 2,086
1675957 윤 대통령 "국정마비 보고만 있을 수 없어 22 .. 2025/02/03 2,539
1675956 장원영, 장원영 언니, 엄마까지 미인 10 이쁘다 2025/02/03 4,417
1675955 고모 별세 했는데 친정엄마 안가신다네요 19 ... 2025/02/03 5,794
1675954 헌재는 마은혁 선고 연기했어요 18 ㅇㅇ 2025/02/03 4,075
1675953 구준엽 부인이 죽었다는 소식? 6 구준엽 2025/02/03 5,080
1675952 구준엽 순정파라던데 너무 안됐어요. 4 .... 2025/02/03 4,064
1675951 구준엽 와이프 서희원 죽었다네요 15 .. 2025/02/03 8,037
1675950 자녀가 연봉 높은 직장 다니면 8 ㅡㅡ 2025/02/03 3,786
1675949 대학 나와도 백수천지라는데 교육비 안 아까우신가요? 9 애들 2025/02/03 2,327
1675948 한국기술교육대 vs 한국공학대학 선택 조언 ?? 4 재수생 2025/02/03 1,401
1675947 교복 셔츠 똑같은 건 인터넷에 없네요... 2 2025/02/03 749
1675946 빕스나 애슐리처럼 파티팩 도시락 포장판매 파는 곳 혹시 아시나요.. 6 인생 2025/02/03 939
1675945 한방병원에 가고싶으시다는데 6 한방병원 2025/02/03 1,412
1675944 키177에 보통체격이면 100입나요 12 토토 2025/02/03 1,353
1675943 친정엄마 보면 답답합니다. 5 ㅇㅇㅇ 2025/02/03 2,703
1675942 요즘은 손걸레 사용안하나요 7 다음 2025/02/03 1,849
1675941 팔자주름에 필러vs쥬베룩볼륨 1 .50대초 2025/02/03 1,442
1675940 지금 외교는 어찌되고 있나요 1 ㄱㄴ 2025/02/03 521
1675939 서희원(구준엽 아내) 폐렴으로 사망 62 명복을 2025/02/03 25,057
1675938 내란수괴 윤석열 파면 촉구 슈투트가르트 6차 집회 (1/25/2.. 2 light7.. 2025/02/03 481
1675937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파요 12 ㅇㅇ 2025/02/03 2,171
1675936 무책임하다가 다늙어 친한척하니 오히려 이혼생각 24 ., 2025/02/03 4,438
1675935 (클래식) 양인모 공연 -대전 표 남았대요 인모니니 2025/02/03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