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50대의 진짜 삶의 질은.........

저는 조회수 : 28,995
작성일 : 2024-10-27 16:01:57

자식보다 남편보다 부모가 아프냐? 안아프냐? 같네요. 

한분 돌아가시고 한분 아직 건강하세요.  경험이 한번 있어서 그런지 아프실까봐 두렵기도 하고 마음의 준비는 하지만 지금이 가장 편안해요.  매일매일 제 삶을 안정되게 살아갈 수 있으니까요. 

IP : 222.109.xxx.26
3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24.10.27 4:04 PM (185.220.xxx.72) - 삭제된댓글

    그걸 30대 후반부터 느꼈어요.
    부모님이 일찍 큰병 걸리고 투병 생활 하셔서요.
    한명이 병 걸리고 입원하면 그 가정은 거의 무너져요.
    경제적으로도고 그렇고 정신적으로도 그렇고...
    반대로 얘기하면 부모님 건강하신 분들은 복 받은 거.

  • 2. Aaa
    '24.10.27 4:04 PM (104.28.xxx.32)

    일리있네요

  • 3. ..
    '24.10.27 4:06 PM (39.120.xxx.199) - 삭제된댓글

    저는 결혼한다고 친정집에서 나오니 집이 무너져 버리네요

  • 4. 동감
    '24.10.27 4:06 PM (223.38.xxx.208)

    깊게 공감합니다

  • 5. 공감
    '24.10.27 4:07 PM (112.152.xxx.140)

    가족중에 환자가 생기면 온가족 마음이 너무 힘들어져요.
    부모님이 죽음에 가까이 가시는걸 목도하는 심정이
    너무 마음아프고 상실이 커지고요.
    몇년 투병하시다가 돌아가신 엄마
    사무치게 그립고 미안하고
    몸의 일부가 뚝 떨어져나간것같아요.
    50대의 삶이 이별로 노화로 무겁고 슬프네요

  • 6.
    '24.10.27 4:08 PM (58.76.xxx.65)

    부모님 돌아 가시고
    나 자신 남편 형제 자식이 아프면
    또 다른 절망에 빠지기도 합니다
    저는 요즘 하느님께 모든걸 맡기고
    하루 하루 감사하는 마음으로 기도하며 사네요

  • 7. ㅇㅇ
    '24.10.27 4:09 PM (211.234.xxx.36)

    깊이 공감합니다.
    한명이라도 아프면 삶의 질은 너무 떨어지죠

  • 8. 아니오
    '24.10.27 4:10 PM (121.165.xxx.112)

    남편이 아직 건강하니 그런 생각을 하시는 겁니다.
    양가부모 치매 수발 끝나고 이제 한숨 돌릴만 해졌는데
    남편이 아프다네요.
    여명을 알려주는데 부모님 때와는 달리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더군요.
    부모님이 편찮으실 때는 삶의 질이라면
    남편이 죽을병 걸리니 내 삶이 송두리째 뽑히는 느낌입니다

  • 9. 맞아요
    '24.10.27 4:12 PM (14.33.xxx.161)

    맞아요 맞아요 맞아요 맞아요

  • 10.
    '24.10.27 4:20 PM (61.74.xxx.175)

    50대면 본인이나 남편이 아픈 집도 꽤 됩니다
    50대들의 부모님이면 연로하시니 병들고 아픈 게 당연하죠
    자식으로 버거울 수는 있지만 그건 자연의 이치잖아요
    내 고통이 제일 큰 거지만 부모님이 편찮으신 건 생로병사의 이치로
    받아들여야죠

  • 11. ...
    '24.10.27 4:22 PM (210.126.xxx.42) - 삭제된댓글

    50대중후반...원글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남은 90대 세분....병원만 모시고 가기에도 제 인생이 없네요 ㅠ

  • 12.
    '24.10.27 4:24 PM (211.36.xxx.221)

    부모님보다 배우자가 문제
    살만해지니 덜컥

  • 13. ...
    '24.10.27 4:25 PM (210.126.xxx.42)

    50대중후반...원글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남은 90대 세분....병원만 모시고 가기에도 제 인생이 없네요 ㅠ
    문제는 저도 각종 병에 시달리고 있다는거...어느 날은 제가 먼저 죽을 것 같아요

  • 14.
    '24.10.27 4:28 PM (14.44.xxx.94) - 삭제된댓글

    여기서는 수미님 갑작스러운 사망소식에 누가 부럽다는 댓글 올렸을 때 온갖 안 좋은 소리 해댔지만
    제 주위에서는 노인은 노인대로 병들고 나이 많은 노부모 뒷치닥거리하는 50~60대 자식들은 자식들대로 고통없이 갔다고 복 받았다고 자기들도 그랬으면 하네요

  • 15. 형제간병
    '24.10.27 5:12 PM (211.114.xxx.199)

    제 동생이 50대 초에 많이 아팠는데 진짜 부모님이 아프신 것 보다 하늘이 깜깜...아직 애들이 대학을 안갔거든요. 부모님은 아프셔도 이제 꺼져가는 촛불이니 제가 좀 고생하면 되지만...형제가 아프면 그것도 결혼 안한 형제가 아프면 큰일입니다. 다행히 제 동생은 건강을 회복하고 가정이 있어 다음에 또 아프게 되더라도 배우자가 있지만 이제 50대 후반 싱글인 제가 아프기 시작해요. 저는 친구에게 간병인 찾아달라고 부탁해야 할판...

  • 16. 저요
    '24.10.27 5:14 PM (59.8.xxx.68) - 삭제된댓글

    얼마전 가족들 법먹으묜서 그랬어요
    아빠나 나나 아프면 집부터 내 놓을거라고
    어차피 둘중 하나 아프면 집이 작은게 나을거 같고
    병원비등으로 돈도 쓰고요
    우린 연금생활자고 현금1억좀 넘게 있지만
    아파서 돈 쓰기 시작하면 감당하기 힘들거예요
    그게 아니라도 나이들어서 집 감당도 못해요
    혼자되면 작은집도 좋고요
    부모님은 친정엄마 한분 계시는대 동생하고 같이 돌봐야죠
    우린 아들 하나라 우리부부가 알아서 살거예요

  • 17. ㅇㅇ
    '24.10.27 8:36 PM (1.231.xxx.154) - 삭제된댓글

    맞는 말씀인듯요

  • 18. ㅇㅇ
    '24.10.27 8:37 PM (1.231.xxx.154)

    맞는 말씀인듯요. 입원 진료 응급실 진료 진료 진료 진료.
    돌봄은 기본입니다.

  • 19. Mmmm
    '24.10.27 10:01 PM (70.106.xxx.95)

    맞는말입니다

  • 20. ...
    '24.10.27 10:51 PM (14.42.xxx.34)

    동감합니다. 저 50대 후반 가까워지는데 작년가을 투병 끝에 아버지 돌아가시고 엄마도 정신줄 놓으셨던 그 과정을 지나느라 진짜 고통 속에 살았는데 그때 떨어진 면역이 아직도 회복이 안되서 심하게 골골대며 아파요.

  • 21. 인생
    '24.10.27 11:54 PM (89.14.xxx.54)

    20대는 불안하고, 30대는 갈리고, 40대는 어딘가 아프고, 50 대엔 간병하고..
    그러타데요. 50대에 간병안 하고 60대게 간병하면 일찍 죽는다고.

  • 22. 남편
    '24.10.28 12:04 AM (116.36.xxx.180)

    전 남편이 30대에 큰 수술받고 계속 병치례를 해서인지(작년에도 쓰러짐) 누가 아픈 것에 대해 초연해졌어요. 젊어서 아프고 가는 사람도 많아서 나이 들어 아픈 건 당연하게 여겨지고 덤덤하네요.

  • 23. .....
    '24.10.28 12:37 AM (211.234.xxx.68)

    그래서 50대가 죽음의 계곡이라고 하는 거 같아요ㅠ
    40후반인데 갑자기 아빠 먼저 떠나시고
    양가에서 어머니들만 남았는데
    한분은 갑자기 많이 안좋으시고
    마지막 잎새 바라보는 심정이예요
    금전적 정신적 육체적으로 다 힘들고요
    50대의 삶의 질은 배우자나 본인이 건강하다는 전제하에
    부모님의 건강이라는 말에 절대적으로 공감해요.
    케어하다가 나도 같이 나이드니까
    부모님 돌아가시면 바로 노년기 맞는거죠 ㅜㅜ
    건강하게 오래 사시면 뭐가 문제겠어요.
    유병장수는 자식한테는 폐허같은 삶이예요..

  • 24. .....
    '24.10.28 12:41 AM (211.234.xxx.68)

    저의 경우에는 양가부모님 모두
    그분들 40대쯤 조부모님 돌아가셨거든요
    거기다 형제도 많아서 양쪽 다 조부모님 모시거나 케어하지 않았어요.
    아직 덜 나이들었을때 부모님 떠나보내서 치유력도 더 나은 거 같고요.
    형제들이 많았고 직접적인 케어를 안했으니 힘든지도 모르고 보낸거예요.
    지금의 저희 세대와는 너무 다르죠..

  • 25. 그렇더라고요
    '24.10.28 1:10 AM (116.32.xxx.155)

    50대면 본인이나 남편이 아픈 집도 꽤 됩니다
    50대들의 부모님이면 연로하시니 병들고 아픈 게 당연하죠22

  • 26. Dd
    '24.10.28 4:28 AM (73.109.xxx.43)

    부모님도 그렇지만 본인이나 자식 남편이 아픈 건 아예 차원이 달라요

  • 27. 50대
    '24.10.28 4:40 AM (222.106.xxx.33)

    월급 그대로 도우미비용으로 다 쓰는한이 있더라도 일 계속 하세요.
    남편이나 주변에서 남는거없다해도 흘려드ㄹ으시고요.
    남는거있어요.그것도 크게.바로 계속 일할수있다는 경제력이요.
    애들 다 컸고,크면 큰돈 필요해요.
    그리고 엄마역할은 줄고요.계속일하세요.

  • 28. 그럼
    '24.10.28 7:34 AM (211.36.xxx.81)

    언제 행복하게 지낼수 있는걸까요.
    걱정과 불안과 일이 많은 사람은 평생 행복하게 지내는게 불가능한것 같아요.
    그래서 낙천적인 성격을 타고나는 게 최고인 것 같기도 하고..

  • 29. ...
    '24.10.28 9:06 AM (202.20.xxx.210)

    너무 오래 사시니 문제가 되는 것 같아요, 적당히 70쯤 가셔도 되는데 80, 90.. 자식들이 이미 환갑인데 부모 병간호.. 정말 힘듭니다.

  • 30. ...
    '24.10.28 9:17 AM (73.86.xxx.42)

    50대 삶의 질 저장. 전 나이가 들수록 끝이 가까워져서 좋아요. 70초중반에 가고싶네요.

  • 31.
    '24.10.28 12:30 PM (106.101.xxx.77)

    50대부턴 부모 건강이죠
    70대부턴 진짜 본인 건강으로 갈려요

  • 32. 영통
    '24.10.28 12:43 PM (211.114.xxx.32)

    70대 중후반, 80대 초반에 돌아가시는 게 좋아보여요

    건강하다면 그 이후 살아도 좋지만, 배우 이순재 김영옥 님은 아주 정정하시죠

    아픈 채 수명만 긴 것은 의미도 없고 자식들이 돈으로도 심적으로도 힘들죠

  • 33. 발상의 전환
    '24.10.28 2:18 PM (76.88.xxx.27)

    아프신 분이라도 있는게…

    다 가신 후에는 .. 다음은 내 차례가 됩니다.

  • 34. ...
    '24.10.28 2:30 PM (161.69.xxx.13)

    내년에 80 되시는 친정 엄마 오래 오래 계셨으면 좋겠는데 이것도 정정하시니
    그런거겠죠... 그래도 건강하게 90세 넘어 계셔주셨으면 좋겠어요.

  • 35. ㄴ드
    '24.10.28 3:20 PM (59.14.xxx.42)

    50대면 본인이나 남편이 아픈 집도 꽤 됩니다
    50대들의 부모님이면 연로하시니 병들고 아픈 게 당연하죠333333333333333

  • 36. ..
    '25.3.28 7:31 PM (125.186.xxx.181)

    수년 전 두분 다 정말 무시무시하게 겪은 것 같아요. 그 고비를 넘기시니 지금 활력 있고 평온하게 사시니 너무 너무 감사해요. 80중 후반이세요. 요즘은 90넘으신 분들이 많아서 아직 젊으시네 하는 말도 들어요. 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8476 아이들 크면 옷가게 하는건 어떨까요 25 옷을 좋아해.. 2025/02/10 4,151
1678475 균형잡힌 식단 3 평소에 2025/02/10 1,820
1678474 중년에 이런 체질이면 주의할 질병이 있을까요? 3 급노화 2025/02/10 1,575
1678473 약국 미백치약 추천해주실 분? 치아미백 2025/02/10 1,000
1678472 led등이 눈부셔요 7 ... 2025/02/10 1,488
1678471 지인께서 갑자기 돌아가셨어요. 독감 때문일까요? 10 독감? 2025/02/10 6,395
1678470 일론머스크가 본 한국의 저출산. 40 ........ 2025/02/10 7,317
1678469 오늘 금 판매글 후기 입니다 14 후기 2025/02/10 6,239
1678468 타임아웃 선정, 인생 여행지 Best 30 20 2025/02/10 4,860
1678467 비마트 괜찮네요 2 .. 2025/02/10 1,437
1678466 112에 신고 해야 하나요 인권위 폭도들 2 112 2025/02/10 1,223
1678465 스무살 아들이 해외여행을 갔어요 13 2025/02/10 6,037
1678464 일요일에 집보러오는 사람들..흔한가요? 12 11 2025/02/10 3,364
1678463 인권위 침입한 일명 캡틴아메리카 실체 5 내그알 2025/02/10 2,163
1678462 제가 이상한걸까요. 1 흠.. 2025/02/10 995
1678461 尹탄핵 반대 집회 간 홍준표 부인, 전한길과 ‘인증샷’ 16 2025/02/10 3,149
1678460 김명신 학위는 어떻게 된건가요 ? 4 .. 2025/02/10 1,542
1678459 냄새 나는 김치 어떻게 먹나요? 4 ㅠㅠ 2025/02/10 1,471
1678458 완전 상큼한 오이반찬 레시피 공유합니다. 20 ... 2025/02/10 4,585
1678457 엄마 아빠 또래 유명인들이 세상을 떠나네요 18 ㅇㅇ 2025/02/10 4,439
1678456 숙명여대 자유전공 vs 홍익대 경영 36 어렵다 2025/02/10 2,914
1678455 부산 은행 강도 기사에 달린 댓글 장인들 2 계몽강도네풀.. 2025/02/10 2,112
1678454 금반지 어디서 맞춰요? 5 서울 2025/02/10 1,325
1678453 오늘 세탁 많이 하셨나요 8 .. 2025/02/10 2,405
1678452 고환율에 신선식품 수입단가 10∼15%↑…5월부터 밥상물가 타격.. 3 ... 2025/02/10 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