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가 없어도 되는 나이가 몇 일까요?

조회수 : 5,439
작성일 : 2024-10-25 01:08:52

제겐 30세 같습니다.

 

아버지가 싫어서 

기숙사 되는 대학을 다녔고

졸업후 직장 다니며 자취 했어요.

 

29세에 결혼 후 해외 살아요.

부모 곁을 떠나 독립한 나이는

제게 25세 쯤 같은데,

 

완전히 부모와 물리적으로

멀리 사는 건 서른 이후 였다 싶고요.

 

그래서 아무튼 저도 곧 50대가

눈앞이고 자식도 키우는데

여전히 부모에 대한 애틋한 마음이

크게 없구나 느낍니다.

 

정서적으로 남편과 잘 지내니

외로움도 그다지 크지 않은

덕분이겠죠. 

 

부모님이 어느새 70대 중후반이신데

보고싶다는 생각이 별로 안 들어요.

IP : 73.148.xxx.169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0.25 1:19 AM (118.235.xxx.30)

    부모랑 자식의 성격과 관계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 2.
    '24.10.25 1:45 AM (211.219.xxx.193)

    저도 그래요.
    도시로 고등학교 나오면 자취했어요.
    너무 일찍 떨어져서 그런지 보고싶다거나 애면글면하는 마음이 없어요.
    좋으신 분들이고 할수있는 효도는 하지만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아요.
    엄마도 다른분께 저는 항상 어려운 자식이라고 하시는걸 들었어요.

  • 3. 케바케
    '24.10.25 1:47 AM (217.149.xxx.81)

    정서적으로 독립이 빠른 사람도 있고
    노인이도 부모와 애뜻한 사람도 있죠.

  • 4.
    '24.10.25 2:00 AM (220.65.xxx.198)

    자식이 40세정도 되면 부모가 죽어도 큰 타격이 없다고해요 산에다 묻고 잊어버린다는거죠

  • 5. 봄날처럼
    '24.10.25 2:03 AM (116.43.xxx.8)

    부모가 없어도되는 나이는 ...없다...가 아닐지

    의존을 덜할 뿐...

    나이가 많이들어 아프면 내몸처럼 위해주던 부모님 생각 많이날 것 같아요

  • 6. 흠....
    '24.10.25 2:15 AM (58.125.xxx.87)

    봄날처럼 님 얘기처럼.

    제목 읽자마자 부모가 없어도 되는 나이는 없어
    라고 생각하고 글 클릭 했어요.

    40중반의 나이지만 여전히
    힘들고 지치고 슬프면 아빠 엄마를 찾고
    내 아빠 엄마가 건강하게 내 옆에 계셔주신게 감사해요

    부모가 없어도 되는 물리적, 정서적 나이는 없어요.
    적어도 제 기준에는요... .....

  • 7. ...
    '24.10.25 2:54 AM (121.159.xxx.222)

    부모도 그냥 인간으로 존재할수는 없나요
    30년이상 근 60년 넘어 누군가의 엄마라니

  • 8.
    '24.10.25 3:07 AM (121.159.xxx.222)

    자식 둘의 엄마로서
    40세쯤엔 내가 없어도 된다고 생각해주었음 해요

  • 9.
    '24.10.25 3:32 AM (211.234.xxx.241)

    엄마랑은 정이 없어 20세부터 남이라 생각했고
    50세 다 되어가는 지금도
    아빠는 영원히 곁에 있으셨으면 좋겠어요.

  • 10. 그건
    '24.10.25 6:22 AM (180.70.xxx.42)

    부모와 관계가 어떠냐에 따라 다 다르죠.
    저 스무 살 때 대학 가면서 부모가 떨어지고 부모들이 그렇게 잔정 있는 스타일도 아니고 손주들한테도 크게 관심도 없고 간섭도, 바라는 것도 없이 정말 남처럼 무덤덤하게 지내는 관계라 지금 70대 후반이신데 만약에 돌아가신다고 해도 엄청 슬프거나 그러진 않을 거 같아요.
    그래서 한편으로는 차라리 마음이 덜 아파서 다행일 수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들어요

  • 11. ...
    '24.10.25 6:50 AM (114.200.xxx.129)

    저희 엄마가 저 32살때 돌아가셨는데 저는 하늘 무너지는지 알았네요
    없어도 살수야 있죠.. 하지만 그리움에 살고 있는데
    완전잘살고 있다고 할수는없죠..
    그리움은 내몫이니까..
    보고 싶어도 볼수가 없으니... 참아가면서 사는거지..

  • 12. ㅇㅇ
    '24.10.25 7:03 AM (24.12.xxx.205)

    사람마다 다르죠.
    평생 아픈 사람도 많아요.

  • 13. ...
    '24.10.25 7:12 AM (58.234.xxx.222) - 삭제된댓글

    결혼 후 새 가정 꾸린 후 아닐까요.
    전 제가 죽기 전에 아이가 결혼 했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아이가 덜 슬퍼할거 같아요.

  • 14. ...
    '24.10.25 7:12 AM (58.234.xxx.222)

    결혼해서 새 가정 꾸린 후 아닐까요.
    전 제가 죽기 전에 아이가 결혼 했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아이가 덜 슬퍼할거 같아요.

  • 15. ...
    '24.10.25 7:16 AM (221.159.xxx.134)

    78세인 울 엄마
    아직도 사무치게 그리워하시던데요.
    제가 잘해줄때마다 난 못된딸이었는데 자책도 된다하시고...
    배우 김수미가 저번에 방송에서 나이를 먹을수록 더 그립다고 하더라고요.
    저도 그럴거 같아요.부모님 건강하게 오래 사셨음 좋겠습니다.

  • 16. 경제적독립
    '24.10.25 7:21 AM (121.166.xxx.208)

    해서 자신의 의지대로 살 수 있는 나이가 취업대 이겠지만. 정서적으로 날 응원하고 든든한 울타리였던 부모님이 없어도 된다는 나이는 없는거 같습니다.

  • 17. ..
    '24.10.25 7:27 AM (211.36.xxx.87) - 삭제된댓글

    경제적독립이야 20대도 가능하죠. 대학교 졸업하고는 돈벌었으니까요. 하지만 40넘어도 주변사람들이 본인 엄마 이야

  • 18. 평생
    '24.10.25 7:52 AM (211.36.xxx.241)

    부모 걱정하며 정말 효녀로 살았어요.
    초3에 철이 일찍 들어 날로 어려워지는 살림살이 걱정까지...
    결혼하면서 왜 집의 살림살이가 어려워졌는지 깨달았네요.
    무능한 아버지와 사고뭉치 어머니 덕분이란 걸....
    60 가까이 되니 부모 걱정 이제 그만하고 싶고
    부모가 안계셨으면 싶어요. 어쩌다 이리 됐는지...

  • 19. 50이요
    '24.10.25 8:24 AM (112.164.xxx.190) - 삭제된댓글

    60살 까지 살아보니
    40까지는 엄마가 필요해요
    50넘으니 나 사는것도 이제 슬슬 산을 넘어야하니
    60되니 이젠 가셔도 잘 보내드릴거 같아요
    오래사시길 안바래요, 아프지말고 지금처럼 사시다가 집에서 가셨음 좋겠어요
    지금 제일 걱정은 시설 가실때까지 사실까봐,

  • 20. 저도
    '24.10.25 8:43 AM (220.117.xxx.100)

    부모님이 없어도 되는 나이는 없다고 생각해요
    저희 가족들이 다들 꽤나 독립적인 성향이 강하고 제 아이들도 그래서 외국이긴 하지만 고등학교 졸업하고 집을 나가 사회인이 된 지금까지 각자 알아서 사는데 보고싶어 잉잉~ 그런거 없어요
    다들 자기 인생 자기가 사는거지.. 하는 스타일이고 양가 부모님도 둘밖에 안되는 자식 중 하나가 일찌감치 나가 사는데 보고싶다 외롭다 힘들다 그런 얘기 하신 적이 없어요
    하지만 떨어져 지낸다고 인연 끝도 아니고 지구 반대편에 가 있어도 부모님과의 끈은 항상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느껴요
    아마도 죽을 때까지 제 부모님은 저의 영원한 엄마 아빠이실거예요
    각자 자기 가정 이루고 살아도 부모님이 없어도 된다는 생각은 못할 것 같아요

  • 21. ....
    '24.10.25 9:22 AM (110.13.xxx.200)

    저도 살면서 부모를 심적으로 의지해본적이 없어서..
    따뜻함을 느껴본적도 없고..
    30살이후로 없어도 젼혀 무관했을거 같아요.
    지금도 없는듯이 사네요.

  • 22.
    '24.10.25 9:41 A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세상 나쁘기만한건 없는거 같아요
    사이 좋음 떨어지는게 힘들고 사이 나쁘면 독립이 쉽고
    부모 죽어도 상관없고 빨리 잊고
    30살은 힘들어하는 사람도 있어요

  • 23.
    '24.10.25 9:44 AM (1.237.xxx.38) - 삭제된댓글

    세상 나쁘기만한건 없는거 같아요
    사이 좋음 떨어지는게 힘들고 사이 나쁘면 독립이 쉽고
    부모 죽어도 상관없고 빨리 잊고
    어딘가 살아 있는거랑 죽고 없는건 또 다를거고
    30살에 부모 죽음. 힘들어하는 사람들 많을걸요

  • 24.
    '24.10.25 9:44 AM (1.237.xxx.38)

    세상 나쁘기만한건 없는거 같아요
    사이 좋음 떨어지는게 힘들고 사이 나쁘면 독립이 쉽고
    부모 죽어도 상관없고 빨리 잊고
    어딘가 살아 있는거랑 죽고 없는건 또 다를거고
    30살에 부모 죽음 힘들어하는 사람들 많을걸요

  • 25. .....
    '24.10.25 9:47 AM (106.101.xxx.182)

    제 경우엔 40 넘어가니 그런 생각 들더라구요.

  • 26. ㅇㅇ
    '24.10.25 10:37 AM (118.235.xxx.56)

    기질 차이도 있겠지만 저도 부모님이 딱히 애틋하지 않아요.
    외국 살아도 향수병 없고 외로움 못느끼고...
    내 남편이 더 소중하죠.
    부모님은 여전히 절 그리워하지만 전 전혀 생각이 없네요.
    모시고 살 생각은 더더욱 없고요.
    의무 봉양으로 나중에 양로원 돈이나 내드려야지 하는 생각뿐.

  • 27. ...
    '24.10.25 11:28 AM (202.20.xxx.210)

    음.. 사람마다 차이 있고요. 전 결혼 하고 나니 꼭 부모가 있어야 된다는 생각이 사라졌어요. 본인 가정이 생기면 거기에 집중하니까요. 그래서 자식 소용 없다는 말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ㅎ

  • 28. 부모 나름
    '24.10.29 5:07 PM (211.114.xxx.199)

    사랑으로 지극정성 키워주신 부모님이라면...
    자립을 한 나이에도 돌아가시면 그립고 슬프고 보고싶겠죠.

    해준 것 없고 무관심 심지어 학대한 부모라면....
    하루라도 빨리 죽는게 자식에게 낫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77730 회원 신고 어떻게 하나요? 6 신고 2025/02/08 831
1677729 도어락 비번 기악 안나는 증상 7 질문 2025/02/08 1,888
1677728 흑임자 1키로 가격혹 1 2025/02/08 1,197
1677727 이제 나에게 반대 하는 세력 모두 2 탄핵 반대 .. 2025/02/08 1,034
1677726 일부지역만 비상계엄 가능하죠? 16 .... 2025/02/08 1,797
1677725 1월 초 독감후..대상포진 걸려보신분??? 4 ㅇㅇ 2025/02/08 1,015
1677724 주식단타를 하는데 고수님들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45 혼자주식 2025/02/08 3,430
1677723 해외여행 다녀오니 온수가 안나오네요 14 보일러 2025/02/08 2,976
1677722 지금 kbs2에서 하는 들마 뮌가요 3 2025/02/08 1,804
1677721 추미애 의원 페북글 4 동감 2025/02/08 1,861
1677720 워치7을 구입할려고합니다 3 와치 2025/02/08 720
1677719 이북 리더기 추천해주세요 8 ㅁㄴㅇㅎ 2025/02/08 842
1677718 대구에 신천지 5 모이는 날인.. 2025/02/08 1,830
1677717 층간소음매트? 아래층 2025/02/08 509
1677716 [알고보니] 윤 대통령, '인원' 표현 써본 적 없다? 6 마봉춘최고 2025/02/08 1,763
1677715 퇴직한 남편이 집에만 있어요 98 행복한 은퇴.. 2025/02/08 24,022
1677714 무선 가열 보온병 써보신분? 분유용으로 쓰는거요 등산 2025/02/08 620
1677713 환한 반달이 떴는디? 1 ㅇㅇ 2025/02/08 736
1677712 다이어트 할때 가장 힘든 점은요. 10 또 한다고 .. 2025/02/08 2,465
1677711 여기에도 여전히 윤가 찬양하는 사람이 있다니 21 ... 2025/02/08 1,347
1677710 작은 시가 정말 살기 좋지않나요? 28 ㅇㅇ 2025/02/08 5,180
1677709 취미로 골프치면 한달에 백만원 정도 드나요 22 부자가 많군.. 2025/02/08 4,209
1677708 혼자 사는데 4 .. 2025/02/08 2,016
1677707 탄핵 찬성 광화문 집회 사람 많은가요? 21 사람 2025/02/08 2,119
1677706 다미아니 미모사 반지 있거나 아시는분들요. 9 쇼핑 2025/02/08 1,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