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은퇴 후 각자 돈 관리 하시나요?

.. 조회수 : 2,530
작성일 : 2024-10-24 12:27:46

부모님들 은퇴하신 후 각자 연금 수입 있으면 돈관리도 각자 하시나요?

저희는 두 분 다 수입이 있으신데 아빠는 적고 엄마가 많아요.

연금도 더 많고 물려받은 빌라들이 있어서 월세가 좀 됩니다.

아빠 연금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엄마가 전부 관리하는데 아빠 씀씀이가 너무 커서 엄마가 너무 힘들어 합니다.

아빠는 자식한테 물려주고 말 것도 없다, 본인이 건강하게 활동할 때까지 편하게 쓰고 살고 싶다는 주의고 엄마는 원래도 아끼는 분이기도 하지만 아들이 아직 결혼 전이고 직장도 변변치 않아 결혼할 때 좀 해 주고 싶으신가 봐요.

아빠 불만은 자기 연금까지 다 가져가서 돈을 맘대로 못 쓰게 한다는 거고, 엄마 불만은 씀씀이가 너무 커서 본인 연금 가지고는 카드값도 다 못 낸다고 아빠 때문에 스트레스 받아 죽겠다고 합니다.

두 분 다 여유가 있으셔서 자식들이 안 돌봐도 되는 건 다행인데 소비 패턴이 다르니 저렇게 매일 싸우고 서로 하소연을 하니 참 답답합니다.

제가 객관적으로 봐도 아빠가 좀 과하게 소비하긴 합니다.

도대체 뭐가 그렇게도 사고 싶은 게 많으신지.

다른 집은 어떻게 관리하는지 궁금합니다.

 

IP : 59.17.xxx.15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ㅅㅅ
    '24.10.24 12:34 PM (221.157.xxx.73)

    아빠가 적게 쓰고 엄마가 더 써요. 다만 낭비까지는 아님..

  • 2. 00
    '24.10.24 12:36 PM (211.114.xxx.126)

    저희 집도 각자 관리 인것 같네요
    엄마는 국민연금 받아서 적금 넣으시는 것 같고
    아버지는 용돈으로 다 쓰시는것 같아요~

  • 3. ...
    '24.10.24 12:39 PM (202.20.xxx.210)

    두 분 일은 두분이 알아서.. 자식이 부모 돈에 엄마가 관리해라 더 아껴라 마라 할 문제가 아닙니다. 노후가 안된 것도 아니고 부부 일은 부부가 알아서 하는 거죠. 부부가 알아서가 원칙.

    집집 마다 다 다르고 정답 없어요.

  • 4. ㅡㅡㅡ
    '24.10.24 12:47 PM (58.148.xxx.3) - 삭제된댓글

    저희도 각자관리 엄마들은 살림사는 버릇이 있어서 아씨고 아부지들은 들어오는 족족 다 쓰시고..
    그래도 이제 나이 80대이신데 얼마나 쓰다 가실까싶어 쓰시게 두라해요

  • 5. 엄마가
    '24.10.24 1:02 PM (49.169.xxx.193)

    원래 아끼는 분이라면,은퇴전에도 절약하고 아끼셨을텐데,
    아버지가 쓰는거 너무 터치 안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젊을때 돈이 많아서 흥청망청 쓰면서 산것도 아니고,나이먹고 아프지 않을때
    쓰는거 저는 좋다고 봅니다.
    아버지가 언제까지 건강한게 아니에요.
    쓸수 있을때 쓰는것도 좋은거죠.
    아들한테 3억줄걸,아버지가 쓰고 1억이나 2억만 줘도,자식들은 고마운걸 잘 몰라요.
    잠깐 고마울수는 있지만,
    그게 오래 안가요.

  • 6. 아버지가
    '24.10.24 1:07 PM (223.39.xxx.246)

    맞지싶네요.
    저축액도 아니고 연금인데
    즐겁게 쓰는 게 좋아요.
    백세시대라 해도 즐거움을 위해 돈 쓰는 시기는 얼마 안남았지싶어요

  • 7. 엄마가
    '24.10.24 1:14 PM (39.7.xxx.101) - 삭제된댓글

    이상하네요.
    자기연금 더 많고 물려받은 빌라 월세 있음 본인꺼 쓰면 되지
    남편꺼 까지 다 뺏어놓고 씀씀이 크단게 말이되나요?
    아빠건 아빠가 관리하며 생활비만 60씩 내면 두분 쓰시고 병원
    가심 되요.

  • 8. 바람소리2
    '24.10.24 2:23 PM (222.101.xxx.97)

    이버지연금 주고 쓰게 해야죠
    더 자축해서 뭐하려고요

  • 9. ..
    '24.10.24 2:35 PM (59.17.xxx.152)

    부모님이 70대 막 접어 드셨고 저도 윗분들 생각처럼 돌아가시기 전에 편하게 쓰시는 게 낫다고 엄마가 너무 한다 생각했는데 막상 아빠 카드값 보면 엄마가 그나마 단속을 안 하면 펑크 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뭐가 그렇게 사고 싶은 게 많으신 건지.
    아빠는 막연히 빌라 좀 팔아서 쓰면 되지 이런 식이고 엄마는 월세 받는 거라 갖고 있다가 나중에라도 남동생 주고 싶은 것 같아요.
    작은 빌라들도 전부 외할머니 돌아가시면서 상속받은 엄마꺼라 아빠가 소비를 좀 자제하면 좋겠는데 어렵네요 진짜.

  • 10. 궁금
    '24.10.24 2:39 PM (210.179.xxx.245)

    연금을 각자 관리한다면 주거비 차량유지비 각종 공과금등
    공동 생활비는 누가 내나요?
    반반씩 내고 나머지를 각자 쓰는 개념인가요?

  • 11. 하루
    '24.10.24 2:59 PM (211.213.xxx.42)

    집집마다 다르겠죠.
    그 연세에 아끼면 이제 앞으로 쓸 일이 뭐있을까 싶어요.
    하시고 싶은거 하시면서 돈에 미련 안남게 쓰면 좋겠어요.

  • 12. 저라면
    '24.10.24 6:06 PM (58.230.xxx.216)

    그냥 아버지 쓰고싶은대로 냅둘래요.
    70세 넘으면 정말 언제 어느날 갑자기 돌아가시는분들 많아요. 남의 돈으로 쓰는거 아니면 그냥 쓰시게 냅두세요.
    자식이 복병이네요. 자식만 아니면 빌라 팔아서 죽을때까지
    두분 안싸우시고 호의호식 하면서 즐겁게 사시겠구만ㅠㅠ
    지 밥벌이 잘하는게 효도네요ㅠㅠ

  • 13. Oo
    '24.10.24 7:55 PM (121.133.xxx.61)

    70대면 열심히 쓰셔야죠
    어머니가 좋은 처는 아니신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66044 병역검사 시간은 어느정도 걸리나요? 6 병역검사 2025/01/07 965
1666043 드라마 원경 9 2025/01/07 3,791
1666042 집 거래 집 거래 2025/01/07 967
1666041 노피 미니후드 괜챦은가요? 전기후드 2025/01/07 692
1666040 '얼차려 훈련병 사망 사건' 1심, 중대장 징역 5년 선고 7 ........ 2025/01/07 1,692
1666039 대구에서도 쫓겨난 jk김동욱 / 펌 30 이렇답니다 2025/01/07 6,568
1666038 등갈비 자르고 끓이나요 끓이고 자르나요? 5 초보 2025/01/07 1,445
1666037 벙커로 도망갔다고 차마 말은 못하겠는데 5 ㄱㄴㄷ 2025/01/07 3,856
1666036 연말정산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 2025/01/07 1,442
1666035 매불쇼 : 박지원씨의 최상목 탄핵에 대한 이야기 20 .. 2025/01/07 4,093
1666034 "소추사유 변경된 적 없어…내란행위, 헌법위반으로 판단.. 1 ㅅㅅ 2025/01/07 1,266
1666033 정수기 자가관리 조언부탁합니다 9 렌탈 2025/01/07 1,576
1666032 안입는옷 보관함 2 의류 2025/01/07 2,336
1666031 윤바퀴는 최대한 비참하게 끌려가려고 할거에요 9 ㅇㅇ 2025/01/07 2,452
1666030 임세령 이정재는 결혼은 안할까요? 35 .. 2025/01/07 7,455
1666029 실비보험 3배 인상 34 이해불가 2025/01/07 8,419
1666028 자식이 돈벌면 부모에게 좀 주던가요? 22 . . . .. 2025/01/07 5,293
1666027 말을 하나라도 지키는 게 없음 3 짐싱보다 못.. 2025/01/07 1,280
1666026 민주당은 마약 증거를 찾으세요 오만거 다 한답니다. 4 ㅇㅇ 2025/01/07 2,427
1666025 독감 예방주사 4 진진 2025/01/07 1,698
1666024 전기 주전자 새로 사면 요 1 ??? 2025/01/07 1,500
1666023 하얼빈 외국인도 볼만할까요 4 …… 2025/01/07 1,123
1666022 서울 많이 춥나요? 내일 아이 병원 진료로 서울갑니다. 12 ... 2025/01/07 2,181
1666021 알레르망 차렵이불 쓰시는 분들이요 3 빨래 2025/01/07 1,867
1666020 흑염소 어떤거 먹는게 좋나요? 1 2025/01/07 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