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대로 된 사과를 보기가 힘들다.

... 조회수 : 2,128
작성일 : 2024-10-16 23:51:29

수능 독해 문제집에서 와 닿는 글이 있어서 퍼왔습니다. 출처를 찾아보니 경향신문 칼럼이네요.

 

상황 면피용 진심없는 사과를 하는 사람들에게 이 글을 사람들 앞에서 큰 소리로 읽게 하고 싶어요.

 

입력 : 2015.05.18 20:34   수정 : 2015.05.18 20:52

엄기호 | 문화학자

 

 

제대로 된 사과를 보기가 힘들다. 전쟁, 국가폭력과 같은 범죄에 대한 국가와 국정 최고책임자의 사과에서부터 뇌물수수와 같은 정치인들의 사과, ‘갑질’한 기업인, 혐오 발언한 연예인에 이르기까지 다 그렇다. 이들은 자신이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사과해야 하는지를 잘 모르는 듯하다. 뻔히 고통을 당한 당사자들이 있는데 그들은 제쳐놓고 ‘국민’이나 ‘시청자’에게 사과한다. 아니 ‘사과’ 대신 ‘유감’이라고 말해서 누가 가해자고 누가 피해자인지 헷갈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사과는 자신이 가한 행위의 ‘의도’에 대한 것이 아니라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행위다. 자신의 의도가 선한 것이었건, 악한 것이었건 그것이 피해자에게 구체적으로 고통을 가했기 때문에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이 사과다. 따라서 사과에 선행해야 하는 것은 자신의 행위가 왜 상대방에게 ‘본의와 달리’ 고통을 줄 수밖에 없었는지를 깨닫는 것이다. 그래야 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사과가 그저 한번의 사건에 대한 것이 아니라 앞날에 대한 맹세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사실상 사과는 거의 불가능하다. 잘못한 이가 자신이 누구에게 어떤 고통을 줬는지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에 가해자는 이미 자신이 무슨 짓을 하는지 알면서도 고통을 줬다. 그것이 뻔히 고통인 줄을 알면서도 고의적으로 고통을 준 것이다. 그렇기에 그의 사과는 들켰기 때문에 하는 사과다. 들키지 않았더라면 결코 사과하지 않았을 것이다.

 

반대로 가해자가 그가 고통을 가한 것에 대해 모르는 경우에도 사과는 불가능해진다. 무엇을 사과해야 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사과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본의가 아니었다”고 말한다. 악의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이 말은 대부분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한번도 피해자의 입장이 되어본 적이 없기에 그것이 고통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들은 ‘본의’가 아니지만 어쨌든 피해자가 고통을 느꼈다고 하니 사과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제대로 된 사과가 될 수 없다. 무엇을 잘못했는지 모르는데 어떻게 사과를 할 수 있단 말인가?

 

게다가 어느 경우라도 고통에 대한 이해가 없다. 아무리 ‘진정한’ 사과라고 하더라도 사과한다고 고통이 그 순간에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 고통은 지속된다. 그렇기에 상황을 끝내려고만 하는 것은 고통을 가한 자의 입장일 뿐이다. 그렇다보니 사과를 하는 것이 아니라 사과를 받을 것을 종용하는 일이 종종 벌어진다. 자신의 사과가 얼마나 진정한 사과인지를 보여주기 위해 피해자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막무가내로 찾아가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것이 사과가 처한 근본적인 딜레마다. 알고 있었다면 애초부터 고통을 가한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는 거리낌이 없었던 것이고, 모르고 했다면 무엇을 사과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사과할 수가 없다. 사과를 하는 사람들이 맨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사과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 말이다. 사과를 ‘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사과를 ‘받고’ 말고 할 것도 없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피해자에게 떠넘길 공은 애초에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정치인에서부터 연예인, 아니 보통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이것을 모르기 때문에 너무 쉽게 사과하고 한순간에 해결하려고 한다.

 

그렇기에 사과를 하는 사람들이 인정해야 하는 것이 세 가지다. 하나는 고통을 받은 사람이 있다는 것. 둘째, 자신은 그 고통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것. 세째, 그렇기 때문에 피해자의 고통에 대해 ‘시간을 들여’ 알아야만 한다는 것 말이다. 고통이 순간이 아니기에 사과도 순간이 될 수 없다. 사과는 일회용 휴지처럼 한번 사용하고 끝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사과는 시간을 들여 반복·지속돼야 하는 행위다. 우리는 잊고 묻으려고만 하는 ‘사과’에 저항해야 한다.

IP : 1.229.xxx.172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24.10.17 12:19 AM (212.102.xxx.64) - 삭제된댓글

    사과는 양심에서 우러나와 해야하는건데
    양심을 강제할순없죠
    애초에 도덕지능 영성지능이 낮으니 잘못을 저지르는건데
    낮은 지능이 높아지는건 거의 불가능하죠
    그냥 잘못에 대한 벌을 누가봐도 사이다이다
    싶게 주는게 더 낫다고봐요
    프랑스가 나치부역자들에게
    진심어린 반성사과해라 소리하느니
    100세가 돼도 잡아내서 노약자 감안 그런거없이
    생으로 감옥에 가두고
    수도 수복하고나서 부역자나 독일군에게 몸팔던여자들
    머리 박박밀고 끌고다니고 조리돌리고
    그게 낫다고봐요
    과실 실수 아니고서야
    알고 잘못한인간은 벌이나받으면 되고
    그로부터 보상확실히 받아내는게 낫지
    사과의 진정성이 있고없고는 글렀어요

    그냥

  • 2. ㅇㅇ
    '24.10.17 12:51 AM (223.39.xxx.187)

    끄덕끄덕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633256 금값 최고치 경신. 역시 신문은 믿으면 안 되요 1 금값 2024/10/17 3,136
1633255 명태는 반드시 감옥갑니다. 3 예언 2024/10/17 1,798
1633254 치아교정 끝나는 시기 6 ... 2024/10/17 962
1633253 실손보험료가 거의 변동이 없는데요 8 ** 2024/10/17 1,498
1633252 금시세 g당 11만 8천원이네요 1 ㅇㅇㅇ 2024/10/17 1,750
1633251 화장실에서 볼일 보고 손 안씻는 직원 10 .. 2024/10/17 2,107
1633250 최동석은 박지윤때문에 짤린거 맞아요 54 ... 2024/10/17 26,830
1633249 대장내시경 오늘 저녁 마지막 식사로 10 대장 2024/10/17 1,399
1633248 혼자 지내시는 부모님들 잘 계신가요? 13 생각 2024/10/17 2,897
1633247 뇌하수체에 혹이 있대요.. 3 .. 2024/10/17 2,142
1633246 국내 최대로펌"콜검"은 해체하라 3 박은정의원 2024/10/17 1,019
1633245 오전에 썰어서 수육 받은거 저녁에 어떻게 데우면 좋을까요? 4 열매사랑 2024/10/17 999
1633244 너무 신 김치찜 구제방법 있을까요? 10 묵은지 2024/10/17 1,392
1633243 회사일이 넘 많을때 2 많아요 회사.. 2024/10/17 693
1633242 이케아 램프안에 들어가는 가짜촛불 이름이 뭘까요? 7 익네 2024/10/17 818
1633241 중학생 친구들끼리 2~3시간거리 타지역 당일여행 보내주시나요? 6 ... 2024/10/17 867
1633240 의원에서 검버섯 제거 그런걸까 2024/10/17 895
1633239 제 얘기 좀 들어주실래요? 생사의 절벽에 매달린 제 얘기 53 그냥 2024/10/17 7,484
1633238 건희 왕국 됐나요 9 2024/10/17 1,905
1633237 점심 대신 옥수수 2 2024/10/17 1,140
1633236 박지윤처럼 돈 많은 사람도 돈때문에 허덕거리며 살긴 사나보네요 .. 40 ddd 2024/10/17 15,492
1633235 샤브샤브용 소고기에서 냄새가 너무 많이 나요 4 2024/10/17 1,244
1633234 우체국실손 3만원에서 9만원으로 올랐네요 7 헐헐 2024/10/17 3,226
1633233 중산층 기준이 18 ㅎㄹㄹ 2024/10/17 3,283
1633232 명태균은 왜 윤을 배신하는 거예요? 10 .. 2024/10/17 5,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