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문열은 왜 상을 못받았을까요

ㄴㄷㅈ 조회수 : 5,465
작성일 : 2024-10-10 20:44:37

이사람의 보수적인(?) 여성관이 많은 안티를 불러일으킨 알겠지만

글자체는 무척 잘쓰고 재능러임은 인정하는데요

저는 이사람이 쓴 책중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와 익명의 섬, 들소를

좋아합니다만

노벨상은 시대의 운이란것도 타고나야 할까요

이사람의 전성기는 한국이 막 한류이런걸 탈때가 아니어서

경제력도 지금만 못했고...

 

또 작가가 흡입한 시대의 공기도 달라서

문학의 두 거대 기둥, 보편성과 특수성에서

특수성은 충족했지만 보편성 획득을 못한걸까요

 

아주 보수적인 근대적인 한국의 모습과 문화를

세계인이 좋게 받아들였을려나요..

 

 

IP : 61.101.xxx.67
4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ㅈㄱ
    '24.10.10 8:46 PM (14.42.xxx.224)

    가볍지않나요?

  • 2. ...
    '24.10.10 8:46 PM (116.125.xxx.62)

    상아온 삶, 특히 늙그막의 행적을 보세요. 극보수주의자.

  • 3.
    '24.10.10 8:48 PM (1.240.xxx.21)

    한강의 문학성은 독보적이고
    시대를 읽는 탁월한 분석과 인류애를 뛰어난 문학성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노벨문학상을 받았겠죠.

  • 4. 그게
    '24.10.10 8:48 PM (113.210.xxx.200) - 삭제된댓글

    운도 많이 작용하잖아요. 저는 이문열씨 작품 좋아합니다.

  • 5. ㅇㅇ
    '24.10.10 8:49 PM (182.220.xxx.154) - 삭제된댓글

    전 노벨문학상 수상 뉴스보고, 박경리 선생님 생각이 났어요.

  • 6. ..
    '24.10.10 8:49 PM (175.193.xxx.10)

    주제가 보편적이지 않고 너무 지 얘기잖아요.

  • 7. 이문열 김지하
    '24.10.10 8:50 PM (59.6.xxx.211)

    너무 싫음.

  • 8. 이문열은
    '24.10.10 8:53 PM (125.138.xxx.203)

    천재에요. 정치적인 탄압받아서그렇지. 한창 진보정권에 페미니즘이 창궐할때..악다구니 뺵뺵뺵들의 희생자.. 어찌보면 이문열이니 할 수 있다고 봅니다.

  • 9. 아니 ㅎㅎ
    '24.10.10 8:53 PM (121.162.xxx.234)

    에이,, 반공시대를 타고 교과서에 올린 작가지
    이 문열을 그 정도는 좀—;
    조정래나 박경리셈은 왜 못받았을까도 아니고,,
    솔직히 노벨상에 끌어올 작가는 한참 아닙니다

  • 10. 한강은
    '24.10.10 8:53 PM (211.206.xxx.180)

    노벨상 외에도 여러 해외상들 탔었네요.
    인지도에서 이미 넘사벽.

  • 11. starship
    '24.10.10 8:53 PM (106.101.xxx.142)

    오래된 기억이지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표절의혹 있었어요. 그리고 여성의 삶에 대한 왜곡된 소설도 있었고요.
    여러가지로 노벨상 깜이 안되죠

  • 12. 리메이크
    '24.10.10 8:54 PM (125.183.xxx.169)

    그에게는 한강같은 독창적인 세계와 인류애가 앖었죠

  • 13. ....
    '24.10.10 8:55 PM (116.38.xxx.45)

    전 이문열씨 작품 여럿 읽었지만 그렇게 뛰어나단 생각은 안들었어요.
    상당히 현학적이다 란 느낌만.

  • 14. ㅇㅇ
    '24.10.10 8:55 PM (112.133.xxx.73)

    이문열은 노벨문학상 받을 격이 아닙니다.
    재기와 잡학다식으로 인기를 끈 작가였죠.

  • 15. 하늘에
    '24.10.10 8:55 PM (183.97.xxx.102)

    다 떠나서... 번역되는 게 중요한거 같아요.

  • 16. ㅡㅏ
    '24.10.10 8:55 PM (114.203.xxx.133)

    이문열도 글은 잘 쓰지만
    급이 다르다고 생각해요
    이문열에게 시대를 통찰하는 능력은 없어 보여요.

  • 17. 지금
    '24.10.10 8:55 PM (124.50.xxx.70)

    치매 아닌가요?

  • 18. dma
    '24.10.10 8:55 PM (124.49.xxx.205)

    스케일이 달라요. 한강작가 만큼의 스케일에 훨 못미쳐요. 이문열은 보편성 뿐 아니고 편협하고 왜곡된 시선도 갖고 있어서 읽는데 불편해요.

  • 19. 에이
    '24.10.10 8:56 PM (59.11.xxx.27)

    어딜 이문열을…
    너무하시네…

  • 20. ㅇㅇ
    '24.10.10 8:57 PM (112.133.xxx.73)

    맞아요.
    이게 정답이네요.

    이문열에게 시대를 통찰하는 능력은 없어 보여요.
    222222222222222

    그냥 인터넷이 없던 시대, 지적인 향연에 독자들이 매력을 느낀 거지,
    스케일은 아니죠.
    격이 한참 떨어지는 작가입니다.

  • 21. 글만
    '24.10.10 8:59 PM (211.107.xxx.122)

    잘 쓴다고 상 받는 게 아니겠죠.
    몇 권 읽어 보니 알맹이 없는 자뻑, 허세가 심해요.
    특히 황제를 위하여, 사람의 아들, 선택 이렇게 세 권은
    거의 천상천하유아독존 스타일의 글쓰기 신공이 엿보였어요.

  • 22.
    '24.10.10 8:59 PM (106.101.xxx.52) - 삭제된댓글

    글을 끌고 나가는 힘도 없어요. 궤변적일 뿐..

  • 23. ...
    '24.10.10 9:00 PM (175.114.xxx.108) - 삭제된댓글

    이문열에게 시대를 통찰하는 능력은 없어 보여요. 3 3 3 3

  • 24.
    '24.10.10 9:03 PM (211.186.xxx.59)

    잡다한지식많음 편협한 시각 동의요

  • 25. ...
    '24.10.10 9:03 PM (118.235.xxx.3)

    이문열은 초기 단편이 뛰어났어요. 그 시절과 지금은 화두가 다르죠. 저는 한강 작품은 별로 인지라 노코멘트.

  • 26.
    '24.10.10 9:12 PM (124.49.xxx.205)

    글재주와 작가적 정신은 다르죠. 글재주 있는 사람은 이문열 말고도 많아요.

  • 27. ......
    '24.10.10 9:13 PM (61.73.xxx.242) - 삭제된댓글

    이렇게 무시당할 작가는 아닌데 안타깝네요. 문학 바깥에서의 행보가 문학을 덮었나봅니다.

  • 28. ㄴ 글쎄요
    '24.10.10 9:17 PM (121.162.xxx.234)

    덜 유명한 더 뛰어난 작가 많습니다만 ㅎㅎ

  • 29. 쓸개코
    '24.10.10 9:17 PM (175.194.xxx.121)

    책 몇개 잘 읽긴 했는데.. 이문열이 정치탄압을 받았다니.. 금시초문이에요.

  • 30. ㅇㅇㅇ
    '24.10.10 9:19 PM (120.142.xxx.14)

    중학교때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읽고 팬이 되었어요. 이후로 그의 책을 많이 읽고 좋아했는데... 레드컴플렉스로 찌든 그의 사고가 본인이 쌓은 공을 엎더군요.
    글 잘 쓰는 사람 많지만 이문열은 이야기꾼의 자질이 높았죠. 근데 거기까지. 걍 이야기꾼일뿐. 철학이 없어요.

  • 31. ...
    '24.10.10 9:21 PM (223.39.xxx.2)

    노벨상을 개나소나 주겠나요

  • 32. ...
    '24.10.10 9:35 PM (61.79.xxx.23)

    표절 논란

    https://www.82cook.com/entiz/read.php?bn=35&num=612812

  • 33. 졸리
    '24.10.10 9:39 PM (210.223.xxx.28)

    이문열을 이리 폄하하는 사람들은 대체 뭘까?

  • 34. 이문열은
    '24.10.10 9:48 PM (119.71.xxx.160)

    작품들에서 깊이가 부족하죠 철학도 얕구요
    재미는 있었습니다만. 그래도 이문열 작품 중엔 사람의 아들이
    오래토록 기억에 남네요.

  • 35. ㅇㅅ
    '24.10.10 9:49 PM (175.198.xxx.212)

    탄압을 받아요? 하고싶은 말 다 하고 산 사람인데?

  • 36.
    '24.10.10 9:58 PM (61.97.xxx.142) - 삭제된댓글

    스웨덴 한림원이 밝힌 수상이유를 읽어보세요
    “한강은 자신의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각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
    시대의 아픔을 흘려넘기지 않는 한강 작가의 시선에 대해서 상을 준거에요

    이문열은 촛불집회에 모인 시민을 보고 “김일성 생일잔치에 동원된 북한주민같다”고 막말했었죠

  • 37.
    '24.10.10 10:03 PM (61.97.xxx.142)

    스웨덴 한림원이 밝힌 수상이유를 읽어보세요
    “한강은 자신의 작품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와 보이지 않는 규칙에 맞서고, 각 작품에서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다”
    시대의 아픔을 흘려넘기지 않는 한강 작가의 시선에 대해서 상을 준거에요

    이문열은 촛불집회에 모인 시민을 보고 “김일성 생일잔치에 동원된 북한주민같이 보인다는 사람들도 있다”고 말했죠.
    안티조선일보 운동을 하는 시민단체들을 홍위병이라고 부르기도 했죠
    그런 인간한테 한림원이 상을 주겠어요?

  • 38.
    '24.10.10 10:10 PM (125.184.xxx.70)

    이문열을 갖다대다니요?

  • 39. ㅇㅇ
    '24.10.10 10:19 PM (61.97.xxx.142)

    점셋님이 댓글로 달아주신 링크 읽어보니 대박이넹와..

  • 40.
    '24.10.10 10:21 PM (211.218.xxx.115) - 삭제된댓글

    시대 정신을 통착하는 능력이 없죠.
    박완서 작가가 산업화와 물질 만능주의 ,계급주의를 소설에서 드러냈다면.
    김영하 작가는 세월호 사건 이후 모티브를 얻어서 두사람이란 소설을 썼고요ㅡ
    작가라면 독자들과 시대를 공감할줄 알아야합니다.

  • 41. 이문열의 수준
    '24.10.11 9:53 AM (220.117.xxx.100)

    그럴듯한 이야기꾼
    딱 거기까지인 수준을 그대로 이야기했을 뿐인데 있는 그대로 말한 것을 폄하라고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대체 뭘까요?

  • 42. 아이고
    '24.10.11 1:50 PM (220.118.xxx.65)

    노벨 문학상 물망에 오르렴 글재주 있는 정도로는 안되요.
    이문열 저도 몇 개 읽어봤지만 이 사람이 일관성 있는 깊이 있는 세계관과 자기 성찰이 있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20955 본투표 새벽표부터 까는거죠? 3 ..... 2025/06/03 1,609
1720954 본투표 먼저 개표하면 맨 아래 깔린 어르신들 표들이 많아요 1 본투표 2025/06/03 1,688
1720953 본투표 먼저입니다. 8 MBC 2025/06/03 1,246
1720952 4050들 앞으로 20년은 버텨요!! 8 화이팅!! 2025/06/03 1,602
1720951 아래 전국투표 김문수 3 이뻐 2025/06/03 1,309
1720950 본투표함 먼저 연답니다 10 어대명 2025/06/03 2,542
1720949 조작아니면 김문수가 앞서는게 말이되나요??? 15 말도안돼 2025/06/03 3,122
1720948 어떡해요 저 이제 자야해요 ㅠㅠ 5 제발 2025/06/03 1,672
1720947 20대 남자애들 바뀌려나요? 9 ㅇㅇ 2025/06/03 986
1720946 전국개표 김문수, 이재명 박빙이네 14 김문수1위 2025/06/03 3,100
1720945 확정되면 장관발표 언제 하나요? 1 ........ 2025/06/03 1,218
1720944 파김치가 짠데 3 ... 2025/06/03 433
1720943 잠 못드는 밤 될것 같아요 5 .. 2025/06/03 1,206
1720942 만에하나 뭔일생기면 다 죽는거예요 2 ㄱㄴㄷ 2025/06/03 2,042
1720941 사전투표 먼저 개표라고 mbc에서 그러는데. 17 ㄱㄱ 2025/06/03 3,906
1720940 대구ㆍ경북은 답없다 11 ... 2025/06/03 1,499
1720939 게시판이 이렇게 깨끗할 수가! 5 Haha 2025/06/03 984
1720938 건강하게 운동합시다. 1 이제부터라도.. 2025/06/03 724
1720937 Sbs 개표방송은 진짜 최고네요 17 Sbs 2025/06/03 6,298
1720936 지금 생각해보니(김대중대통령님) 6 재조명 2025/06/03 1,130
1720935 선관위에서 버스제공 2 경북사람 2025/06/03 970
1720934 저는 다욧중인데 오늘은 치킨먹어요 브랜드 공개해보아요 5 푸른당 2025/06/03 703
1720933 개표초반 왜 계속 김문수가 앞서는건가요? 26 ........ 2025/06/03 5,723
1720932 빨간색땜에 티비껐는데 몇시쯤 다시 키면될까요? 4 ㄴㄱ 2025/06/03 1,190
1720931 민주당, 6월 임시회 소집 요구…특검법 등 처리 가능성 11 나이스 2025/06/03 1,593